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발간사 = 6
축사 = 8
축사 = 10
인사말 = 12
인사말 = 14
일러두기 = 16
Ⅰ. 복음의 전래와 서울의 신앙 공동체
1. 복음의 전래와 교회의 창설 = 38
(1) 복음의 전래 = 38
(2) 교회의 창설 = 40
2. 초기 교회와 서울의 신앙 공동체 = 42
(1) 명례방 공동체 = 42
(2) 주문모 신부와 서울의 ...
목차 전체
목차
발간사 = 6
축사 = 8
축사 = 10
인사말 = 12
인사말 = 14
일러두기 = 16
Ⅰ. 복음의 전래와 서울의 신앙 공동체
1. 복음의 전래와 교회의 창설 = 38
(1) 복음의 전래 = 38
(2) 교회의 창설 = 40
2. 초기 교회와 서울의 신앙 공동체 = 42
(1) 명례방 공동체 = 42
(2) 주문모 신부와 서울의 회장들 = 44
(3) 명도회의 창설과 활동 = 48
(4) 신유박해 = 49
(5) 교회의 재건과 성직자 영입 운동 = 54
3. 조선대목구의 설정과 서울교회 = 56
(1) 조선대목구의 설정과 프랑스 선교사들의 입국 = 56
(2) 기해박해와 서울 신자들 = 59
(3) 김대건 신부와 병오박해 = 62
(4) 최초의 주교 성성식과 성직자 회의 = 64
(5) 목판 인쇄소의 설립 = 66
(6) 병인박해 = 67
4. 서울 신자들의 존재 형태 = 71
(1) 신자수 = 71
(2) 거주지 = 72
(3) 직업 = 76
(4) 신앙생활과 교회 활동 = 78
Ⅱ. 신앙의 자유와 명동본당의 설정
1. 개항과 선교사들의 재입국 = 86
2. 본당의 설정과 초기 활동 = 88
3. 한불수호조약의 체결 = 89
4. 대지 매입과 성당 건축 = 91
(1) 대지 매입 = 91
(2) 1차 대지 분쟁 = 94
(3) 성당 건축과 첫 미사 = 97
(4) 2차 대지 분쟁 = 102
5. 명동본당의 활동 = 103
(1) 주임신부와 교세의 변화 = 103
(2) 회장과 단체의 활동 = 106
(3) 계성학교의 설립 = 108
(4) 고아원ㆍ양로원 운영 = 110
(5) 순교자들의 유해 봉안 = 113
(6) 인쇄소ㆍ〈경향신문〉ㆍ시복 재판 = 114
(7) 기타 - 이완용 피습 사건 = 117
Ⅲ. 일제 시대의 명동본당
1. 1910년대의 명동본당 = 120
(1) 한일합병 이후의 한국교회 = 120
(2) 명동본당의 동향 = 126
(3) 기타 = 131
2. 3ㆍ1 운동 이후의 명동본당 = 131
(1) 문화통치기의 한국교회 = 131
(2) 명동본당의 발전 = 136
(3) 비에모 신부의 부임과 명동본당 = 148
(4) 명동본당의 교육사업 = 151
3. 1930년대 한국교회와 명동본당 = 155
(1) 한국교회의 변화 = 155
(2) 명동본당 단체의 활동 = 157
(3) 명동본당의 이모저모 = 159
4. 일제 말의 교회 탄압과 명동본당 = 162
(1) 전시 동원 체제에서의 한국 천주교회 = 162
(2) 명동본당의 시련 = 168
(3) 명동본당의 변화 = 170
Ⅳ. 광복 이후의 본당 성장
1. 민족의 해방과 명동본당의 활동 = 176
(1) 8ㆍ15 해방과 한국교회 = 176
(2) 본당의 정비와 교세의 신장 = 178
(3) 계성학교의 재개 = 182
(4) 순교자 기념 행사 = 182
(5) 새로운 단체ㆍ기관의 설립 = 184
2. 명동성당 준공 50주년과 본당의 성장 = 185
(1) 명동성당 준공 50주년 기념행사 = 185
(2) 확대되는 신자들의 활동 = 187
(3) 신당동ㆍ가회동본당 신설 = 189
(4) 기타 행사 = 190
(5) 제6대 주임 장금구 신부 부임 = 192
3. 한국전쟁과 명동본당 = 192
(1) 6ㆍ25의 발발과 한국교회 = 192
(2) 북한군의 명동성당 점령 = 194
(3) 신부ㆍ신자들의 피랍과 성당의 피해 = 195
(4) 적극적인 구호활동 = 197
4. 전쟁 이후 시련의 극복 = 198
(1) 본당활동의 재개 = 198
(2) 본당 공동체의 활성화 = 204
(3) 본당시설의 정비와 주보 창간 = 209
(4) 교세의 신장 = 211
(5) 기타 활동 = 213
5. 변화와 쇄신기의 명동성당 = 215
(1) 정치세력의 변동과 한국교회 = 215
(2) 본당의 변화와 활동상 = 216
(3) 교계제도의 설정과 제2차 바티칸 공의회 개최 = 220
(4) 성당의 보수공사 = 221
(5) 성당 종의 교체 = 222
(6) 각종 기념행사 및 사회지도층의 장례미사 = 223
6.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명동본당 = 224
(1)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영향 = 224
(2) 성당 봉헌 재신식 = 226
(3) 본당 단체들의 조직 = 226
(4) 복자 유해의 절두산 이관 = 229
(5) 서울대교구장의 교체와 추기경의 탄생 = 229
(6) 본당의 변화 = 230
(7) 1960년대의 교세 = 232
(8) 각종 후원활동 = 233
(9) 기념미사 및 외국사절의 방문 = 234
Ⅴ. 1970ㆍ80년대 명동본당의 발전과 사회적 위상
1. 본당의 정비와 사목의 확대 = 238
(1) 새로운 전기의 모색 = 238
(2) 성당 보수 및 부속 시설 정비 = 238
(3) 사목위원회의 발족 및 확대 = 241
(4) 교육프로그램의 세분화 = 243
(5) 미사의 다양화 = 244
(6) 신자들의 활동 = 246
(7) 특별미사 거행 = 247
2. 본당 공동체의 활성화와 내실화 = 248
(1) 새로운 본당 단체의 조직 = 248
(2) 본당 시설의 개선 = 249
(3) 교육 프로그램과 농아자를 위한 미사 = 253
(4) 성년 및 복자 시복 50주년 기념 행사 = 254
(5) 명동성당 축성 80주년 기념미사 = 255
(6) 주보(週報)의 변화 = 256
(7) 특별미사 거행 = 256
3. 유신시대 민주화 운동과 명동성당 = 258
(1) 1970년대 초 한국 사회와 천주교회 = 258
(2) 청년과 노동자들의 민주화 요구 = 259
(3) 인혁당 사건과 시노트 신부 사건 = 260
(4) 지학순 주교 사건 = 262
(5) 김상진 자살 사건 = 264
(6) 명동 3ㆍ1절 기도회 사건 = 265
4. 한국 천주교회 창설 200주년과 명동본당 = 268
(1) 사목 활동의 강화 = 268
(2) 평신도 사도직 기구의 조직 = 270
(3) 성당 보존과 부속 시설의 정비 = 272
(4) 교육 프로그램의 개설 = 275
(5) 평신도 활동의 확대 = 277
(6) 새로운 제도의 도입 = 282
(7) 조선교구 설정 150주년과 한국 천주교회 창설 200주년 행사 = 283
(8) 추모미사 및 기념미사 = 287
5. 본당의 새로운 변화와 발전 = 290
(1) 가톨릭 문화와 역사의 정립 = 290
(2) 본당 시설의 변화와 성물의 제작 = 292
(3) 신앙 강좌의 개설 = 296
(4) 사목 활동의 강화 = 297
(5) 평신도의 다양한 활동 = 298
(6) 시위의 증가와 본당의 보호대책 강구 = 301
(7) 제44차 세계성체대회 = 302
(8) 특별 미사 및 기념행사 = 303
6. 1980년대 민주화ㆍ인권운동과 명동성당 = 306
(1) 광주민주화운동 = 306
(2) 부산 미국 문화원 방화사건 = 308
(3) 개헌 서명 운동 = 310
(4) 6월 민주화 항쟁과 명동성당 = 312
(5) 조성만 투신 자살 사건 = 315
Ⅵ. 명동본당의 현재와 미래
1. 성당 축성 100주년과 명동본당 = 318
(1) 성당 축성 100주년 기념사업 = 318
(2) 100주년 기념사업 준비위원회의 결성과 활동 = 321
(3) 100주년 사업추진위원회의 발족과 활동 = 325
(4) 성당 축성 100주년 기념행사 거행 = 329
2. 1990년대 명동본당의 활동 = 334
(1) 효율적인 본당 운영을 위한 노력 = 334
(2) 교육 및 신심 활동 = 337
(3) 사목활동의 확대 = 340
(4) 본당의 교세 변화 = 344
(5) 평신도의 활동 = 347
(6) 서울대교구장의 이ㆍ취임 = 350
(7) 환경ㆍ생명 운동에의 참여 = 352
(8) 세계평화 기원 타종 행사 = 353
(9) 외국사절 방문 및 추도미사 봉헌 = 353
3. 1990년대의 사회 변화와 명동본당 = 354
(1) 시위 문화의 변화와 명동본당 = 354
(2) 외환 위기와 명동 평화의 집 개원 = 361
4. 2000년 대희년과 명동본당 = 364
(1) 2000년 대희년의 개막 = 364
(2) 성당의 보존과 보수 = 364
(3) 본당 시설 개선을 위한 노력 = 368
(4) 순교 정신의 함양 = 371
(5) 신자들의 활동과 성과 = 375
(6) 북한동포들의 방문과 기념미사 = 376
5. 명동본당의 새로운 도약 = 377
(1) 시노드의 개최와 명동 종합 개발 계획 = 377
(2) 적극적인 선교ㆍ사목 활동 = 380
(3) 신심 강화를 위한 노력 = 383
(4) 문화 활동의 적극적인 활용 = 385
(5) 신자들의 활발한 활동 = 386
(6) 새로운 교황과 추기경의 탄생 = 389
(7) 기념 미사 봉헌 = 391
6. 명동본당의 미래 = 392
(1) 본당 신자로서의 소속감 확대 = 392
(2) 기도와 선교의 공동체 = 392
(3) 종합 개발의 완료 = 394
색인 = 395
</vol>
<vol>2
<count>
목차
Ⅰ. 단체사
1. 현재 단체 = 13
(1) 사목협의회 = 14
1) 전례분과위원회
1 성체 분배단 = 22
2 남성 독서단 = 23
3 여성 독서단 = 24
4 미사 해설단 = 25
5 헌금 봉사단 = 26
6 영어 미사 봉사단 = 27
7 성무일도 봉사단 = 28
8 복사단 어머니회 = 28
9 안내선교회 = 29
2) 성음악 분과위원회
1 가톨릭 합창단 = 31
2 가톨릭 여성합창단 = 32
3 로고스 합창단 = 33
4 반주단 = 34
5 기쁜 소리 합주단 = 35
6 세라핌 합창단 = 36
7 무지카 사크라 소년 합창단 = 37
3) 선교분과위원회
1 선교부 = 38
2 예비신자 교리학교 봉사자 운영회 = 39
3 레지오 마리애 = 40
은총이 가득하신 마리아 Cu. (1Cu.), 천상의 어머니 Cu. (2Cu.), 천주의 성모 마리아 Cu. (3Cu.), 모든 이의 어머니 Cu. (4Cu.), 원죄 없이 잉태되신 마리아 Co. 직속
4) 교육분과위원회
1 남성 울뜨레야 = 45
2 여성 울뜨레야 = 46
3 성령 쇄신 봉사회 = 47
4 가톨릭 성서모임 = 47
5 소공동체 = 48
6 성서 백주간 = 49
7 가톨릭 청년 피앗 = 50
8 영어 성서 나눔 (ENTS) = 50
5) 청소년 분과위원회
1 주일학교 초등부 = 52
2 주일학교 중ㆍ고등부 = 53
3 주일학교 솔봉이 = 54
4 학부모회 = 55
6) 청년 분과위원회
1 명동 청년 연합회 = 56
2 청년 성가단 엘리 = 57
3 성우회 = 57
4 명동 청년 성서 모임 = 59
5 한울림 = 60
7) 장년 분과위원회
1 종현회 = 62
2 대건회 = 63
3 범우회 = 64
4 양업회 = 65
5 광암회 = 66
6 하상회 = 67
7 만천회 = 68
8 겨자씨회 = 69
9 녹암회 = 70
8) 노년 분과위원회
1 요셉회 = 71
2 안나회 = 72
9) 여성 분과위원회
1 성모회 = 73
2 완숙회 = 74
3 나자렛 어머니회 = 75
4 루갈다회 = 76
10) 가정사목 분과위원회
1 메리지 엔카운터 (M.E.) = 77
11) 사회사목 분과위원회
1 엘리사벳 장학회 = 78
2 연령회 = 78
12) 문화예술 분과위원회
1 공동체 놀이 연구회 = 80
2 가톨릭 문화 예술인 교우회 = 81
13) 기획홍보 분과위원회
1 쁘로빠간다회 = 82
14) 성소 후원회 = 83
2. 해체 단체 = 85
1 가톨릭 노동 청년회(J.O.C.) = 86
2 가톨릭 민속 연구회 = 86
3 군종 후원회 = 87
4 〈길잡이〉 편집부 = 88
5 나눔의 집 = 89
6 다스온 = 90
7 동그라미 = 90
8 베리타스 기타 합주단 = 91
9 부녀회 = 92
10 서울 명동 학생회 = 92
11 성가 봉사부 = 93
12 성모자비회 = 94
13 성 빈첸시오 아 바울로회 = 94
14 청년 성서 신학회 = 95
15 성삼회 = 96
16 스카우트 = 96
17 아미꾸스 = 97
18 애긍회 = 98
19 종현 (가톨릭) 청년회 = 98
20 하누리 = 99
21 영ㆍ엠마우스 = 100
22 한마음 한몸 운동 명동 본부 = 101
23 해설 반주단 = 101
24 헌화회 = 102
3. 흔적의 단체 = 103
1 가톨릭 여학생회 = 104
2 가톨릭 청년 문화 연구회 = 104
3 가톨릭 청년 단체 전례 연구회 = 104
4 교도 사목 후원회 = 104
5 돈보스코회 = 104
6 명동 고등학교 학생회 = 105
7 벗 = 105
8 복사단 자모회 = 105
9 부부합창단 = 105
10 부형회 = 105
11 사랑회 = 105
12 성모성심회 = 105
13 성모성의회 = 106
14 성 요셉회 = 106
15 신새벽 = 106
16 알 = 106
17 전교부 = 106
18 종현 가톨릭 여자 청년회 = 106
19 중ㆍ고등학생 합창단 = 107
20 파스카 = 107
21 푸른 움 = 107
Ⅱ. 연혁 = 109
Ⅲ. 통계와 자료
역대 교구장 = 140
역대 주임신부 = 142
역대 보좌신부 = 143
역대 수녀 = 152
명동 출신 성직자 = 155
명동 출신 수도자 = 155
2007년 현재 명동 신학생 = 157
본당 역대 사무장ㆍ직원 = 158
건물 연혁 = 162
대지 현황 = 167
교세 = 167
명동본당 재정 상황(1969~2006) = 175
Ⅳ. 명동본당의 인물들
성직자
블랑 주교 = 190
두세 신부 = 191
푸아넬 신부 = 192
비에모 신부 = 193
이기준 신부 = 194
코스트 신부 = 195
크렘프 신부 = 196
뮈텔 대주교 = 197
노기남 대주교 = 198
라리보 주교 = 199
평신도
정남규 = 200
송경섭 = 201
조종국 = 202
김한수 = 203
박준호 = 204
장면과 장발 형제 = 205
정지용 = 207
조원환 = 208
하대응 = 209
현석호 = 210
Ⅴ. 명동본당을 돌아보며
김수창 신부 = 212
김병도 몬시뇰 = 214
정의채 몬시뇰 = 216
송진 신부 = 218
안영수 수녀 = 220
전의영 = 221
윤영길 = 222
김득수 = 223
박영군 = 224
축진재(祝振財) = 226
Ⅵ. 지하 묘역의 성인ㆍ순교자들
성 앵베르 주교 = 229
성 샤스탕 신부 = 229
성 모방 신부 = 230
성 김성우 안토니오 = 231
성 최경환 프란치스코 = 231
푸르티에 신부 = 232
프티니콜라 신부 = 232
이 에메렌시아ㆍ무명 순교자 = 233
Ⅶ. 대담
명동본당의 과거와 미래 = 236
Ⅷ. 명동본당 관련자료
역대 주임신부 서한 = 250
연말 보고서 = 270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