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머리에: 몇 가지 단상 = 5
권복순 - 무대 위의 세계에 대한 호기심이 나를 연극의 세계로 = 23
권성덕 - 나는 이진순 선생님의 제자인 것을 자랑으로 생각한다 = 41
김광규 - 자아를 실현하는 길로써 진지하게 시작(詩作)을 한다 = 59
김광림 - 우리의 연희 전통에서 바탕을 찾아야 된다 = 77
김석만 - 브레히트는 서구 연극 이해의 길잡이다 ...
목차 전체
책머리에: 몇 가지 단상 = 5
권복순 - 무대 위의 세계에 대한 호기심이 나를 연극의 세계로 = 23
권성덕 - 나는 이진순 선생님의 제자인 것을 자랑으로 생각한다 = 41
김광규 - 자아를 실현하는 길로써 진지하게 시작(詩作)을 한다 = 59
김광림 - 우리의 연희 전통에서 바탕을 찾아야 된다 = 77
김석만 - 브레히트는 서구 연극 이해의 길잡이다 = 97
로데, 게르트 - 무대장치는 연극술에 봉사하는 예술이다 = 115
맥과이어, 존 마이클 - 철학은 재미있고, 유쾌하고 유용할 수 있다 = 166
박상규 - 배우의 몸은 악기와 같이 힘 있고 아름다운 소리를 내야한다 = 147
아놀드, 프랑크 - 시가 없는 연극은 죽은 연극이다 = 163
오영수 - 배우가 형상화한 인물은 관객의 머릿속에 남아 파장을 일으킨다 = 185
윤석산 - 잘근잘근 씹을수록 맛이 나는 그런 시가 그리운 요즘 = 197
이강백 - 공연되는 순간마다 사라지는 연극의 소멸성을 사랑한다 = 217
이윤택 - 다른 사람과 더불어 살기 위해서 연극을 한다 = 249
이참 - '나는 독일제 순 한국인'이다 = 267
임인덕 - 걸작 예술 영화는 종교적인 차원으로 승화된다 = 285
장민호 - 다섯 번째 '파우스트'에 다시 한 번 도전해보고 싶다 = 301
정문경 - 전각은 최소의 공간 안에 소우주를 응집한 미의 결정체이다 = 319
정진수 - 연극 예술의 매력은 현장성과 직접성이다 = 329
크노프, 얀 - 브레히트는 21세기의 괴테이다 = 347
한보경 - 연극이란 나의 삶이고 나의 정체성이다 = 367
현길언 - 내 작품의 토양은 제주 설화와 성경이다 = 381
회쉘레, 페터 - 봉함인을 통해서 한국인의 영혼을 이해할 수 있다 = 403
대담자 약력 = 423
찾아보기 = 429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