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머리글 = 5
제1부 유불선은 우리 종교가 아니다 : 한국 종교 제대로 보기
1. 들어가며 = 15
2. 중국과 한국의 도교 전개사 = 19
1) 중국 도교 약사 = 19
2) 한국 도교 약사 = 31
3. 그렇다면 한국의 전통 종교는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 = 38
1) 한국의 종교는 유불선이 아니다 = 38
2) 왜 무교는 우리 ...
목차 전체
목차
머리글 = 5
제1부 유불선은 우리 종교가 아니다 : 한국 종교 제대로 보기
1. 들어가며 = 15
2. 중국과 한국의 도교 전개사 = 19
1) 중국 도교 약사 = 19
2) 한국 도교 약사 = 31
3. 그렇다면 한국의 전통 종교는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 = 38
1) 한국의 종교는 유불선이 아니다 = 38
2) 왜 무교는 우리 전통 가운데 하나가 되어야 하는가? = 44
3) 새로운 종교 전통: 무유불 혹은 무불유 = 62
4. 한국의 시대별 종교 상황 = 69
1) 삼국시대부터 고려까지 = 71
2) 조선부터 지금까지 = 75
3) 한국 종교사의 전개 상황을 정리하며 = 87
5. 한국 종교 전통을 유불선으로 잘못 파악한 예: 한국 미술사학의 경우 = 93
6. 나가며 = 99
제2부 한국 종교사를 어떻게 볼 수 있을까 : 한국 종교사에 나타난 전환점을 중심으로
1. 들어가며 = 103
2. 외재적 입장에서 본 전환점 = 107
1) 첫 번째 큰 사건: 불교의 유입 = 107
2) 두 번째 큰 사건: 기독교의 유입 = 128
3) 작은 사건: 유교의 국교화 = 143
3. 내재적 입장에서 본 전환점: 창의력을 중심으로 = 159
1) 첫 번째 큰 사건: 통일신라 전후의 불교 사상과 문화 = 162
2) 두 번째 큰 사건: 한말의 종교개혁 운동 - 한국형 종교의 출현 = 189
(1) 동학: 개혁 유교의 출현 = 194
(2) 증산교: 토착 신앙의 개혁 = 222
(3) 원불교: 한국형 불교의 탄생 = 244
4. 끝을 맺으며 = 267
찾아보기 = 271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