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총론
1장 병리학 서론 = 3
1. 병리학의 정의 = 3
2. 병리학의 역사 = 4
3. 병인론 = 5
1) 외인 = 5
2) 내인 = 5
4. 질병의 분류 = 6
2장 세포 손상 및 적응 = 7
1. 세포손상 = 7
1) 세포손상의 원인 = 8
2. 세포손상 반응 = 10
1) 세포적응 = 10
2...
목차 전체
목차
총론
1장 병리학 서론 = 3
1. 병리학의 정의 = 3
2. 병리학의 역사 = 4
3. 병인론 = 5
1) 외인 = 5
2) 내인 = 5
4. 질병의 분류 = 6
2장 세포 손상 및 적응 = 7
1. 세포손상 = 7
1) 세포손상의 원인 = 8
2. 세포손상 반응 = 10
1) 세포적응 = 10
2) 가역적 세포손상 = 16
3) 비가역성 세포손상 = 17
4) 세포고사 = 22
5) 세포내 물질축적 = 23
6) 기타변환 = 24
3장 염증 = 26
1. 염증의 정의 = 26
2. 염증의 원인 = 26
3. 염증의 임상증상 = 27
4. 염증의 분류 = 27
1) 급성 염증 = 27
2) 만성 염증 = 39
5. 급성 및 만성 염증의 형태학적 양상 = 39
1) 삼출물의 특성에 의한 분류 = 39
2) 염증의 특수한 형태 = 40
4장 치유와 수복 = 43
1. 재생 = 43
1) 불안정세포 = 43
2) 안정세포 = 44
3) 영구세포 = 44
2. 결합조직에 의한 수복 = 45
3. 창상치유 = 45
4. 창상치유의 이상 = 48
1) 창상 치유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 48
2) 창상치유의 합병증 = 48
5장 면역계 질환 = 49
1. 인체의 방어기작 = 50
1) 선천성 면역 = 50
2) 획득 면역 = 51
3) 면역에 관여하는 세포 = 56
4) 사이토카인 = 60
5) 보체 = 61
2. 과민반응 = 61
1) 제Ⅰ형 과민반응 = 62
2) 제Ⅱ형 과민반응 = 63
3) 제Ⅲ형 과민반응 = 64
4) 제Ⅳ형 과민반응 = 64
5) 제Ⅴ형 과민반응 = 66
3. 자가면역 질환 = 66
1) 전신성 자가면역질환 = 67
2) 국소성 자가면역질환 = 69
4. 이식거부반응 = 70
5. 면역결핍증 = 71
1) 선천성 면역결핍증 = 71
2) 후천성 면역결핍증 = 72
6. 종양면역 = 75
6장 순환장애 = 77
1. 부종 = 77
1) 해부학적 분류 = 78
2) 삼출액과 여출액 = 79
3) 부종의 주요 원인 = 79
4) 부종의 종류 = 79
2. 충혈과 울혈 = 80
1) 충혈 = 80
2) 울혈 = 81
3. 출혈 = 81
1) 출혈의 종류 = 82
4. 혈전증과 혈전 = 83
1) 혈전증의 원인 = 83
2) 혈전증의 성상 = 84
3) 혈전증의 결과 = 84
4) 혈전증을 잘 동반하는 질환 = 84
5. 색전증과 색전 = 85
1) 폐색전증 = 86
2) 전신성 색전증 = 87
3) 공기색전증 = 87
4) 양수색전증 = 87
5) 지방색전증 = 87
6. 경색 = 88
1) 경색의 종류 = 88
2) 경색의 형태학적 변화 = 89
3) 경색증에 의한 조직손상 영향 인자 = 89
7. 허혈 = 90
8. 쇼크 = 90
1) 분류 = 91
9. 탈수증 = 93
7장 감염증 = 95
1. 감염이란? = 95
2. 병원체의 종류 = 96
3. 미생물의 전파 경로 = 97
1) 감염원 = 98
2) 병원체의 배출부위 = 98
3) 감염경로 = 99
4) 미생물 감염에 의한 조식 손상의 징후와 증상의 상관성 = 101
4. 감염증의 일반적 경과 = 101
5. 국소감염과 전신감염 및 병소감염 = 103
6. 법정전염병의 종류 = 103
1) 제1군 전염병 = 103
2) 제2군 전염병 = 104
3) 제3군 전염병 = 104
4) 제4군 전염병 = 104
5) 전염병환자의 분류 = 105
7. 숙주와 미생물간의 상호작용 = 106
1) 미생물측의 병원성 인자 = 106
2) 숙주측의 감염방어 인자 = 108
8. 세균 감염 = 114
1) 그람양성균에 의한 감염 = 114
2) 임균과 수막구균 = 116
3) 장관출혈성 대장균 = 117
4) 세균성 이질 = 120
5) 매독 = 121
6) 장티푸스 = 122
7) 결핵 = 123
8) 클라미디아 = 124
9) 마이코플라스마 = 125
10) 리케차 = 125
11) 바이러스감염 = 126
12) 진균증 = 129
13) 원충 감염 = 129
8장 유전과 선천성 이상 = 132
1. 유전과 그 구조 = 133
1) 유전이란 = 133
2) 유전자의 구조 = 133
3) 유전의 과정 = 135
2. 염색체 = 135
1) 염색체 수의 이상 = 137
3. 선천성이상 = 142
1) 선천성 대사이상 = 142
2) 선천성 기형 = 143
4. 다인자성 유전 질환 = 145
1) 선천성 심장질환 = 145
2) 암 = 145
9장 신생물(종양) = 146
1. 종양의 정의 = 146
2. 종양의 육안적 발육형태 = 147
1) 외생장성 발육 = 148
2) 내생장성 발육 = 148
3) 그밖의 발육형태 = 149
3. 종양의 형태 발생 = 150
4. 종양의 조직학적 구조 = 150
5. 종양의 분류 = 150
1) 양성종양 = 151
2) 악성종양 = 152
6. 종양의 발생 원인 = 158
1) 환경적 요인 = 159
2) 유전적 요인 = 160
7. 종양의 악성도와 병기 = 161
1) 원발 종양의 크기 = 161
2) 림프절의 전이 여부 = 162
3) 원격 전이 여부 = 162
8. 조기암과 진행암 = 162
9. 암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내적요인 = 163
10. 종양의 진단 = 163
1) 조직학적 진단 = 163
2) 세포학적 진단 = 163
3) 방사선에 의한 진단 = 164
4) 종양 표지자에 의한 진단 = 164
10장 노인성 질환 = 172
1. 세포의 노화 = 172
1) 소모설 = 172
2) 유전자설 = 173
2. 노화에 따른 신체의 변화 = 174
1) 중추신경계 = 174
2) 심혈관계 = 174
3) 신장 = 175
4) 폐 = 175
5) 근골격계 = 175
6) 위장관계 = 175
7) 면역계 = 175
3. 노인병 질환 = 176
1) 골다공증 = 176
2) 치매 = 177
각론
11장 순환기계 = 181
1. 심장질환 = 182
1) 심부전증 = 183
2) 선천성 심질환 = 183
3) 허혈성 심질환과 심근경색증 = 188
4) 고혈압과 심비대 = 190
5) 심근염 = 192
6) 심내막염 = 192
7) 심장판막증 = 194
8) 심근병증 = 194
2. 혈관질환 = 195
1) 고혈압 = 195
2) 저혈압 = 198
3) 쇼크 = 200
4) 동맥경화증 = 201
12장 소화기계 = 204
1. 구강 및 타액선 질병 = 204
1) 구강 질환 = 204
2) 구강의 종양 = 207
3) 타액선의 질환 = 207
2. 식도 = 209
1) 식도염 = 209
2) 식도암 = 210
3) 식도정맥류 = 211
4) 바렛 식도 = 212
3. 위 = 212
1) 위염과 장상피화생 = 213
2) 위궤양 = 215
3) 위폴립 = 216
4) 위암 = 217
4. 장 = 219
1) 선천성 기형 = 219
2) 허혈성 병변 = 221
3) 장의 염증 = 221
4) 장의 종양 = 223
5. 복막과 후복막의 질환 = 225
1) 복막염 = 225
2) 후복부의 종양 = 226
6. 간의 순환과 그 장애 = 226
1) 간의 구조와 기능 = 226
2) 알코올에 의한 간장애 = 228
3) 바이러스 간염과 중독성 간염 = 230
4) 간경변증 = 232
5) 바이러스 간염 이외의 간 감염증 = 235
6) 간장의 종양 = 237
7) 황달 = 238
7. 담도의 질환 = 240
1) 담도의 선천이상 = 240
2) 담석증 = 240
3) 담낭염 = 241
4) 간 외 담관암 = 242
5) 췌두부암 = 244
6) 간내성 답즙 정체 = 244
8. 췌장의 질환 = 244
1) 급성 췌장염 = 244
2) 만성 췌장염 = 245
3) 췌장의 종양 = 245
13장 호흡기계 = 247
1. 상기도 = 248
1) 비염 = 248
2) 부비동염 = 249
3) 인두염 = 250
4) 편도선염 = 251
5) 상기도종양 = 252
2. 폐 = 253
1) 폐의 구조와 기능 = 253
2) 무기폐 = 225
3) 폐의 순환장애 = 257
4) 폐의 염증 = 258
5) 진폐와 규폐 = 264
6) 만성 폐색성 폐질환과 억제성 폐질환 = 265
7) 폐종양 = 268
8) 흉막의 질환 = 271
9) 종격동 종양 = 274
14장 조혈기계 = 275
1. 혈구의 일반적 특징 = 275
1) 혈구의 생성 = 275
2) 혈구의 생성 장소 = 276
3) 혈구의 분화 = 276
2. 조혈계 질환 = 278
1) 적혈구 = 278
2) 백혈구 = 281
3) 혈소판 = 287
3. 림프계 질환 = 290
1) 결핵성 림프절 = 291
2) 사르코이드증 = 291
3) 괴사성 림프절염 = 292
4) 전염성 단핵구증 = 292
5) 거대림프절 과형성 = 292
6) 암전이 = 293
7) 악성종양 = 293
8) 비장의 질병 = 295
15장 내분비계 = 297
1. 뇌하수체 = 297
1) 뇌하수체 기능항진증 = 299
2) 뇌하수체 기능저하증 = 300
3) 뇌하수체 후엽증후군 = 300
2. 갑상선 = 301
1) 갑상선 기능항진증 = 302
2) 갑상선 기능저하증 = 302
3. 부갑상선 = 303
1) 부갑상선 기능저하증 = 303
2)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 304
4. 부신 = 305
1) 쿠싱증후군 = 305
2) 알도스테론증 = 306
3) 갈색세포종 = 307
4) 애디슨병 = 307
5. 췌도 = 308
1) 당뇨병 = 308
6. 다발성 내분비선종증 = 309
7. 이소성 호르몬 생산종양 = 312
16장 비뇨기계 = 313
1. 신장과 질환 = 313
1) 신장의 구조와 기능 = 313
2) 신장의 질환 = 315
2. 방광의 질환 = 325
1) 방광염 = 325
2) 요도염 = 326
3) 이행상피암 = 327
17장 생식기계 = 328
1. 여성 생식기 = 328
1) 외음부와 질환 = 328
2) 질 = 331
3) 자궁경부와 질환 = 332
4) 자궁체부 = 335
5) 난관 = 340
6) 난소 = 341
7) 임신과 태반 = 344
8) 유선 = 347
2. 남성 생식기 = 349
1) 고환 및 부고환 = 350
2) 전립선 = 352
18장 신경계 = 355
1. 뇌의 순환장애 = 355
1) 뇌졸중 = 358
2. 뇌·신경계 감염증 = 362
1)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증 = 362
2) 세균 감염증 = 364
3. 뇌의 외상 = 364
1) 두개골 골절 = 365
2) 뇌좌상 = 365
3) 뇌진탕 = 365
4) 경막외 혈종 = 366
5) 경막하 혈종 = 366
4. 탈수초성 질환 = 367
1) 다발성 경화증 = 368
2) 급성 파종성 뇌척수염 = 369
5. 퇴행성 질환 = 369
1) 파킨슨병 = 369
2) 검열반 = 370
3) 유착성 관절낭염 = 371
4) 알츠하이머병 = 371
6. 대사이상 = 372
1) 데이삭스병 = 372
2) 니만 - 피크병 = 373
3) 백질이영양병증 = 373
4) 헐러병 = 373
5) 구리 대사이상 = 374
7. 중독 = 374
1) 일산화탄소중독 = 374
2) 미나마타병 = 374
3) 납중독 = 375
8. 뇌종양 = 375
1) 성상세포종 = 377
2) 핍지교세포종 = 377
3) 상의세포종 = 378
4) 교아세포종 = 378
5) 수아세포종 = 378
19장 감각기계 = 379
1. 청각 = 379
1) 염증 = 379
2) 변성 = 382
3) 종양 = 383
2. 시각기 = 383
1) 염증 = 383
2) 종양 = 390
20장 근골격계 = 392
1. 뼈 = 392
1) 골격계 질환 = 394
2. 관절 = 405
1) 염좌 = 405
2) 탈구 = 406
3) 구축 = 406
4) 강직 = 406
5) 관절염 = 406
6) 통풍 = 409
7) 변성질환 = 409
8) 종양 = 410
3. 근육 = 411
1) 근의 이상수축 = 411
2) 근육의 위축 = 412
3) 근구축 = 413
4) 골화성 근염 = 413
5) 중증 근무력증 = 413
6) 건염 = 414
7) 다발성 근염 = 414
8) 종양 및 종양형태의 병변 = 414
21장 피부 = 416
1. 피부의 구조 = 416
1) 표피 = 416
2) 진피 = 417
3) 피하조직 = 418
2. 피부증후 = 419
1) 원발병소 = 419
2) 속발병소 = 423
3. 감염성 피부질환 = 428
1) 바이러스성 질환 = 428
2) 세균성 질환 = 430
4. 습진성 피부질환 = 433
1) 화폐상 피부염 = 434
2) 접촉성 피부염 = 434
3) 아토피성 피부염 = 434
4) 지루성피부염 = 435
5. 구진인설성 질환 = 436
1) 건선 = 436
2) 박탈 피부염 = 436
3) 장미색 비강진 = 437
4) 편평태선 = 437
5) 두드러기 = 437
6. 수포성질환 = 438
1) 천포창 = 438
7. 지방층염 = 439
1) 결절홍반 = 439
2) 경결홍반 = 439
8. 양성 표피종양 = 440
1) 지루성 각화증 = 440
2) 섬유상 피성용종 = 440
3) 각화극세포종 = 440
9. 표피의 전암 및 상피암 = 441
1) 광선각화증 = 441
2) 기저세포상피암종 = 441
3) 편평세포암종 = 441
4) 파제트병 = 442
10. 진피종양 = 443
1) 피부섬유종 = 443
2) 혈관종 = 443
3) 카포시육종 = 444
4) 황색종 = 444
11. 색소성 장애 = 444
1) 과색소 침착질환 = 444
2) 저색소 침착질환 = 445
3) 멜라닌세포의 증식성질환 = 446
찾아보기 = 449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