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검색

상세정보

한국문학의 탈식민적 주체성 : 이식문학론을 넘어

배개화 지음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서명/저자사항한국문학의 탈식민적 주체성 : 이식문학론을 넘어 / 배개화 지음
개인저자배개화.1970-
발행사항파주 : 창비, 2009
형태사항325 p. ; 23 cm
총서사항서남동양학술총서
ISBN9788936413149
일반주기이 책은 필자의 박사학위논문(서울대학교, 2004)인 ""1930년대 후반 전통담론의 탈식민성 연구""를 수정, 보완하여 출판한 것임
서지주기참고문헌(p. 306-314)과 색인수록
일반주제명Korean literature --1919-1945 --History and criticism
Korean literature --20th century --History and criticism
Postcolonialism in literature
Decolonization in literature
Postcolonialism --Korea --History --20th century
분류기호811.09
언어한국어
  • 보존서고자료신청보존서고자료신청
  • 서가에없는도서 이미지서가에없는도서신청
  • 도서 PICK UP 서비스도서 PICK UP 서비스
  • 인쇄인쇄
  • SMS발송SMS발송

전체

전체 메세지가 없습니다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1035018 811.09 배개화 한 3층 자료실 서가번호 328 대출가능

목차

목차 일부

1장 들어가기 전에 
1. 연구의 목적과 대상 = 14
2. 연구사 검토 = 25
3. 연구의 방향 = 43

2장 이론적 전제들 
1. 전통의 현재성 = 48
2. 외부 전통의 내부화 방식 : 복사 대 번역 = 55
3. 근대 조선어 형성과 근대 민족의 창출 = 59
4. 환유적 운동으로서 조선문학 = 64

3장 조선담론에 나타난 재현적 이중구속과 그 ...

목차 전체

1장 들어가기 전에 
1. 연구의 목적과 대상 = 14
2. 연구사 검토 = 25
3. 연구의 방향 = 43

2장 이론적 전제들 
1. 전통의 현재성 = 48
2. 외부 전통의 내부화 방식 : 복사 대 번역 = 55
3. 근대 조선어 형성과 근대 민족의 창출 = 59
4. 환유적 운동으로서 조선문학 = 64

3장 조선담론에 나타난 재현적 이중구속과 그 극복 
1. 조선학 운동과 저항담론으로서의 전통론 = 77
2. 전통 혹은 조선적인 것의 특수성을 둘러싼 논쟁 = 91
3. 전통과 고전 개념 전유의 두 양상 = 109

4장 조선문학의 역사철학적 근대성에 관한 고찰 
1. 조선어의 근대화와 조선문학의 정의 = 132
2. 민족문학 형식으로서 민족어에 관한 재인식 = 146
3. 한국 근대문학의 양가성 : 전통과 이식 = 181

5장 조선어의 재해석과 심미적 근대성의 구축 
1. 조선어 문장의 규범화와 그 이론적 배경 = 238
2. 조선어의 심미적 가치의 규범화 = 260
3. 전통의 재해석 : 내간체 수용을 중심으로 = 278
4. 조선어학회와 문장의 상관성 = 295

참고문헌 = 306
찾아보기 = 315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별0점
  • 별5점
  • 별4.5점
  • 별4점
  • 별3.5점
  • 별3점
  • 별2.5점
  • 별2점
  • 별1.5점
  • 별1점
  • 별0.5점
  •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 Tag List

    Tag List 메세지가 없습니다

  • Tag Cloud

    Tag Cloud 메세지가 없습니다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입력
태그보기

처음 오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