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책머리에 = 3
제1부 임화의 저항과 현재성
제1장 문학미디어 비판과 문화산업에 대한 성찰: 임화의 경우
1. 문제제기 - 임화 문학 연구의 새로운 진전을 위해 = 13
2. 임화 문화담론의 다양한 층위와 맥락 = 17
3. 비판적 해석의 복원을 위한 문학미디어 비판 = 19
4. 문학장의 구조에 대한 통찰과 인식 = 2...
목차 전체
목차
책머리에 = 3
제1부 임화의 저항과 현재성
제1장 문학미디어 비판과 문화산업에 대한 성찰: 임화의 경우
1. 문제제기 - 임화 문학 연구의 새로운 진전을 위해 = 13
2. 임화 문화담론의 다양한 층위와 맥락 = 17
3. 비판적 해석의 복원을 위한 문학미디어 비판 = 19
4. 문학장의 구조에 대한 통찰과 인식 = 22
5. 임화를 기억하기 위해서 = 31
제2장 임화, 혹은 세 가지 저항의 방식
1. 문제제기 - 임화와 저항의 방식 = 34
2. 1940년을 전후한 역사적 상황과 문학적 선택 = 38
3. 문학제도와 문단에 대한 저항 - 「문단적인 문학의 시대」 = 41
4. 예술적 장인정신과 퇴폐에 대한 옹호 - 「시단은 이동한다」외 = 45
5. 전체주의에 대한 저항 - 「전체주의의 문학론」 = 51
6. 임화 비평의 현재성 = 55
제3장 임화의 메타비평과 비평적 자의식
1. 문제제기 - 임화와 비평적 자의식 = 58
2. 임화의 초기 비평론 - 마르크스주의의 전유 = 63
3. 해석비평에 대한 저항 = 68
4. 창조적 비평의 모색과 비평의 독립성 = 73
5. 비평의 재건, 그리고 죽음 = 80
6. 임화 비평과의 대화를 위해 = 82
제4장 임화 시에 나타난 ‘탈식민성’연구
1. 문제제기 - 임화 문학의 문제성과 탈식민주의 = 86
2.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에 근거한 제국주의 비판 = 90
3. ‘현해탄’의 형상화와 식민지 시인의 운명 = 96
4. 제국주의에 대한 직설적 비판과 정치적 시의 세계 = 101
5. 새로운 연구의 지평을 위하여 = 107
제2부 장르의 경계를 횡단하여 / 이태준과 김남천
제1장 이태준 기행문의 현실인식
1. 문제제기 - 이태준 기행문 연구의 필요성 = 111
2. 현실에 대한 환멸과 새로운 역사의식 사이 - 해방 전의 기행문 = 116
3. 『소련기행』과 급격한 사상 전환 = 126
4. 문학적 프로파간다의 세계 - 『혁명절의 모쓰크바』와 『위대한 새 중국』 = 135
5. 새로운 기행문 연구를 위해 = 142
제2장 장인정신, 혹은 스타일리스트의 운명: 이태준의 수필에 대하여
1. 문제제기 - 이태준 연구의 편향을 넘어 = 145
2. 수필과 이태준의 글쓰기 = 149
3. 문학과 체험과 장인정신 = 154
4. 감각과 스타일, 이태준 문학의 복합성 = 159
5. 고완미와 근대성의 길항 = 161
6. 산문, 그 역동적인 텍스트이 세계 = 165
제3장 김남천, 에세이, 허무주의
1. 문제제기 = 167
2. 에세이에 대한 김남천의 사유 = 171
3. 예술의 자율성에 대한 인식과 계급적 지평의 탈피 = 173
4. 풍속에 대한 관심과 문화에 대한 인식 = 181
5. 가족, 고향, 센티멘탈리즘 = 185
6. 맺는 말 - 장르의 경계를 횡단하기 = 187
제3부 비평의 역사와 이론의 운명
제1장 1920년대 내용·형식 논쟁의 재해석
1. 문제제기 - 근대비평 연구의 딜레마 = 193
2. 인용의 정치학과 식민주의적 비평담론 - 박영희 = 199
3. 이중적 담론의 모순과 조직의 논리 - 김기진 = 206
4. 논쟁의 기원 및 민족문제에 대한 객관적 인식 - 양주동 = 210
5. 맺음말 - 내용·형식 논쟁의 의의 = 222
제2장 한국 현대비평사의 기원: 1960년대 비평의 성과와 의미
1. 60년대 비평을 바라보는 시선에 대하여 = 224
2. 4·19혁명과 60년대 문학비평의 인식론적 조건 = 227
3. 민족문학비평의 성장과 문화 = 234
4. 근대적 개인주의와 심미적 비평의 대두 = 244
5. 세대론적 인정투쟁의 욕망과 비평의 자기 성찰 = 251
6. 순수·참여 논쟁과 내면화된 이념의 맥락 = 257
7. 새로운 논의를 기대하며 = 260
제3장 실증적 정리에서 해석학적 지평으로: 해방 이후 현대문학비평 연구사에 대하여
1. 머리말 - 비평 연구의 특성과 난제 = 263
2. 초보적 실증주의에 기반한 비평사 연구 = 267
3. 비평사 연구의 사적 체계화 = 276
4. 근대성에 관한 담론과 해석학적 연구 = 298
5. 비평사 연구의 새로운 전망 = 308
제4장 현대소설 연구와 자생적 이론의 가능성: 외국문화이론 도입 문제를 중심으로
1. 현대소설 연구의 새로우 지평 = 311
2. 외국 문학이론의 수용의 두 가지 한계 = 314
3. 자생적인 현대소설이론의 가능성 =3 17
4. 결론과 전망 = 324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