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제1장 불교 교육의 이념과 역사
건학100주년 기념사업 화보 = XXXIII
동국대학교 건학 100주년 축시 = XXXVIII
교훈ㆍ건학이념ㆍ교육목적 = XL
교표ㆍ교가 = XLI
역대 이사장ㆍ총장 명단 = XLII
일러두기 = XLIII
백년 연표 = 691
찾아보기 = 763
제1절 불교의 교육이념과 발전 과정
1. 불교의 교육...
목차 전체
목차
제1장 불교 교육의 이념과 역사
건학100주년 기념사업 화보 = XXXIII
동국대학교 건학 100주년 축시 = XXXVIII
교훈ㆍ건학이념ㆍ교육목적 = XL
교표ㆍ교가 = XLI
역대 이사장ㆍ총장 명단 = XLII
일러두기 = XLIII
백년 연표 = 691
찾아보기 = 763
제1절 불교의 교육이념과 발전 과정
1. 불교의 교육이념 = 7
2. 승가의 성립과 교육 = 13
3. 대승불교의 대두와 학문적 발전 = 17
4. 중국의 불교 수용과 경전 번역 = 20
제2절 불교의 한반도 전래와 사원교육제도
1. 삼국의 불교 수용 = 22
2. 고려시대의 승려교육 = 33
3. 조선시대의 승려교육 = 37
4. 불교 교육의 의의 = 46
제2장 근대 불교학교의 창립
제1절 근대 불교학교 창립의 시대적 배경
1. 개항과 불교계 개화파의 등장 = 52
2. 일본 불교의 조선 침투 = 55
제2절 명진학교의 창립
1. 근대교육체제의 도입과 불교계의 자각 = 60
2. 명진학교의 창립과 운영 = 65
3. 명진학교의 발전과 위상 = 76
제3절 불교사범학교로의 발전
1. 사립학교령 공포와 교육환경의 변화 = 80
2. 불교사범학교의 출범 = 82
3. 불교사범학교의 운영 = 84
제4절 불교고등강숙으로 재발족
1. 사찰령과 한국 불교의 예속화 = 88
2. 불교고등강숙의 개교와 폐교 = 93
제5절 불교중앙학림의 설립
1. 불교혁신운동의 태동 = 98
2. 불교전문학교 설립의 추진 = 100
3. 불교중앙학림과 지방학림의 설립과 운영 = 103
4. 중앙학림의 3ㆍ1운동 참여와 불교계의 독립운동 = 111
5. 사찰령 폐지운동과 중앙학림의 장기 휴교사태 = 113
제6절 불교전수학교의 설립
1. 불교계 통일과 학교의 재건립 = 122
2. 불교전수학교 개교와 승격운동 = 124
3. 학교 운영과 학제 = 128
4. 학생활동 및 학술활동 = 125
제3장 불교전문학교로의 발전
제1절 중앙불교전문학교의 탄생
1. 중앙불교전문학교의 개교와 운영 = 138
2. 재단의 재정난과 학교 정상화 = 146
3. 학생생활 및 연구활동 = 151
제2절 혜화전문학교로 발전
1. 조계종 재단의 출범과 혜화전문학교의 탄생 = 162
2. 해방 전후의 혜화전문학교 = 167
제4장 동국대학으로의 승격과 성장
제1절 해방 후 한국 사회의 변동과 불교계
1. 미군정하의 교육 및 종교정책 = 184
2. 해방 후 불교계의 변화 = 187
제2절 동국대학으로의 승격
1. 교육환경의 변화와 정규 대학 승격 = 191
2. 동국대학의 학제와 운영 = 196
3. 동국대학의 학풍 = 200
4. 한국전쟁과 동국대학의 수난 = 210
제5장 동국대학교 시대의 도래
제1절 종합대학교로의 승격
1. 전시연합대학의 변화 = 222
2. 종합대학교로의 새로운 출발 = 224
3. 서울 귀환과 대학의 재건 = 229
제2절 대학의 확장과 건물 신축
1. 전쟁 직후의 사회상황과 교육환경 = 235
2. 단과대학 및 대학원의 확대 = 237
3. 대학 건물의 확장 및 신축 = 238
제3절 격변기의 동국대학교
1. 학도호국단 창설과 학생운동의 태동 = 248
2. 4ㆍ19혁명과 학원 민주화 = 251
3. 인사쇄신과 면학 분위기 조성 = 257
4. 5ㆍ16군사쿠데타와 대학의 격동 = 260
5. 학원자율성의 훼손과 시련 = 263
제6장 동국 중흥의 기반 구축
제1절 학원 정상화의 추진
1. 재단 개편과 정관 개정 = 272
2. 인사혁신 및 단과대학의 확대 = 277
3. 한일 국교정상화 반대시위와 김중배 군의 희생 = 283
제2절 동국발전을 위한 기반 조성
1. 행정쇄신과 개교 60주년 행사 = 288
2. 불교 대중화사업의 전개 = 291
3. 성장 동력의 강화 = 293
제3절 성장 기반의 확보
1. 학교법인의 발전과 교육기관 인수 = 302
2. 연구소 확대와 해외 학술교류 = 305
3. 교육시설 및 부설기관의 확장 = 308
4. 유신체제와 대학문화의 위축 = 315
제4절 안정적 발전을 위한 노력
1. 대학 경영의 내실화 = 318
2. 시련과 극복 = 322
3. 동국학원의 정상화 = 326
4. 학생회 조직의 전환 = 335
제7장 경주대학 설립과 동국의 발전
제1절 위기의 시대와 대학
1. 격동의 시대 상황 = 342
2. 제5공화국의 교육정책 = 348
제2절 행정 쇄신과 연구활동의 심화
1. 학사 운영의 변화 = 350
2. 심층적 학술활동을 위한 기반 조성 = 354
제3절 경주대학의 설립
1. 분교 설립의 추진 = 359
2. 경주대학의 개교와 운영 = 363
3. 건물 및 부대시설의 건설 = 365
제4절 동국대학교의 성장과 경주캠퍼스의 발전
1. 대학 환경의 변화와 대응 = 368
2. 학제 및 학사 운영의 변화 = 372
3. 각종 시설의 확충 = 375
4. 경주캠퍼스의 발전 = 379
제5절 경쟁력 확보를 위한 초석 마련
1. 의과대학 설립인가와 개교 80주년 기념행사 = 382
2. 내실 위주의 성장 = 386
3. 경주캠퍼스의 성장과 의대 부속병원 건립 = 390
4. 학내 분위기 쇄신과 대외활동 = 396
제6절 학원민주화와 동국의 시련
1. 학원자주화운동 = 404
2. 입시부정사건과 학원 탄압 = 410
3. 총장서리 체제의 술범 = 414
4. 학원 정상화를 위한 노력 = 417
제8장 동국의 특성화와 교육개혁
제1절 새로운 시작
1. 직선 총장 체제의 출범 = 426
2. 학제 및 학사 운영의 변화 = 428
3. 학술교류 및 학술전산망 구축 = 432
4. 등록금과 동창회비를 둘러싼 논란 = 438
제2절 100주년 청사진 구상과 경주캠퍼스의 성장
1. 100주년기념사업본부의 구성 = 440
2. 경주캠퍼스의 성장과 진통 = 441
제3절 교육개혁의 시동과 교육환경 개선
1. 문민정부의 교육개혁 = 450
2. 총장 직선제 정착 = 451
3. 학부제 시행과 대학원의 성장 = 456
4. 교육환경 개선과 제3캠퍼스 건설계획 = 464
제4절 교육개혁의 추진과 성과
1. 교육개혁의 추진 = 472
2. 학술활동의 심화 및 학술교류 확대 = 475
3. 정보화 시스템의 구축과 운영 = 479
4. 교육개혁의 성과 = 481
5. 개교 90주년 기념행사와 발전기금 조성 = 484
제5절 대학교육정책 변화와 학사 운영의 효율화
1. 대학 교육정책의 변화 = 490
2. 총장 연임과 조직체계의 개편 = 493
3. 학사 운영의 효율화 = 498
제6절 동국비전의 수립과 성장기반 확대
1. 경영진단과 구조조정안 도출 = 504
2. 성과 중심의 조직 구축 = 505
3. '동국비전21'의 수립 = 509
4. 신 중앙도서관 건립 = 510
5. 교육 및 복지 환경 개선 = 517
6. 정보화 대학의 실현 = 525
제7절 학술연구 활동의 심화
1. 학술교류의 확대 = 528
2. 출판사업 활성화와 한글대장경 완간 = 530
3. 학술지원제도의 확대 = 534
제8절 동국불교종합병원의 건립
1. 불교종합병원 설립 추진 = 538
2. 재정확보 문제와 학내 반발 = 540
3. 개원 준비와 지연 = 545
4. 동국의료원의 선진화 = 550
제9절 대외 위상 강화와 이미지 제고
1. 경주캠퍼스의 발전과 자율성 강화 = 556
2. 사회봉사 및 지역사회 활동 = 559
3. 산학연 연계와 정부 지원 = 560
제9장 '100년 동국'의 새로운 미래
제1절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1. 개방화시대의 교육 패러다임 = 570
2. 대학교육의 변화와 구조조정 = 571
제2절 100년 동국의 마스터플랜
1. 변화를 선도하는 대학으로 = 574
2. 중장기 발전계획의 수립 = 582
3. 동국 100년 마스터플랜 수립 = 583
제3절 대학 구조조정에 따른 대응
1. 구조조정에 대비한 전략 마련 = 586
2. 특성화사업계획의 수립과 추진 = 588
3. 성과에 의한 보상체계 구축 = 592
제4절 공부하는 대학으로의 위상 정립
1. 대화를 통한 학내문제 해결 = 596
2. 우수 교원 유치를 위한 제도 변화 = 599
3. 학사제도의 개편 = 601
4. 교육 강화 프로그램의 시행 = 604
5. 대학원의 선진화 = 609
6. 도서관의 효율적 활용 = 612
7. 공간 재배치를 통한 교육환경 개선 = 618
8. 학생복지의 확대 = 624
제5절 경쟁력 우위의 대학 위상 구축
1. 동국대학교병원+한방병원 개원 = 628
2. 대외협력 및 산학연 연계체계 강화 = 632
3. 외부 연구지원에서 거둔 성과 = 639
4. 세계 속의 대학으로 = 644
제6절 동국 100년, 새로운 미래를 향하여
1. 홍보활동 강화와 대학 위상의 제고 = 650
2. 동국비전의 선포 = 656
3. 건학 100주년 기념행사 준비와 동국정신의 원류 = 658
4. 건학 100주년 기념행사 = 673
5. 새로운 100년을 향하여 = 685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