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책머리에 = 3
1부 날실과 씨실의 시선, 텍스트 자세히 읽기
마음 무거운 날 크낙산으로 가리라 : 김광규의 「크낙산의 마음」= 11
시인과 그리운 영혼의 울림 : 이수익의 「방울소리」= 20
난생의 꿈, 그 미완의 힘 : 김승희의 「달걀속의 生 5」= 28
기다림을 위한 명상과 시적 거리 : 황지우의 「너를 기다리는 동안」 = 36
가고 싶은 생(生...
목차 전체
목차
책머리에 = 3
1부 날실과 씨실의 시선, 텍스트 자세히 읽기
마음 무거운 날 크낙산으로 가리라 : 김광규의 「크낙산의 마음」= 11
시인과 그리운 영혼의 울림 : 이수익의 「방울소리」= 20
난생의 꿈, 그 미완의 힘 : 김승희의 「달걀속의 生 5」= 28
기다림을 위한 명상과 시적 거리 : 황지우의 「너를 기다리는 동안」 = 36
가고 싶은 생(生)의 열망과 풍경소리 : 김명인의 「안정사(安靜寺)」 = 46
풍경으로 태어나는 생(生)의 아름다움 : 정현종의 「나방이 풍경을 완성한다」 = 56
2부 서정시의 순정한 힘
사랑의 양면성과 아니마적 몽상의 세계 : 김소월론 = 67
아청빛 이미지와 화해의 시학 : 윤동주론 = 83
경계공간과 상생(相生)의 거리두기 : 서정주론 = 112
단독자의 고독과 소망의 시학 : 조병화론 = 141
틀 지우는 모든 것들에 대한 무심(無心)의 낙천성 : 천상병론 = 150
이승에서 영원으로 이어지는 탯줄의 상상력 : 오탁번론 = 158
삶을 향한 통찰과 순정한 힘 : 차한수론 = 176
3부 여성시의 존재론적 심연
자유의 길, 구도(求道)의 글쓰기 : 김일엽론 = 187
바람의 영속성과 내면적 탐구 : 김후란론 = 208
타오름과 다스림의 시 : 허영자론 = 215
명징한 이미지와 시적 긴장 : 신달자론 = 238
자의식의 심연과 존재론적 갈망 : 김영교론 = 247
타인과의 교신을 꿈꾸는 시 : 이사라론 = 258
4부 시간의 자취와 상징의 숲
동방의 예지와 성자의 의미 :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매화의 상징적 이미지 = 269
감각화된 아름다움과 시간성의 형상화 :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난초의 상징적 이미지 = 275
몸향기 확산하는 마지막 계절의 꽃 :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국화의 상징적 이미지 = 282
대나무 피리가 만들어내는 투명한 거리 : 한국의 현대시에 나타난 대나무의 상징적 이미지 = 289
순수함과 불변함의 아름다움 : 한국의 현대시에 나타난 소나무의 상징적 이미지 = 296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길의 원형심상과 시적 상상력 = 302
존재의 공간으로서의 '가족' = 320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