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간행사 = 3
제1부 겨레얼의 원류
Ⅰ. 한국민족의 얼과 정신 / 윤이흠 = 11
1. 서론 : 우리민족의 정체성은 어디에? = 11
2. 민족의 민요, 아리랑 노랫말의 난해성 = 14
3. 길가메쉬 신화와 신중심주의의 사례 = 17
4. 신라인의 이상, 조화와 그 행동양식, 멋 = 21
5. 경험적(經驗的) 현세주의(現世主義)의 ...
목차 전체
목차
간행사 = 3
제1부 겨레얼의 원류
Ⅰ. 한국민족의 얼과 정신 / 윤이흠 = 11
1. 서론 : 우리민족의 정체성은 어디에? = 11
2. 민족의 민요, 아리랑 노랫말의 난해성 = 14
3. 길가메쉬 신화와 신중심주의의 사례 = 17
4. 신라인의 이상, 조화와 그 행동양식, 멋 = 21
5. 경험적(經驗的) 현세주의(現世主義)의 역사적 전개 = 26
6. 경험적(經驗的) 현세주의(現世主義)의 맥락에서 읽은 아리랑 = 34
7. 경험적 현세주의와 다종교상황, 그리고 민족종교 = 37
Ⅱ. 겨레얼로 통해 본 경천사상 / 金洪喆 = 41
1. 경천사상의 발생 = 41
2. 유불도의 경천사상과 그 수용 = 44
3. 경천사상의 확충 = 48
4. 마무리 = 57
Ⅲ. 단군신화(檀君神話)의 개천(開天)사상에 관한 연구 / 최일범 = 61
1. 서론 = 61
2. 개천(開天)의 의미와 주체의 문제 = 65
3. 단군신화의 구조에 대한 두 가지 형태의 연구 = 69
4. 홍익인간 이념의 근원과 인간학적 의미 = 75
5. 결론 = 81
Ⅳ. 홍익인간사상의 현대적 의미와 가치 / 김광린 = 85
1. 서론 = 85
2. 홍익인간사상의 위상과 주요 내용 = 88
3. 홍익인간사상의 현대적 의미와 가치 = 99
4. 맺는말 = 108
Ⅴ. 동아시아의 선맥문명 / 김상일 = 111
1. 仙脈은 한민족의 지적 소유권 = 111
2. 선맥 풍류도와 민족종교 = 119
Ⅵ. 고구려의 민족정신사적 의의 / 최광식 = 135
1. 고구려의 시조신화 = 136
2. 제천의례와 시조묘제사 = 137
3. 유학과 불교 및 도교의 전래와 수용 = 140
4. 고분벽화의 정신세계 = 142
5. 맺음말 = 144
Ⅶ. 조선조의 선비정신과 현실대응 / 송인창 = 147
1. 들어가는 말 = 147
2. 선비의 가치관 = 150
3. 선비의 道義思想과 主體精神 = 158
4. 선비정신과 현실대응 = 165
5. 맺는말 = 169
제2부 겨레얼의 실천
Ⅰ. 겨레얼과 통일운동의 방향 / 丁世鉉 = 175
Ⅱ. 민족전통사상으로 본 남북통일 / 李瑞行 = 187
1. 서론 = 187
2. 민족전통사상의 특성 = 191
3. 한국문화의 종교성과 통일성 = 194
4. 통일한국의 지향이념과 가치관 문제 = 200
5. 통일을 위한 가치 융화방안 및 교육이념 모색 = 205
Ⅲ. 해외 중국조선족의 겨레얼살리기 100년 / 김호웅 = 211
1. 민족적 정체성의 갈등과 접본의 원리 = 213
2. 조선족의 역사적 주체성과 겨레얼 지키기 = 217
3. 조선족공동체의 현실과 정체성 지키기 = 224
4. 맺는말 = 229
Ⅳ. 동학의 정치사상과 개벽 / 임형진 = 233
1. 서론 = 233
2. 동학의 개벽사상 = 235
3. 동학의 정치사상에 나타난 개벽관 = 244
4. 개벽사상의 현재적 의미 = 256
5. 결론 = 264
Ⅴ. 겨레얼의 현대적 의의와 세계화 / 이서행 = 267
1. 머리말 : 한민족을 통한 인류이상실현의지와 평화세계구현 = 267
2. 겨레의 얼과 주체의식 = 272
3. 한국의 고유사상에 나타난 겨레의 얼 = 281
4. 민족종교의 선(仙)사상과 겨레의 얼 = 297
5. 겨레얼의 현대적 의의와 세계화를 위한 국민 새 정신운동 = 304
Ⅵ. 우주철학으로 본 한국의 미래 / 한양원 = 313
1. 우주원리에 대한 철학적 이해 = 313
2. 우주철학적 관점에서 본 오늘날의 세계 = 316
3. 상생시대의 중심 한국 = 318
4. 미래를 대비한 오늘 우리의 자세 = 322
Ⅶ. 광복과 민족종교운동 / 노길명 = 325
1. 서론 = 325
2. 한국민족종교운동의 전개 과정 = 327
3. 한국민족종교의 사상적 특성 = 332
4. 민족적 정체성 회복을 위한 민족종교의 활동 = 334
5. 결론 = 339
Ⅷ. 한국전통사상의 새로운 인식 / 김재완 = 343
1. 머리말 = 343
2. 전통사상이란 무엇인가 = 345
3. 한국전통사상과 외래사상 = 347
4. 한국전통적 사회사상의 근간 = 350
5. 한민족 정신사의 흐름과 그 특성 = 351
6. 민족의 중도(中道)사상과 조화(調和)사상 = 354
7. 맺는말 = 358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