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vol. 1
목차
발간사 / 이상규 = 17
제1부 시(詩) = 29
제2부 시조(時調) = 179
여행 시조 = 186
일반 시조 = 225
제3부 일기(日記) = 235
1940년, 1월부터 12월까지 = 237
제4부 서간문(書簡文) = 387
제5부 소설(小說) = 421
제6부 만필(漫筆) = 457
제7부 기타 산문(其他 散文) = 477
...
목차 전체
vol. 1
목차
발간사 / 이상규 = 17
제1부 시(詩) = 29
제2부 시조(時調) = 179
여행 시조 = 186
일반 시조 = 225
제3부 일기(日記) = 235
1940년, 1월부터 12월까지 = 237
제4부 서간문(書簡文) = 387
제5부 소설(小說) = 421
제6부 만필(漫筆) = 457
제7부 기타 산문(其他 散文) = 477
평론(評論) = 479
수필(隨筆) = 484
감상문(感想文) = 492
기행문(紀行文) = 493
제8부 희곡(戱曲) = 501
부록 : 연구 논문 / 이명재 = 532
부록 : 제목 찾아보기 = 577
vol. 2
목차
제1부 서정시편
1924년 - 1945년
生命의 례물 = 5
님 찾는 마음 = 6
눈 = 6
봄비 = 7
送年詞 = 8
금붕어 = 10
나의 노래 = 11
척촉花 = 11
봄꿈 = 12
바위 = 13
五月 = 14
落協 = 15
별 = 16
帽兒山 = 17
月夜梵鐘 = 18
샘 = 19
鏡泊湖 = 19
浦口의 봄아침 = 20
公園 = 21
實魂 = 22
血痕에 핀 꽃 = 23
땅 = 25
오월의 붉은 맘씨 = 26
驛馬車 = 29
北斗星 = 30
1946년 - 1964년 : 두만강은 사품친다
내 두만강에 묻노라 = 34
라자구 = 41
檄 = 44
옛말 = 45
五一節의 號召 = 49
젊은 내외 = 52
석양의 농촌 = 54
강산도 빛나고 歷史도 새로워라 = 56
그날의 감격은 새로와 = 58
황소야 = 60
존귀한 희생 = 61
참군송 = 64
碑文 = 65
로모의 축전 = 67
선구자 = 69
력사의 한페지 = 71
새 중국의 기발 = 73
혈서 = 75
3대 = 77
천애의 원 = 79
일어서는 거리 = 81
승리한 삼월절 = 83
세기의 기쁜 소식 = 84
분노의 편지 = 87
한강가의 고아들아 = 89
편지 = 91
사랑하는 거리 = 94
연변찬사 = 97
서장에서 온 형제들 = 103
배나무를 심으며 = 105
복원군인 = 106
처녀와 총각 = 107
어머니와 애기 = 109
장백산 = 111
장백산의 전설 = 113
산 = 119
염전 = 119
봄은 어디 먼저 오는가 = 120
사랑하는 조국 = 121
자랑 = 122
이른봄 = 123
유격대를 회억하며 = 124
해바라기 = 124
벽돌 = 125
할아버지의 마음 = 125
홍군전사의 묘 = 126
등대 = 127
당에 드리는 노래 = 129
릉운각에서 = 130
차창 = 131
사랑하는 고향으로 오라 = 132
정월담 남새밭 = 137
새벽의 고조 = 138
1970년 - 1984년 : 저녁노을 단풍길
옛친구 = 148
고향생각 = 148
님 맞으려 = 149
우감 = 149
석탄의 념원 = 150
한 곡조 = 150
꽃피기를 기다려 = 151
생명 = 151
공원의 서정 = 152
고향 = 153
땅의 노래 = 155
가야금을 타니… = 157
정월담 저수지 = 159
바다 = 160
오! 10월이여 = 160
조국송가 = 163
수리개 = 166
변강의 초병 = 168
국경절 = 168
꽃언덕이 보이네 = 169
사회주의 령마루 = 171
고성 = 172
밤비행기 = 173
생일 = 173
우등불 = 173
인민영웅기념비 = 174
나의 노래 = 174
포부 = 176
누에의 한맘 = 177
다시야 후회할가 부랴? = 178
시들줄 모르는 진달래 = 179
들장미 = 180
그 마음 = 180
꿈 = 181
시인 = 182
포옹 = 183
선인장 = 184
그물 = 185
솔씨 = 185
녀인의 통곡소리 = 186
아리랑 = 187
귀여운 소학생 = 189
꽃천 파는 곱단이 = 190
꽃같은 마음 = 190
말… = 191
여흥 = 192
그 소리 = 193
서성릉에 올라서 = 194
농촌의 아침 = 194
그네 = 195
씨름 = 196
고향길에 오른 전사 = 198
고향의 옛말 = 200
장미꽃 = 200
명월호 = 201
들국화 = 202
철모르기 = 202
아침 = 203
진황도에서 = 203
설경 = 204
선경대 풍경 = 204
선경대 즉경 = 205
호수 = 206
도문강다리에서 = 207
백화림 = 208
통화소경 = 208
제비 한쌍 = 209
파초 = 209
가야하 막바지에서 = 210
가을 = 211
백두산과 천지 = 211
금붕어 = 212
수리개 = 212
《7.1》경축 = 213
새아리랑곡 = 214
청춘과 나 = 216
생의 노래 = 217
제2부 한시(漢詩)편
해방전편(1920년 - 1945년)
臥龍山(와룡산) = 223
寄情(쏟는 정) = 223
暑春(늦은 봄) = 224
山夜(산밤) = 225
偶感(우연히) = 226
登仙鏡台(선경대에 올라) = 227
漫吟(나름대로 읊다) = 230
暑春(늦은 봄) = 231
夕陽(석양) = 231
白鶴(갈매기의 노래) = 232
蝴蝶(나비) = 233
漁翁(늙은 어부) = 234
月夜野游(달밤놀이) = 235
해방후편(1946년 - 1982년)
登仙鏡台(선경대에 올라) = 239
早春光(봄빛) = 239
春天(새날) = 241
后繼有人(꽃언덕) = 242
古城(고성) = 244
鏡泊湖一, 二(경박호 1,2) = 246
農村民兵(농촌민병) = 247
忠魂(충혼) = 249
東風(동풍) = 250
逋부(뜻) = 251
湖景(호수) = 252
農村(농촌) = 253
農村夏景(농촌의 여름) = 254
東海(동해) = 255
鷹(독수리) = 256
襟부(감회) = 257
偶永(?조림) = 259
瞻仰烈士碑(원정) = 260
烈士(렬사) = 261
新春(새봄) = 262
千里尋夫(천리길 남편을 찾았건만) = 263
靜夜(고요한 밤) = 264
億詩人(사인) = 265
游北景西山(북경 서산) = 266
何所以(웬 일인고) = 267
氣彈(수소탄) = 267
逋부(회포) = 269
無題(무제) = 269
秋夜(추야유) = 270
부友(벗을 회억하며) = 271
訪友·已亡(세상 뜬 벗) = 272
秋感(추감) = 273
讀書(독서) = 274
院景(원경) = 275
星月夜(별과 달) = 275
風景(풍운) = 276
雪景(설경) = 277
봉産(풍산) = 278
輿地斌(지도) = 279
老人像(로인상) = 281
勤學賦(권학부) = 281
經(만절경륜) = 282
余興(로동여흥) = 283
韶山(소산) = 284
初春(초봄) = 285
勵志(뜻을 가다듬다) = 286
覺后(꿈을 깨고) = 287
登봉在望(풍년) = 288
追부故友(고우를 그려서) = 289
黑人抗暴斗爭(항폭투쟁) = 290
西城一, 二(서성 1, 2) = 292
畏友(외우) = 293
心曠意부(넋) = 295
相逢畏友(외우를 만나서) = 296
西城三(서성 3) = 298
慶"七·一"(≪7·1≫을 경축하여) = 299
水源(수원) = 303
姑娘(처녀) = 304
送春迎夏(봄을 보내며) = 306
長征有感(장정단산) = 308
安圖水庫(안도저수지) = 309
高登(고등) = 309
自适(자적) = 310
雨天揷秧(비오는 날 모내기) = 311
明月(명월구) = 312
氷球比塞(호케이 운동) = 313
登北山(북산에 올라) = 314
無題(무제) = 315
奇인(비상한 애) = 316
延邊(연변) = 317
瓢梨(박배) = 318
甘薯(감자) = 319
積肥動員(적비) = 320
楡樹川(유수천즉경) = 321
圖們江(도문강) = 322
松(솔) = 323
山月(산월) = 325
女英雄(녀영웅) = 326
逋부(후회한들) = 327
부友(벗을 생각하여) = 328
講話發表삽周年(강화발표 30주년) = 329
勤儉(근검) = 330
救國斗爭(구국투쟁) = 331
老詩人(로시인) = 332
英雄湮(영웅담) = 333
哲學(철학) = 334
제3부 서사시편
고향사람들 = 338
풍운기(제1부) = 393
제4부 시론, 산문편
동만의 마경 천험촉도 72정자 척파기 = 573
웃음의 철학(수필) = 583
서정시와 그 작시법(시론) = 584
시창작에서 얻은 몇가지 체득 = 589
박지원의 탁월한 사실주의 문학 = 595
편지 두통 = 603
작가년보 = 605
주요작품목록 = 608
후기 / 김성호 = 609
vol. 3
목차
해방전편
소설
무빈골전설 = 3
수난의 한토막 = 24
두번째 고향 = 36
스트라이크 = 63
그들이 가는 길 = 84
《부흥회》 = 102
暗夜 = 109
「참고」지새는 밤 = 130
靑空 = 152
落第 = 183
「참고」락제 = 188
세정 = 195
거울 = 201
天使와 妖術 = 206
소고기 = 211
"마리아" = 216
피의 교재 = 221
범의 굴 = 232
밀수 = 246
강교장 = 262
개아들 = 283
시
돈 = 291
수필
病窓漫筆 = 292
봄이 그립소 = 301
절필사 = 305
평론
滿洲朝鮮文學과 作家의 情熱 = 326
해방후편
소설
새로운 마을 = 335
마을의 사람들 = 363
마을의 勝利 = 370
행복을 아는 사람들 = 384
고향길에서 = 403
정수와 나 = 413
기다려지는 마음 = 427
일기의 운명 = 439
시
조국찬가 = 454
일제 통치 시기에 참살된 료원탄부들의 무덤을 찾아서 = 457
《4인방》죄악을 성토하노라 = 460
수필
행복의 거리를 걸어가며 = 462
청도 해수욕장 = 467
창작 수난 시대 = 472
희곡
아버지와 아들 = 480
평론
"開墾"의 刊行을 祝賀한다 = 486
시조 문학 형식에 대하여 = 488
직은 있었지만 권리는 없었다 = 496
《고려 가요》의 내용과 형식 = 498
연변의 창작에서 제기되는 민족어 규범화 문제 = 506
문학 작품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 515
부록 김창걸년보 = 521
후기 = 535
vol. 6
목차
서문 / 리상권 = 1
인사의 말씀 / 리상규 = 8
해방전 중국조선족문학에서 친일과 친일성향에 대하여 / 최삼룡 = 10
소설편
단편소설
1. 새마을 / 안수길 = 1
2. 목축기 / 안수길 = 56
3. 토성 / 안수길 = 74
4. 취직 / 한찬숙 = 103
5. 밀림의 녀인 / 박영준 = 109
중편소설
6. 마음의 금선 / 현경준 = 143
장편소설
7. 도라오는 인생 / 현경준 = 286
8. 북향보 / 안수길 = 437
시편
9. 락토만주 / 윤해영 = 744
10. 척토기 / 윤해영 = 745
11. 오랑캐고개 / 윤해영 = 746
12. 만주아리랑 = 748
13. 만주메나리 / 최수복 = 750
14. 예서 기리사리다 / 리포영 = 753
15. 장형사 / 손지영 = 755
16. 대동대가 / 리길생 = 757
17. 안봉선/리길생 = 759
18. 경신원단 / 송철리 = 761
19. 기염 / S.S.Y = 765
20. 시인 / 송석영 = 767
21. 만주에서 / 조학래 = 769
22. 류역 / 조학래 = 770
23. 사막 / 신상보 = 772
24. 대지의 모 / 최분옥 = 773
25. 설야일기 / 최재철 = 775
26. 밤 / 최종식 = 777
27. 파대 / 리호남 = 779
28. 수 / 류치환 = 781
수필편
29. 새국민적자각 / 권충일 = 783
30. 재만동포의 각오 / 신철회 = 789
31. 우리들의 진로 / 김순동 = 793
32. 하르빈에서 / 홍양명 = 796
33. 도강에 감회깊은 안동성 / 신언룡 = 801
34. 료하의 운명 / 신영철 = 825
희곡편
35. 김동한 / 김우석 = 830
후기 / 김성호 = 858
vol. 23
목차
서문 / 리성권
인사의 말씀 / 리상규
장편소설
구중비사 = 1
전기문학
김유신장군전 = 219
기생문·자서전
황산기행 = 465
흘러간 60평생 = 492
작자년보 = 530
후기 / 김성호 = 534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