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1장 유전학 입문 = 1
호피족(Hopis)의 백변증 = 1
1.1 유전학은 개인과 사회 그리고 생물학 연구에 중요하다 = 2
생물학에서 유전학의 역할 = 3
유전적 다양성과 진화 = 4
유전학의 분야 = 4
현대유전학 연구를 위한 모델생물 = 5
1.2 인간은 수천 년 동안 유전학을 이용해 오고 있다 = 7
유전의 초창기 이용...
목차 전체
목차
1장 유전학 입문 = 1
호피족(Hopis)의 백변증 = 1
1.1 유전학은 개인과 사회 그리고 생물학 연구에 중요하다 = 2
생물학에서 유전학의 역할 = 3
유전적 다양성과 진화 = 4
유전학의 분야 = 4
현대유전학 연구를 위한 모델생물 = 5
1.2 인간은 수천 년 동안 유전학을 이용해 오고 있다 = 7
유전의 초창기 이용 및 이해 = 7
유전학의 탄생 = 9
유전학의 미래 = 10
1.3 몇 가지 기본적인 개념들은 유전학으로의 여행을 시작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 11
2장 염색체와 세포 생식 = 14
장님의 수수께끼 = 15
2.1 원핵세포와 진핵세포는 유전 특성이 많이 다르다 = 16
2.2 세포 생식은 유전물질의 복제, 복사본의 분리 및 세포분열을 필요로 한다 = 18
원핵세포 생식 = 18
진핵세포 생식 = 19
세포주기와 체세포분열 = 21
세포주기의 유전적 의미 = 25
개념의 연결: 염색체와 DNA 분자의 수 세기 = 25
2.3 유성생식은 감수분열 과정을 통하여 유전변이를 생성한다 = 25
감수분열 = 26
감수분열의 중요성 = 28
개념의 연결: 체세포분열과 감수분열의 비교 = 32
자매염색분체와 상동염색체의 분리 = 33
동물과 식물의 생활사에서의 감수분열 = 33
3장 유전의 기본 원리 = 42
빨간색 머리카락의 유전학 = 43
3.1 멘델은 유전의 기본 원리를 발견하였다 = 44
멘델의 성공적인 유전 원리의 발견 = 44
유전학용어 = 45
3.2 단성 잡종 교배는 분리의 법칙 및 우성 개념을 알려준다 = 46
단성 잡종 교배는 무엇을 보여주는가? = 47
개념의 연결: 유전교배와 감수분열의 연관성 = 50
유전교배 결과의 예측 = 50
검정교배 = 54
불완전 우성 = 54
유전자 표시법 = 55
개념의 연결: 단성 교배에서의 비 = 56
3.3 양성 잡종 교배는 독립의 법칙을 보여준다 = 57
양성 잡종 교배 = 57
독립의 법칙 = 57
독립의 법칙과 감수분열의 연관성 = 58
양성 잡종에 대한 확률 및 분지도의 적용 = 58
양성 잡종 교배에 대한 검정교배 = 59
3.4 자손에서의 관찰된 비는 우연히 기댓값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 61
적합도 카이자승 검정 = 62
4장 성결정과 반성 형질 = 70
등각류에서의 성 전쟁 = 71
4.1 성은 여러 다른 기작에 의해 결정된다 = 72
염색체적 성결정 체계 = 73
유전적 성결정 체계 = 76
환경적 성결정 = 76
초파리의 성결정 = 77
사람의 성 결정 = 77
4.2 반성 형질은 성염색체상의 유전자에 의해 결정된다 = 80
초파리의 X-연관 흰 눈 = 80
염색체 비분리와 유전의 염색체설 = 81
유전학 모델생물: 초파리(Drosophila melanogaster) = 83
사람의 X-연관 색맹 = 85
X-연관 유전자에 대한 유전자형의 표시 = 86
유전자량 보정 = 87
Z-연관 형질 = 88
Y-연관 형질 = 89
개념의 연결: 반성유전 알아내기 = 91
5장 기본 원리의 확장 및 변형 = 96
퀘놋의 이상한 노랑 생쥐 = 97
5.1 우성은 동일한 유전자 좌위에 있는 유전자 간의 상호작용이다 = 98
5.2 침투, 발현도는 유전자들이 어떻게 표현형으로 발현되는지를 설명한다 = 100
5.3 치사 대립유전자는 표현형 분리비를 변화시킨다 = 100
5.4 하나의 유전자 좌위상에 있는 다중 대립유전자는 2개의 대립유전자만 있을 때에 비해 훨씬 더 다양한 유전자형과 표현형을 만들어낸다 = 101
오리 깃털 패턴 = 101
ABO 혈액형 = 101
5.5 여러 유전자 좌위상에 있는 유전자들이 하나의 표현형을 결정할 때 유전자 상호작용이 일어난다 = 103
새로운 표현형을 생산하는 유전자 상호작용 = 103
상위를 보이는 유전자 상호작용 = 105
개념의 연결: 유전자 상호작용에 의해 나타나는 비율의 해석 = 109
상보성: 돌연변이가 같은 좌위상에 있는지 다른 좌위상에 있는지 결정 = 111
개의 복잡한 털 색깔 유전 = 111
5.6 성은 다양한 방법으로 유전자의 발현과 유전에 영향을 미친다 = 114
종성 형질과 한성 형질 = 114
세포질유전 = 116
모계유전 효과 = 118
유전체각인 = 119
5.7 예후는 다음 세대에 발현이 더 강해지고 빨라지는 형질이다 = 120
5.8 유전자형의 발현은 환경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기도 한다 = 121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환경 효과 = 121
연속 형질의 유전 = 122
6장 가계도 분석, 이용, 유전자 검사 = 128
허친슨-길포드 증후군과 노화의 비밀 = 129
6.1 인체 유전학 연구는 인간 생물학과 문화라는 특수한 상황에 의해 제한 받는다 = 130
6.2 유전학자들은 인간의 유전적 특징에 대한 연구를 위해 종종 가계도를 사용한다 = 131
6.3 가계도 분석에서는 서로 다른 유전 양식으로 발병되는 패턴들을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 132
상염색체 열성 형질들 = 132
상염색체 우성 형질들 = 133
X-연관 열성 형질들 = 134
X-연관 우성 형질 = 136
Y-연관 형질 = 136
6.4 유전자와 환경이 형질 다형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기 위하여 쌍둥이 연구가 이용될 수 있다 = 138
일치도 = 139
쌍둥이 연구와 비만유전 = 140
6.5 입양 연구란 유전자와 환경이 형질의 다양성에 끼치는 영향을 검사하기 위한 또 다른 기술이다 = 141
입양 연구와 비만 = 142
6.6 유전상담은 유전병과 형질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 142
6.7 유전자 검사는 유전 질환의 발생과 유전자 이상이 유전될 가능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 143
산전 유전 검사 = 143
신생아 유전학적 검사 = 147
6.8 인간과 침팬지의 유전체를 비교하여 인간의 특징을 갖게 하는 유전자들을 발견할 수 있다 = 147
7장 연관, 재조합 그리고 진핵세포의 유전자 지도 = 152
스터트반트와 첫 번째 유전자 지도 = 153
7.1 연관유전자들은 독립적으로 분리되지 않는다 = 154
7.2 연관유전자는 같이 이동하고, 교차는 연관군 사이에 재조합을 만든다 = 155
연관군 교배의 표시법 = 156
완전 연관군과 독립의 법칙의 차이점 = 157
연관유전자의 교차 = 159
재조합빈도 결정 = 160
상인과 상반 = 161
개념의 연결: 독립의 법칙과 연관군과 교차를 서로 관련지어 생각해보자 = 163
재조합의 물리적인 증거 = 163
연관유전자 사이에 교차로 결과물의 예측 = 164
독립의 법칙과의 관련성 검증 = 165
재조합빈도에 의한 유전자 지도 작성 = 167
2점 검정교배를 이용한 유전자 지도 작성 = 169
7.3 연관된 3개 유전자의 지도 작성을 위해 사용되는 3점 검정교배 = 170
3점 검정교배를 이용한 유전자 지도 작성 = 170
유전자 순서 결정 = 172
개념의 연결: 3점 교배의 단계별 과정 = 176
다교차의 영향 = 178
인간의 유전자 지도 작성 = 179
분자적 표지체를 이용한 지도 작성 = 180
7.4 특정한 염색체상에 존재하는 유전자의 실질적인 위치를 파악하는 데 사용되는 물리적 지도의 작성법 = 181
염색체결손 지도 = 181
체세포 혼성화 = 182
분자학적 분석을 통한 물리적 지도 작성 = 184
7.5 재조합률은 매우 다양한 변이를 나타낸다 = 184
8장 세균과 바이러스의 유전 = 192
장 내의 방랑자 = 193
8.1 세균의 유전자 분석에는 특수한 기법이 필요하다 = 194
세균의 연구 기법 = 194
세균 유전체 = 196
플라스미드 = 196
세균에서의 유전자 전달 = 197
접합 = 199
자연 상태에서의 유전자 전달과 항생제 내성 = 206
세균의 형질전환 = 207
세균의 유전체 서열 = 209
유전학 모델생물: 대장균(Escherichia coli) = 210
8.2 바이러스는 유전적 분석이 용이한 단순한 복제 체계이다 = 212
박테리오파지 연구 기법 = 212
형질도입: 파지를 이용한 세균 유전자 지도 작성 = 213
개념의 연결: 세균 유전자 지도 작성에 활용되는 세 가지 방법 = 216
파지의 유전자 지도 작성 = 217
박테리오파지 유전자의 미세 구조 분석 = 219
중복 유전자 = 222
RNA 바이러스 = 223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와 AIDS = 224
9장 염색체 변이 = 230
21번 염색체 삼염색체성과 다운 증후군을 유발하는 중요한 염색체 부위 = 231
9.1 염색체 재배열, 이수체, 배수체를 포함한 염색체 돌연변이 = 232
염색체의 구조 = 232
염색체 돌연변이의 형태 = 233
9.2 염색체 재배열은 염색체 구조를 바꾼다 = 234
중복 = 234
결실 = 236
역위 = 238
전좌 = 241
취약부위 = 243
9.3 이수체는 개별적 염색체의 수가 증가하거나 감소한 것이다 = 244
이수성의 종류 = 244
이수성의 영향 = 245
인간의 이수성 돌연변이 = 246
편친형 이염색체성 = 249
모자이크 현상 = 250
9.4 배수성은 염색체 세트를 두 벌 이상 가지고 있다 = 250
동질배수성 = 250
이질배수성 = 251
배수성의 중요성 = 254
9.5 염색체 변이는 진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255
10장 유전자의 화학적 본질 = 258
네안데르탈인의 DNA = 259
10.1 유전물질은 여러 가지 주요 특징을 가지고 있다 = 260
10.2 모든 유전정보는 DNA 또는 RNA의 구조 안에 암호화되어 있다 = 260
DNA 초기 연구 = 260
유전물질로써 DNA = 262
DNA의 입체 구조를 발견한 왓슨과 크릭 = 265
유전물질로써 RNA = 267
10.3 DNA는 2개의 뉴클레오티드 가닥으로 된 이중나선으로 상보적이며 역평행이다 = 267
DNA의 1차 구조 = 267
DNA의 2차 구조 = 270
개념의 연결: DNA 구조에 관한 유전적 의미 = 272
10.4 DNA와 RNA는 특이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 273
11장 염색체 구조와 전이인자 = 278
생명체에는 얼마나 많은 DNA가 있는가? = 279
11.1 많은 양의 DNA가 하나의 세포 안에 응축되어 있다 = 280
11.2 세균 염색체는 하나의 원형 DNA 분자로 구성되어 있다 = 281
11.3 진핵세포의 염색체는 히스톤 단백질과 복합체를 이룬 DNA이다 = 282
염색질 구조 = 282
동원체 구조 = 287
텔로미어 구조 = 288
인공 염색체 = 289
11.4 진핵세포의 DNA는 여러 종류의 염기서열 변이를 포함하고 있다 = 289
DNA의 변성과 복원 = 290
진핵생물에서 DNA 염기서열의 유형 = 290
11.5 전이인자는 이동할 수 있는 DNA 염기서열이다 = 291
전이인자의 일반적 특징 = 291
전이 = 292
전이의 기작 = 292
전이의 돌연변이 효과 = 294
전이의 조절 = 296
11.6 전이인자의 구조는 종류에 따라 다르다 = 297
세균의 전이인자 = 297
진핵생물의 전이인자 = 298
개념의 연결: 전이인자의 종류 = 303
11.7 전이인자의 진화적 의미를 설명하기 위하여 여러 가설이 제시되었다 = 303
12장 DNA 복제 및 재조합 = 308
DNA 복제 열차의 충돌을 막으려면 = 309
12.1 유전정보는 세포가 분열할 때마다 정확히 복사되어야 한다 = 310
12.2 모든 DNA 복제는 반보존적 방법으로 진행된다 = 310
메셀슨과 스탈의 실험 = 311
DNA의 복제 형태 = 313
복제의 필요조건 = 316
복제의 방향 = 316
개념의 연결: 여러 복제 모델에서 복제의 방향 = 318
12.3 DNA 복제는 많은 효소와 단백질을 필요로 한다 = 319
세균의 DNA 복제 = 319
프라이머 = 320
개념의 연결: 복제의 기본 원칙 = 325
진핵세포의 DNA 복제 = 325
DNA 합성과 세포주기 = 328
염색체 말단의 복제 = 328
고세균의 DNA 복제 = 331
12.4 재조합은 절단과 정렬 및 DNA 가닥의 수선을 통해 일어난다 = 331
재조합 모델 = 331
재조합에 필요한 효소 = 332
유전자 전환 = 333
13장 전사 = 338
원시세계에서의 RNA = 339
13.1 단일가닥의 리보뉴클레오티드로 구성되는 RNA는 여러 세포기능에 참여한다 = 340
RNA의 구조 = 340
RNA의 종류 = 341
13.2 전사는 DNA 주형에서 RNA 분자 하나를 합성하는 것이다 = 341
주형 = 342
전사에 필요한 기질 = 345
전사기구 = 346
13.3 세균의 전사 과정은 개시, 신장, 종결로 되어 있다 = 347
개시 단계 = 347
신장 단계 = 350
종결 단계 = 351
개념의 연결: 전사의 기본 규칙들 = 352
13.4 진핵세포의 전사 과정은 세균의 전사와 비슷하지만 몇 가지 중요한 차이가 있다 = 353
전사와 뉴클레오솜의 구조 = 353
프로모터 = 353
개시 단계 = 354
신장 단계 = 356
종결 단계 = 356
13.5 고세균에서의 전사는 진정세균의 전사보다 진핵세포 전사와 더 유사하다 = 357
14장 RNA 분자들과 RNA 가공 = 362
RNA 스플라이싱에 의한 성의 결정 = 363
14.1 대부분의 유전자들은 복잡한 구조를 가진다 = 364
유전자 구성 = 364
인트론 = 365
다시 생각해보는 유전자의 개념 = 366
14.2 진핵생물의 mRNA는 전사 후 변형된다 = 367
mRNA의 구조 = 368
mRNA 전구체 가공 = 368
5'캡(cap)의 첨가 = 368
폴리(A) 꼬리 첨가 = 369
RNA 스플라이싱 = 370
대체 가공 경로 = 373
RNA 편집 = 375
개념의 연결: 진핵세포 유전자 구조와 mRNA 전구체 가공 = 376
14.3 아미노산과 결합하는 tRNA들은 세포에서 전사된 후 변형 과정을 거친다 = 378
tRNA의 구조 = 378
tRNA 유전자의 구조와 가공 = 378
14.4 리보솜의 구성물인 rRNA 또한 전사된 후에 가공 과정을 거친다 = 380
리보솜의 구조 = 380
rRNA 유전자의 구조와 가공 = 380
14.5 소형 RNA 분자들은 진핵세포에 상당한 양이 존재하며 다양한 기능을 한다 = 381
RNA 간섭 = 382
소형 RNA의 유형 = 383
마이크로RNA의 가공과 기능 = 383
유전학 모델생물: 예쁜꼬마선충(Caenorhabditis elegans) = 384
15장 유전암호와 번역 = 390
치명적인 디프테리아 독소 = 391
15.1 많은 유전자들은 단백질을 암호화한다 = 392
1유전자 1효소설 = 392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 = 395
15.2 유전암호는 어떻게 뉴클레오티드 서열이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을 지정해주는가를 결정한다 = 397
유전암호 번역 = 398
암호의 중첩성 = 400
번역틀과 개시코돈 = 402
종결코돈 = 402
암호의 공통성 = 402
개념의 연결: 유전암호의 특징 = 403
15.3 아미노산들은 단백질 합성 기작을 통해서 단백질로 조립된다 = 403
아미노산의 tRNA 결합 = 404
단백질 합성의 개시 = 405
신장 단계 = 407
종결 단계 = 408
개념의 연결: 세균과 진핵세포 번역의 비교 = 409
15.4 단백질 합성에 영향을 주는 RNA와 리보솜의 또 다른 특성 = 411
리보솜 3차원 구조 = 411
폴리리보솜 = 412
전령 RNA 감시 = 413
단백질의 번역후 변형 = 414
번역과 항생제 = 415
비표준 단백질 합성 = 415
16장 원핵생물의 유전자 발현 조절 = 420
세균의 스트레스, 성, 유전자 조절 = 421
16.1 모든 생물에서 유전자 발현은 반드시 조절되어야 한다 = 422
16.2 세균과 진핵생물에서 유전자 조절 과정은 여러 면에서 비슷하다 = 422
유전자와 조절인자 = 423
유전자 조절의 수준 = 423
DNA 결합단백질 = 424
16.3 오페론은 세균의 전사를 조절한다 = 425
오페론 구조 = 425
음성조절과 양성조절: 유도 및 억제 오페론 = 426
대장균의 lac 오페론 = 430
lac 오페론의 돌연변이 = 432
양성조절과 이화억제 = 436
대장균의 trp 오페론 = 438
16.4 일부 오페론은 전사를 조기에 종결하는 전사약화 조절을 통해 조절된다 = 439
대장균 trp 오페론의 전사약화 조절 = 439
trp 오페론에서 전사약화 조절이 필요한 까닭은 무엇일까? = 442
16.5 안티센스 RNA 분자가 mRNA의 번역에 영향을 줄 수 있다 = 443
16.6 리보스위치는 mRNA의 조절인자로 작용한다 = 444
리보스위치와 비타민 B12의 합성 = 444
리보자임의 역할을 하는 리보스위치 = 445
17장 진핵세포의 유전자 발현 조절 = 448
기생동물은 어떻게 숙주를 옮겨 다닐 수 있나? = 449
17.1 진핵세포와 세균은 유전자 조절에 있어 공통적인 특징을 많이 가지지만 몇몇 중요한 점에서 다르다 = 450
17.2 염색질 구조의 변화는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친다 = 450
DNA 분해효소 Ⅰ 고민감성 = 450
히스톤 변형 = 450
염색질 리모델링 = 451
DNA 메틸화 = 452
17.3 전사 개시는 전사인자들과 전사활성인자들에 의하여 조절된다 = 453
전사활성인자, 공동활성인자 그리고 억제인자 = 453
인핸서와 격리자 = 455
조화된 유전자 조절 = 456
17.4 어떤 유전자는 RNA 가공과 분해에 의해 조절된다 = 457
RNA 스플라이싱을 통한 유전자 조절 = 457
RNA 분해 = 459
17.5 RNA 간섭은 유전자를 조절하는 중요한 기작이다 = 459
RNA 간섭에 의한 유전자 조절 기작 = 460
RNA 간섭에 의한 발생 조절 = 461
17.6 어떤 유전자는 번역에 영향을 주는 과정이나 단백질 변형에 의해 조절된다 = 461
개념의 연결: 세균과 진핵세포 유전자 조절의 비교 = 462
유전학 모델생물: 애기장대(Arabidopsis thaliana) = 463
18장 유전자 돌연변이와 DNA 수선 = 466
심장이 없는 파리 = 467
18.1 돌연변이는 유전성 DNA 염기서열의 변화이다 = 468
돌연변이의 중요성 = 468
돌연변이의 종류 = 468
유전자 돌연변이의 종류 = 469
돌연변이의 표현형 효과 = 472
억제 돌연변이 = 472
돌연변이율 = 476
18.2 돌연변이는 잠재적으로 자연적 또는 인위적인 요인들에 의해 발생된다 = 478
자발적인 복제실수 = 478
자발적인 화학적 변화 = 480
화학적으로 유발되는 돌연변이들 = 482
방사선 = 485
18.3 돌연변이는 유전학자의 큰 연구 관심 부분이다 = 486
복귀 돌연변이의 분석 = 486
에임즈 검사를 이용한 돌연변이 탐지 = 486
인간의 방사선 피폭 = 488
18.4 여러 기작이 DNA에서의 변화들을 수선한다 = 489
부정합 DNA 수선 = 489
직접 수선 = 491
염기절제 수선 = 491
뉴클레오티드 절제 수선 = 492
다른 유형의 DNA 수선 = 493
개념의 연결: DNA 수선의 기본경로 = 493
잘못된 DNA 수선과 유전병 = 493
19장 분자 유전적 분석과 생명공학 = 498
미래 세계 인구의 식량 공급 = 499
19.1 분자유전학 기술은 생물학에 혁명을 일으켰다 = 500
분자유전학 혁명 = 500
분자 수준에서의 연구 = 500
19.2 분자 기법은 유전자의 분리, 재조합 및 증폭에 이용된다 = 501
DNA 절편의 절단과 연결 = 501
DNA 절편 보기 = 503
서던 블롯팅과 탐침을 이용한 DNA 절편의 위치 찾기 = 504
유전자 클로닝 = 506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한 DNA 절편의 증폭 = 510
응용: 살충제를 가지는 식물의 유전공학적 제작 = 512
19.3 분자적 기법은 흥미로운 유전자를 찾는 데 이용될 수 있다 = 513
유전자 도서관 = 513
원위치 혼성화 = 517
위치추적 클로닝 = 518
In Silico 유전자 발견 = 520
응용: 낭포성 섬유증 유전자의 분리 = 520
19.4 DNA 염기서열을 결정하고 분석할 수 있다 = 522
제한효소 절편길이 다형성 = 522
DNA 염기서열 결정 = 523
DNA 지문법 = 526
응용: 세계무역센터 붕괴로 사망한 사람의 신원 확인 = 526
19.5 분자 기법은 유전자 기능을 분석하기 위해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 528
순유전학과 역유전학 = 528
무작위 돌연변이 유발 = 528
위치지정 돌연변이 유발 = 529
형질전환 동물 = 530
유전자기능결손 생쥐 = 530
유전학 모델생물: 생쥐(Mus musculus) = 532
RNAi를 이용한 유전자 발현 억제 = 534
응용: 사람 질병 치료를 위한 RNAi의 이용 = 535
19.6 생명공학은 분자유전학의 힘을 이용한다 = 536
의약품 = 536
특수 세균 = 536
농산물 = 536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약 = 537
유전자 검사 = 537
유전자 치료 = 538
20장 유전체학과 단백질체학 = 542
꼬리흔들기춤의 암호 해석: 꿀벌의 유전체 = 543
20.1 구조유전체학은 전체 유전체의 DNA 서열을 결정한다 = 544
유전자 지도 = 544
물리적 지도 = 545
전체 유전체 서열분석 = 547
인간 유전체사업 = 548
단일뉴클레오티드 다형성 = 552
복사본 수 변이 = 554
발현 서열 표지(EST) = 554
생물정보학 = 554
20.2 기능유전체학은 유전체에 기초한 접근방법들을 사용하여 유전자들의 기능을 결정한다 = 556
서열에서의 기능 예측 = 556
유전자 발현과 미세배열법 = 557
유전자 발현과 리포터 염기서열 = 560
유전체 수준의 돌연변이 유발 = 560
20.3 비교유전체학은 유전체 진화가 어떻게 이뤄졌는가를 연구한다 = 562
원핵생물 유전체 = 562
진핵생물 유전체 = 564
인간 유전체 = 567
20.4 세포에서 발견되는 모든 단백질을 분석하는 단백질체학 = 568
세포 내 단백질 결정 = 569
친화성 포획 = 570
단백질 미세배열법 = 571
구조단백질체학 = 571
20.5 새로운 유전체 정보는 미래에 잠재적 이익과 염려를 가져다 줄 것이다 = 571
21장 세포소기관 DNA = 576
당나귀: 야생 나귀인가 반 나귀인가? = 577
21.1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는 진핵세포의 세포질 내 소기관이다 = 578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의 구조 = 578
세포소기관에 암호화된 형질의 유전학 = 578
세포공생설 = 582
21.2 미토콘드리아 DNA는 그 크기와 구성이 매우 다양하다 = 583
mtDNA의 유전자 구조와 구성 = 583
mtDNA의 비보편적 코돈 = 585
mtDNA의 복제, 전사, 번역 = 586
mtDNA의 진화 = 587
미토콘드리아 DNA의 변이와 인간의 역사 = 587
유전학 모델생물: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 = 587
21.3 엽록체 DNA는 진정세균 DNA의 여러 특성들과 유사성을 보여준다 = 589
cpDNA의 유전자 구조와 구성 = 590
cpDNA의 복제, 전사, 번역 = 591
cpDNA의 진화 = 591
개념의 연결: 유전체 비교 = 591
21.4 진화적 시간 경과에 따라 유전정보는 핵, 미토콘드리아, 엽록체 간에 서로 이동하였다 = 592
21.5 미토콘드리아 DNA의 손상은 노화와 연관되어 있다 = 593
22장 발생유전학과 면역유전학 = 596
동굴에 사는 물고기의 눈이 없어진 이유 = 597
22.1 발생은 세포의 운명 결정을 통해서 일어난다 = 598
식물의 클로닝 실험 = 598
동물의 클로닝 실험 = 599
22.2 초파리의 패턴 형성은 발생의 유전적 조절을 보여주는 모델이다 = 599
초파리의 발생 = 600
난자축형성유전자 = 600
체절형성유전자 = 604
초파리의 호메오유전자 = 605
다른 생물의 호메오유전자 = 607
개념의 연결: 발생의 조절 = 607
22.3 식물의 꽃 발생을 조절하는 유전자 = 608
꽃의 구조 = 608
꽃 발생의 유전적 조절 = 608
22.4 세포예정사는 발생의 중요한 기작이다 = 610
22.5 발생학 연구를 통하여 진화의 과정과 양상을 이해할 수 있다 = 612
22.6 면역 기능의 발달은 유전자 재배열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 613
면역계의 구성 = 613
면역글로불린의 구조 = 615
항체의 다양성은 어떻게 얻어지나? = 616
T 세포 수용체의 다양성 = 618
주조직 적합성 복합체 유전자 = 618
유전자와 장기 이식 = 619
23장 암 유전학 = 622
팔라딘과 암전이 = 623
23.1 암은 세포증식이라는 특성을 보이는 질병의 집합체이다 = 624
종양형성 = 625
유전병으로서의 암 = 625
암 발생 과정에서 환경요인의 역할 = 627
23.2 많은 종류의 유전자 돌연변이가 암을 유발한다 = 628
발암유전자와 종양억제유전자 = 628
세포분열주기를 조절하는 유전자 = 630
DNA 수선 유전자 = 634
텔로머레이즈를 조절하는 유전자 = 635
혈관형성을 촉진하는 유전자와 종양 확산 = 635
마이크로 RNA와 암 = 635
23.3 염색체 수와 구조의 변화는 종종 암과 관련이 있다 = 636
23.4 특정 암과 연관된 바이러스 = 638
23.5 DNA 메틸화의 변화는 종종 암과 연관된다 = 640
23.6 결장암은 여러 유전자에서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돌연변이를 통해 생긴다 = 640
24장 양적 유전학 = 644
양적 유전학을 이용한 더 살찐 돼지 = 645
24.1 양적 형질은 연속적으로 변하고 많은 형질이 다수의 좌위에 있는 대립유전자의 영향을 받는다 = 646
유전자형과 표현형의 관계 = 646
양적 형질의 유형 = 647
다유전자 유전 = 648
밀의 낟알 색 = 648
다유전자 형질에 대한 유전자 수 결정 = 650
24.2 양적 형질의 분석에 필요한 통계 방법 = 651
분포 = 651
표본과 모집단 = 652
평균 = 652
분산과 표준편차 = 653
상관 = 654
회귀 = 655
다유전자 형질의 연구에 통계 적용하기 = 658
24.3 유전율은 형질의 변이 중 유전적인 비율을 추정하는 데 사용된다 = 658
표현형 변이 = 659
유전율의 유형 = 660
유전율 계산 = 660
유전율의 한계 = 663
양적 형질에 영향을 주는 유전자 위치 찾기 = 665
24.4 유전적으로 다양한 형질은 선택에 반응하여 변한다 = 666
선택에 대한 반응의 예측 = 666
선택반응의 한계 = 668
상관된 반응 = 669
25장 집단 유전학 = 676
큰뿔 양의 유전적 구출 = 677
25.1 유전자형과 대립유전자 빈도는 집단의 유전자 급원을 설명하는 데 이용된다 = 678
유전자 빈도 계산 = 679
대립유전자 빈도 계산 = 679
25.2 하디-바인베르그 법칙은 유전자형과 대립유전자 빈도에 대한 생식의 영향을 설명한다 = 681
하디-바인베르그 평형에서의 유전자형 빈도 = 682
하디-바인베르그 법칙의 가정을 더 상세히 살펴보기 = 682
하디-바인베르그 법칙의 함의 = 682
하디-바인베르그 법칙의 확장 = 683
하디-바인베르그 비율의 검정 = 684
하디-바인베르그 법칙으로 대립유전자 빈도 추정하기 = 685
25.3 선택적인 교배는 집단의 유전자형 빈도에 영향을 준다 = 685
25.4 여러 진화의 작용력은 대립유전자 빈도를 변하게 한다 = 688
돌연변이 = 688
이주 = 690
유전자 부동 = 691
자연선택 = 695
개념의 연결: 대립유전자를 바꾸는 작용력의 일반적인 영향 = 699
26장 진화유전학 = 702
뱉는 유인원의 맛 감지 유전자 = 703
26.1 생물은 집단 내에서 발생하는 유전적 변화를 통해 진화한다 = 704
26.2 많은 자연 집단에 높은 수준의 유전 변이가 존재한다 = 705
분자 수준의 변이 = 705
단백질 변이 = 706
DNA 서열 변이 = 708
26.3 생식적 격리의 진화를 통해 새로운 종이 생긴다 = 711
생물학적 종 개념 = 711
생식적 격리장치 = 711
종분화의 방식 = 712
이소 종분화 = 712
동소 종분화 = 715
종분화와 관련된 유전적 분화 = 716
26.4 일군의 진화사를 상동 형질의 변화를 연구하여 재구성할 수 있다 = 717
상동서열의 줄맞춤 = 719
계통수 만들기 = 719
26.5 진화의 양상은 분자 수준의 변화로 밝혀진다 = 720
분자 진화의 속도 = 720
분자시계 = 722
유전체의 진화 = 723
해답 = 726
용어풀이 = 748
찾아보기 = 767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