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검색

상세정보

한국 학교조직 탐구

진동섭 외저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서명/저자사항한국 학교조직 탐구 / 진동섭 외저
개인저자진동섭
정수현
박상완
나민주
김병찬
박진형
박인심
김민조
김진수
박지웅
이승복
이은주
한점숙
발행사항서울 : 학지사, 2005
형태사항427 p. : 삽화 ; 25 cm
ISBN8958911816
일반주기색인 : p.417-427
공저자 : 정수현, 박상완, 나민주, 김병찬, 박진형, 박인심, 김민조, 김진수, 박지웅, 이승복, 이은주, 한점숙
서지주기각 장마다 참고문헌 수록
비통제주제어학교조직
분류기호371.2
언어한국어
  • 보존서고자료신청보존서고자료신청
  • 서가에없는도서 이미지서가에없는도서신청
  • 도서 PICK UP 서비스도서 PICK UP 서비스
  • 인쇄인쇄
  • SMS발송SMS발송

중앙도서관

중앙도서관 메세지가 없습니다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912198 371.2 한국학 진 c3 1층 대출·지정도서실 지정완료 지정도서/24시간대출
인쇄 SMS발송
2 912199 371.2 한국학 진 c4 4층 자료실 서가번호 455 대출가능

목차

목차 일부

목차
머리말 = 3
제1부 학교조직 연구 개관 = 13
 제1장 학교조직 연구의 관점 = 15
  1. 서론 : 조직이론과 행정이론적 접근의 통합 가능성 = 15
  2. 학교에 대한 조직이론적 분석 = 18
 제2장 한국의 학교조직 연구 = 41
  1. 서론 = 41
  2. 학교조직 연구 개관 = 43
  3. 종합 : 학교조직의 특성 = 55
제2부...

목차 전체

목차
머리말 = 3
제1부 학교조직 연구 개관 = 13
 제1장 학교조직 연구의 관점 = 15
  1. 서론 : 조직이론과 행정이론적 접근의 통합 가능성 = 15
  2. 학교에 대한 조직이론적 분석 = 18
 제2장 한국의 학교조직 연구 = 41
  1. 서론 = 41
  2. 학교조직 연구 개관 = 43
  3. 종합 : 학교조직의 특성 = 55
제2부 학교조직과 결합 = 71
 제3장 학교장과 교사의 결합: 결합의 개념적 모델 = 73
  1. 서론 = 73
  2. 느슨한 결합의 의미 = 75
  3. 결합의 개념적 모델 = 77
  4. 학부모 집단의 특성과 교사-교장 결합의 가설적 관계 = 83
 제4장 학교조직의 결합 = 89
  1. 서론 = 89
  2. 교장과 교사 간 결합 = 91
  3. 교사와 교사 간 결합 = 99
  4. 결합 관련 학교 내적 외적 요인 = 104
  5. 결론 및 제언 = 109
 제5장 중학교 교장의 교사에 대한 결합기제 = 115
  1. 서론 = 115
  2. 중학교 교장의 교사에 대한 결합기제 = 116
  3. 논의 = 129
  4. 결론 및 제언 = 134
 제6장 초등학교 교장의 교사에 대한 결함기제 = 139
  1. 서론 = 139
  2. 학교 운영 영역에 따른 교장의 강조 내용 = 142
  3. 교장의 강조 내용과 결합기제 = 149
  4. 결론 및 제언 = 160
 제7장 학교장의 결합기제와 교사의 대응전략 = 165
  1. 서론 = 165
  2. 교장의 결합기제에 대한 교사의 대응전략 = 169
  3. 교사들의 대응전략이 학교조직에서 가지는 함의 = 185
  4. 결론 및 제언 = 189
제3부 학교조직 구조 = 193
 제8장 비행 학생의 학교조직관 = 195
  1. 서론 = 195
  2. 이론적 배경 = 197
  3. 비행 학생의 학교조직관 = 206
  4. 결론 및 제언 = 217
 제9장 학교운영위원회 구성 집단의 인식 = 223
  1. 서론 = 223
  2. 이론적 배경 = 225
  3. 학교운영위원회에 대한 학교 구성원들의 인식 = 233
  4. 결론 = 240
 제10장 학교조직에서 수업시간표의 기능 = 245
  1. 서론 = 245
  2. 이론적 배경 = 247
  3. 학교조직에서 수업시간표의 기능 분석 = 252
  4. 결론 = 272
제4부 학교조직 활동 = 275
 제11장 신임교사의 교직 적응 특성 = 277
  1. 서론 = 277
  2. 신임교사의 교직 적응에 관한 선행 연구 = 278
  3. 신임교사들의 교직 적응에 관한 분석 = 284
  4. 결론 및 제언 = 302
 제12장 교내 장학 과정 = 307
  1. 서론 = 307
  2. 선행 연구 분석 = 308
  3.연구 방법 및 과정 = 310
  4. 연구수업 활동 과정 = 311
  5. 연구수업 활동의 의미 = 323
  6. 학교조직의 특성 = 326
  7. 결론 및 제언 = 329
 제13장 교사평가에 대한 교사의 반응과 학교조직관 = 335
  1. 서론 = 335
  2. 평가 체제에 대한 교사들의 반응 = 336
  3. 교사 반응에 나타난 학교조직의 특성 = 345
  4. 결론 = 360
 제14장 교사들의 교내 의사결정 참여 = 363
  1. 서론 = 363
  2. 의사결정 참여의 규범적 준거와 참여 상태 = 364
  3. 교사들의 교내 의사결정 참여 = 374
  4. 연구 결과의 학교조직론적 시사점 = 385
  5. 결론 = 387
제5부 종합 및 결론 = 391
 제15장 학교조직 연구의 과제 = 393
  1. 연구의 주요 내용과 의의 = 393
  2. 향후 연구 과제 = 403
  3. 결론 = 411
찾아보기 = 417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별0점
  • 별5점
  • 별4.5점
  • 별4점
  • 별3.5점
  • 별3점
  • 별2.5점
  • 별2점
  • 별1.5점
  • 별1점
  • 별0.5점
  •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 Tag List

    Tag List 메세지가 없습니다

  • Tag Cloud

    Tag Cloud 메세지가 없습니다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입력
태그보기

처음 오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