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감사의 글 = 5
PART 1 밀레니엄과 질적연구: 또 하나의 도약
제1장 1998년 걸작선 읽기 그리고 10년이 지난 후 / 김영천 = 15
제2장 Now and forever: Portraits of qualitative research in Korea / 김영천 ; 조재식 = 23
PART 2 우리의 걸작선: 그 다양한 색깔의 파노라마
제3장 교...
목차 전체
감사의 글 = 5
PART 1 밀레니엄과 질적연구: 또 하나의 도약
제1장 1998년 걸작선 읽기 그리고 10년이 지난 후 / 김영천 = 15
제2장 Now and forever: Portraits of qualitative research in Korea / 김영천 ; 조재식 = 23
PART 2 우리의 걸작선: 그 다양한 색깔의 파노라마
제3장 교사수업에 대한 Self-study / 김진희 = 63
제4장 소프트웨어(CAQDAS) 질적자료 분석 도구를 활용한 영어수업의 질적 연구 / 박종원 = 81
제5장 Internet qualitative research: KERIS 사이버 가정학습 연구에 대한 회상 / 김도헌 ; 김영천 = 111
제6장 한 60대 초등학교 여교사의 삶과 가르침: 생애사적 사례연구 / 이점우 = 141
제7장 두 현장교사가 써내려간 실행연구: 그 꿈과 여정의 이야기 / 주영주 ; 장미남 = 157
제8장 교육과정 개혁과 학습문화: 질적연구 경험이야기 / 서경혜 = 187
제9장 초등학교 수업과 학습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기억의 이야기 / 이용숙 = 211
제10장 '학습 입소문'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 송미영 ; 유영만 = 249
제11장 우리나라 다중지능 학교에 대한 현장연구이야기 / 차경희 = 273
제12장 영어수업에 숨겨져 있는 현장교사의 개인적/실천적 지식을 찾아서 / 김수진 = 303
제13장 한국적 상황에서의 Barrie Thorne의 Gender Play 연구 이야기 / 허창수 = 335
제14장 초등학교 교사의 활력 어디에서 오는가? / 차헌주 = 359
제15장 국가과외를 통한 사고실험 / 한준상 = 379
제16장 한국 학부모의 교육열에 대한 내러티브 / 김소희 = 395
제17장 또 다른 경쟁의 학습현장: 왜 아이들은 학원으로 가는가? / 김영천 ; 송희진 = 443
제18장 근거이론에 비추어 본 초등학생의 일제시험 경험의 실체 / 김대현 = 461
제19장 터키에서의 문화기술지 연구에 대한 방법론적 회고 / 박순용 = 481
제20장 한국인과 한국의 문화연구에 대한 자서전적 글쓰기 / 조정호 = 495
제21장 철학과 질적연구의 만남: 교육철학자의 초등학교 나들이 / 김회용 = 517
제22장 산들초등학교에서 교육인류학자로 태어나다 / 서근원 = 533
제23장 Auto/ethnography of traveling korean women in U.S. higher education / 이정은 = 565
PART 3 푸름 물방울, Swimming, 그리고 새로운 물안경
제24장 누가 말해야 하는가? : 밀레니엄 그리고 우리나라 교육학 연구방법론 훈련문화의 낙후성 / 김영천 = 591
기고자 소개 = 607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