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2판 머리말 = 3
1판 머리말 = 5
1장 서론 = 13
1. 임상가의 역할 = 13
2. 임상적 평가와 검사사용 = 15
1) 심리검사의 평가 = 17
2) 신뢰도 = 18
3) 타당도 = 20
3. 임상적 판단 = 21
1) 자료의 수집과 종합 = 21
2) 임상적 판단의 정확성 = 22
3) 심리 보고서 = 23
4. ...
목차 전체
2판 머리말 = 3
1판 머리말 = 5
1장 서론 = 13
1. 임상가의 역할 = 13
2. 임상적 평가와 검사사용 = 15
1) 심리검사의 평가 = 17
2) 신뢰도 = 18
3) 타당도 = 20
3. 임상적 판단 = 21
1) 자료의 수집과 종합 = 21
2) 임상적 판단의 정확성 = 22
3) 심리 보고서 = 23
4. 임상적 평가의 단계 = 24
1) 참조적 질문의 평가 = 24
2) 문제의 내용을 파악하기 = 24
3) 자료의 수집 = 25
4) 자료의 해석 = 26
2장 심리적 평가를 위한 면담법 = 29
1. 역사와 발달 = 29
2. 신뢰도와 타당도에 관한 문제들 = 33
3. 평가면담과 사례사 = 34
1) 일반적 고려사항 = 34
2) 면담 방법 = 35
4. 정신상태의 평가 = 36
1) 외모와 행동 = 36
2) 감정(affect & mood) = 37
3) 지각 = 37
4) 사고 = 37
5. 면담자료의 해석 = 39
6. 구조화된 임상적 면담 = 40
3장 행동평가법 = 43
1. 행동평가법의 역사와 발달 = 44
2. 행동평가법의 신뢰도와 타당도 = 47
3. 행동평가법의 장점과 단점 = 48
4. 행동평가의 기법 = 49
1) 행동면담 = 50
2) 행동관찰 = 52
3) 인지적 행동평가 = 56
4) 심리생리적 평가 = 61
5. 자기 보고 검사 = 62
1) Beck의 우울척도 = 63
2) 신뢰도와 타당도 = 63
3) 검사 결과의 해석 = 64
4장 다면적 인성검사: MMPI = 67
1. MMPI의 역사와 발달 = 67
2. MMPI의 신뢰도와 타당도 = 69
3. MMPI의 실시방식 = 70
4. 검사의 해석 = 71
1) 타당도 척도 = 71
2) 임상적 척도 = 81
3) 코드 해석 = 90
5. 한국판 MMPI-2 = 105
1) 개정된 검사문항의 특성 = 106
2) 동형 T점수의 사용 = 106
3) 개정된 타당도척도의 특성 = 107
4) 개정된 내용척도의 특성 = 109
5) 개정된 재구성 임상척도의 특성 = 110
6) 보충척도 = 112
7) 성격벙리 5요인척도 = 116
6. 한국판 다면적 인성검사- 청소년용(MMPI-A) =118
1) 청소년용 MMPI-A 개발의 필요성 = 118
2) 척도의 구성과 해석 = 119
5장 성격평가질문지: PAI = 129
1. PAI의 역사적 배경 = 129
2. PAI의 특징 = 130
3. PAI의 신뢰도와 타당도 = 133
4. PAI의 실시방법 = 135
5. PAI의 해석 = 137
1) PAI의 기본적 해석 전략 = 137
2) 타당성척도 해석 = 139
3) 임상척도 해석 = 140
4) 치료고려척도 해석 = 149
5) 대인관계척도 해석 = 152
6) PAI의 프로파일: 상승척도 쌍의 해석 = 154
6장 Wechsler 지능검사 = 157
1. 지능검사의 역사적 배경 = 157
2. 지능의 특성 = 158
1) 심리측정적 접근 = 159
2) 신경-생리학적 접근 = 161
3) 발달적 이론 = 163
3. WAIS-R의 신뢰도와 타당도 = 164
4. 지능지수의 의미 = 167
5. 검사의 실시: 지침과 주의점 = 169
7. Wechsler 소검사 = 177
1) 언어성 검사 = 177
2) 동작성 검사 = 186
7장 Rorschach 검사 = 195
1. Rorschach 검사의 역사 = 195
2. Rorschach 검사의 특징 = 197
1) 검사반응에 대한 Rorschach의 견해 = 197
2) 검사반응에 대한 과정 = 198
3. Rorschach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 = 200
4. 실시방법과 절차 = 203
1) Rorschach 검사와 검사 배터리 = 204
2) 검사 절차와 실시방법 = 205
3) 검사의 전체 반응 수와 카드당 반응 수 = 207
4) 질문단계 = 208
5. Rorschach 검사의 채점 = 210
1) 영역 채점 = 210
2) 발달질 채점 = 211
3) 반응결정인 = 213
4) 혼합반응, z점수와 형태질 = 230
5) 내용분류와 평범반응 = 235
6) 특수 점수 = 238
7) 구조 요약 = 247
6. Rorschach 검사의 해석 = 261
1) SCHIZ, DEPI, CDI 지표 = 261
2) 통제와 스트레스 인내력 = 263
3) 세 가지 인지적 요소 = 269
4) 정서, 자기지각, 대인지각 = 278
8장 주제 통각 검사: TAT = 297
1. TAT의 역사적 배경 = 297
2. TAT의 신뢰도와 타당도 = 298
3. TAT의 실시 방법 = 302
1) TAT의 여러 실시과정 = 303
4. TAT의 해석 = 308
1) TAT의 기록지 이용방법 = 308
2) 평가 목록 = 309
5. TAT 도판의 전형적 주제 = 318
9장 집-나무-사람 검사: H-T-P 검사 = 335
1. H-T-P 검사의 역사적 배경 = 335
2. H-T-P 검사의 특징 = 336
1) H-T-P 검사를 선택한 이유 = 336
2) H-T-P의 투사적인 측면 = 337
3. H-T-P 검사의 실시 방법 = 339
4. H-T-P 검사의 해석 = 340
1) 집 = 340
2) 나무 = 343
3) 사람 = 351
10장 Bender - Gestalt 검사: BGT = 353
1. BGT의 역사적 배경 = 353
2. BGT의 특징 = 354
1) 판별검사로서의 BGT = 354
2) BGT의 역할 = 354
3. 검사의 실시 = 357
1) 모사단계 - 변형모사단계 = 357
2) T(순간노출단계)-C(모사단계)-R(회상단계) 실시방법 = 360
4. 검사의 채점과 해석: Hutt식 채점 및 해석법 = 360
1) 조직화와 관련된 요인 = 600
5. HABGT의 임상적 적용 = 377
11장 심리검사 보고서 = 383
1. 일반적인 지침 = 385
1) 방식 = 385
2) 검사 해석 = 387
3) 주제 = 387
4) 어떤 검사를 통합시킬 것인가 = 388
5) 원자료의 활용 = 389
2. 심리검사 보고서의 형식 = 390
1) 의뢰된 이유 = 391
2) 평가의 절차 = 392
3) 행동 관찰 = 393
4) 배경정보 = 394
5) 결과 = 395
6) 인상 및 해석 = 396
7) 권고 = 400
3. 임상사례 = 401
1) 개인정보 = 401
2) 나타난 문제 = 401
3) 배경정보 = 401
4) 심리학적 인상 = 403
5) 요약 = 407
6) 권고사항 = 408
부록 = 409
참고문헌 = 469
찾아보기 = 485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