목차 일부
목차
제1장 녹색금융에 대한 개요
1. 녹색성장과 금융의 역할 = 3
2. 녹색금융의 개념과 범위 = 4
3. 녹색금융의 부상 배경 = 7
3-1. 기후변화에 대한 국제적 대응 = 10
1) 포스트 교토체제 = 10
2) 주요국의 녹색성장 정책 추진현황 = 13
3-2. 우리나라가 직면하고 있는 과제 = 18
4. 저탄소 녹색성장...
목차 전체
목차
제1장 녹색금융에 대한 개요
1. 녹색성장과 금융의 역할 = 3
2. 녹색금융의 개념과 범위 = 4
3. 녹색금융의 부상 배경 = 7
3-1. 기후변화에 대한 국제적 대응 = 10
1) 포스트 교토체제 = 10
2) 주요국의 녹색성장 정책 추진현황 = 13
3-2. 우리나라가 직면하고 있는 과제 = 18
4. 저탄소 녹색성장에 대한 정부의 정책방향 = 20
4-1. 정부의 녹색성장정책 = 21
4-2.「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의 제정 취지와 금융권 영향 = 25
4-3. 녹색성장 5개년 계획의 주요 내용 = 29
4-4. 녹색금융의 정책방향과 추진과제 = 33
제2장 소매금융과 녹색금융
1. 소매형 녹색금융상품 개발의 필요성 = 41
2. 국내 상품 출시 동향과 특징 = 42
2-1. 수신상품 = 42
2-2. 대출상품 = 54
2-3. 투자신탁상품 = 56
2-4. 카드상품 = 62
3. 해외 상품출시 동향과 특징 = 68
3-1. 소매형 녹색수신상품 = 68
3-2. 소매형 녹색대출상품 = 71
3-3. 투자신탁상품 = 76
3-4. 신탁상품 = 78
3-5. 신용카드 = 79
3-6. 기타 상품 = 79
4. 향후 소매형 녹색금융상품의 개발 방향과 과제 = 80
제3장 기업여신과 녹색금융
1. 녹색성장과 기업금융 여건 변화 = 87
1-1. 녹색성장 추진에 따른 기업금융의 새로운 사업기회 = 89
1) 녹색기술 및 녹색산업에 대한 투자수요와 관련된 사업기회 = 89
2) 에너지 고효율 시설의 도입 등 친환경대책 수립에 따른 자금수요 증가 = 91
3) 탄소배출권 관련사업에서 파생되는 사업기회 = 93
4) CSR 목적의 녹색금융상품 니즈 증대에 따른 사업기회 = 95
5) 해외진출, M&A, 기업공개 등으로 파생하는 사업기회 = 95
1-2. 환경규제 강화 등에 따른 환경리스크 = 96
2. 기업여신 녹색상품 출시 동향과 향후 과제 = 99
2-1. 국내은행의 기업여신 녹색상품 출시 동향과 특성 = 100
2-2. 해외은행의 기업여신 녹색상품 = 104
2-3. 기업여신 녹색상품 개발방향과 과제 = 110
3. 환경리스크 관리방안 = 112
3-1. 은행의 환경리스크 요인 = 113
3-2. 환경리스크 관리의 필요성 = 115
3-3. 국내은행의 환경리스크 관리동향 = 116
3-4. 해외은행의 환경리스크 관리동향 = 117
1) Citi Bank = 118
2) ABN AMRO = 119
3) 미쯔이스미토모은행(SMBC) = 120
3-5. 환경리스크 관리방향과 과제 = 122
제4장 프로젝트 파이낸스와 녹색금융
1. 프로젝트 파이낸스와 녹색금융 = 127
2. 프로젝트 파이낸스 개요 = 128
2-1. 프로젝트 파이낸스의 특성 = 128
2-2. 프로젝트 파이낸스의 동향 = 129
3. 프로젝트 파이낸스와 환경리스크 관리 = 129
3-1. 프로젝트 파이낸스와 환경리스크의 잠재성 = 129
3-2. 일반 프로젝트 파이낸스 사업과 환경문제 발생 사례 = 130
3-3. 녹색 프로젝트 사업과 환경문제 발생 사례 = 131
3-4. 사업입지의 특수성과 환경리스크 = 133
3-5. 사업규모의 특수성과 환경리스크 = 133
3-6. 사업기간의 특수성과 환경리스크 = 134
4. 적도원칙(The Equator Principles) = 134
4-1. 적도원칙의 목적 및 개요 = 134
4-2. 적도원칙 참여기관 = 136
4-3. 적도원칙의 주요 내용 = 136
원칙 1 : 점검 및 분류화 = 138
원칙 2 : 사회ㆍ환경적 평가 = 142
원칙 3 : 사회적ㆍ환경적 기준의 적용가능성 = 142
원칙 4 : 실행 계획 및 관리 시스템 = 143
원칙 5 : 협의 및 공개 = 143
원칙 6 : 고충처리 메커니즘 = 144
원칙 7 : 독립적인 검토 = 144
원칙 8 : 조항 = 145
원칙 9 : 독립적인 감독 및 보고 = 145
원칙 10 : EPFI 보고 = 146
4-4. 적도원칙 준수 성과보고 사례 = 146
4-5. 적도원칙 가입과 책임범위 = 148
5. 녹색 프로젝트와 파이낸스 = 149
제5장 책임투자와 녹색금융
1. 책임투자의 개념 및 동향 = 157
1-1. 책임투자의 개념 = 157
1-2. 책임투자의 역사 = 159
1-3. 책임투자의 원동력 : 공적자금 운용 및 제도화 = 160
1-4. 국내의 책임투자 동향 = 160
2. 책임투자의 원칙 및 평가기준 = 161
2-1. UN PRI(The Principles for Responsible Investment) 개요 = 161
2-2. 서명기관 = 165
2-3. 책임투자의 실행방식 및 평가기준 = 166
2-4. 투자자의 경영관여 활동 = 169
3. 책임투자시장의 규모 추이 = 174
4. 책임투자지수(SRI 지수) = 175
5. 책임투자와 재무적 성과와의 관계 = 178
제6장 탄소금융과 녹색금융
1. 배출권 거래제도 및 인프라 = 185
1-1. 기후변화협약과 배출권 거래 메커니즘 = 185
1-2. 탄소배출권 거래소 = 189
2. 자발적 탄소배출권 거래시장 = 191
3. 탄소배출권 시장 동향 = 196
3-1. 탄소시장 규모 = 196
3-2. 탄소배출권 사업동향 = 198
3-3. 탄소배출권 가격 및 거래량 동향 = 202
3-4. 탄소배출권 가격예측 = 207
4. 탄소배출권 거래 및 사업투자 = 209
4-1. 탄소배출권 거래유형 = 209
4-2. 탄소펀드 = 213
4-3. 탄소배출권 사업투자 = 217
5. 포스트 교토체제에 대한 전망 = 219
6. 국내의 탄소금융 현황 및 정책동향 = 223
제7장 국내 녹색금융정책의 동향
1. 저탄소 녹색성장 비전 선포 및 법률안 = 231
1-1. 저탄소 녹색성장의 개념 = 231
1-2.「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과 녹색금융 = 234
2. 신성장동력사업과 녹색금융 = 237
3. 저탄소 녹색성장 5개년 계획 = 238
3-1. 녹색성장위원회 출범 = 238
3-2. 저탄소 녹색성장 5개년 계획 및 국가전략 = 239
4. 녹색금융 실행정책: 녹색투자 촉진을 위한 자금유입 원활화 방안 = 240
5. 기타 녹색금융정책 이니셔티브 = 246
5-1. 녹색금융협의회를 통한 금융기관의 녹색금융정책 참여 = 246
5-2. 저탄소 녹색성장 비전 이전의 녹색금융 관련정책 = 247
제8장 녹색금융의 활성화를 위한 은행의 역할
1. 녹색경영의 실천 = 251
2. 녹색경영의 필요성 = 252
3. 국내은행의 녹색경영 사례 = 254
3-1. 국민은행 = 254
3-2. 하나은행 = 255
3-3. 대구은행 = 256
4. 해외은행의 녹색경영 사례 = 257
4-1. Bank of America(BOA) = 259
4-2. HSBC = 259
4-3. 미쯔비스동경 UFJ은행 = 261
5. 국내은행의 녹색경영 추진방향과 과제 = 262
5-1. 녹색경영의 추진방향 = 262
5-2. 녹색경영의 추진과제 = 263
제9장 녹색금융의 전문인력 양성방향
1. 녹색금융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과 의의 = 269
2. 녹색금융 직무와 필요역량 = 271
3. 녹색금융 전문인력 양성 교육체계 = 277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