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수호전(水滸傳)』은 북송(北宋) 연간에 실재했던 송강(宋江)을 비롯한 도적들의 이야기이다. 이 소설은 출간된 뒤로 대단한 인기를 얻었다. 그러나 지배계층에서는 이 책을 위험한 책으로 인식하여 수차례 금서(禁書)로 지정하였다. 국내에서 이루어진 『수호전』 연구는 시작부터 이 소설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홍길동전』에 끼친 영향이나 수용 관계를 ...
목차 전체
『수호전(水滸傳)』은 북송(北宋) 연간에 실재했던 송강(宋江)을 비롯한 도적들의 이야기이다. 이 소설은 출간된 뒤로 대단한 인기를 얻었다. 그러나 지배계층에서는 이 책을 위험한 책으로 인식하여 수차례 금서(禁書)로 지정하였다. 국내에서 이루어진 『수호전』 연구는 시작부터 이 소설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홍길동전』에 끼친 영향이나 수용 관계를 밝히는 과정에서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수호전』의 국내 유입 시기와 판본의 문제, 이 책을 읽었던 조선 독자들의 인식 문제, 그리고 한글로 번역했던 번역본에 대한 연구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 책은 이러한 전반적인 문제들을 다루었다.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