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검색

상세정보

樊巖先生集 / 木板本

蔡濟恭(朝鮮) 著

상세정보
자료유형고서
서명/저자사항樊巖先生集 / 蔡濟恭(朝鮮) 著
개인저자채제공
판사항木板本
발행사항[刊寫地未詳] : [刊寫者未詳], [刊寫年未詳]
형태사항目錄1冊, 原集30卷17冊, 共18冊(全33冊) : 四周雙邊 半郭 22 x 17 cm, 有界, 10行20字 註雙行, 上下向黑魚尾 ; 21 x 30 cm
일반주기表題: 樊巖集
版心題: 樊巖集
楮紙
비통제주제어문학-총류
분류기호811
언어중국어
  • 보존서고자료신청보존서고자료신청
  • 서가에없는도서 이미지서가에없는도서신청
  • 도서 PICK UP 서비스도서 PICK UP 서비스
  • 인쇄인쇄
  • SMS발송SMS발송

중앙도서관

중앙도서관 메세지가 없습니다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111284 CL 811 채제공 번v1 1층 고전자료실 RB5-1-3-1 대출불가(별치)
인쇄 SMS발송
2 111285 CL 811 채제공 번v2 1층 고전자료실 RB5-1-3-1 대출불가(별치)
인쇄 SMS발송
3 111286 CL 811 채제공 번v8 1층 고전자료실 RB5-1-3-1 대출불가(별치)
인쇄 SMS발송
4 111287 CL 811 채제공 번v10 1층 고전자료실 RB5-1-3-1 대출불가(별치)
인쇄 SMS발송
5 111288 CL 811 채제공 번v11 1층 고전자료실 RB5-1-3-1 대출불가(별치)
인쇄 SMS발송
6 111289 CL 811 채제공 번v12 1층 고전자료실 RB5-1-3-1 대출불가(별치)
인쇄 SMS발송
7 111290 CL 811 채제공 번v14 1층 고전자료실 RB5-1-3-1 대출불가(별치)
인쇄 SMS발송
8 111291 CL 811 채제공 번v15 1층 고전자료실 RB5-1-3-1 대출불가(별치)
인쇄 SMS발송
9 111292 CL 811 채제공 번v16 1층 고전자료실 RB5-1-3-1 대출불가(별치)
인쇄 SMS발송
10 111293 CL 811 채제공 번v17 1층 고전자료실 RB5-1-3-1 대출불가(별치)
인쇄 SMS발송
11 111294 CL 811 채제공 번v19 1층 고전자료실 RB5-1-3-1 대출불가(별치)
인쇄 SMS발송
12 111295 CL 811 채제공 번v21 1층 고전자료실 RB5-1-3-1 대출불가(별치)
인쇄 SMS발송
13 111296 CL 811 채제공 번v22 1층 고전자료실 RB5-1-3-1 대출불가(별치)
인쇄 SMS발송
14 111297 CL 811 채제공 번v23 1층 고전자료실 RB5-1-3-1 대출불가(별치)
인쇄 SMS발송
15 111298 CL 811 채제공 번v24 1층 고전자료실 RB5-1-3-1 대출불가(별치)
인쇄 SMS발송
16 111299 CL 811 채제공 번v25 1층 고전자료실 RB5-1-3-1 대출불가(별치)
인쇄 SMS발송
17 111300 CL 811 채제공 번v28 1층 고전자료실 RB5-1-3-1 대출불가(별치)
인쇄 SMS발송
18 111301 CL 811 채제공 번v30 1층 고전자료실 RB5-1-3-1 대출불가(별치)
인쇄 SMS발송

초록

목차 일부

조선 후기의 문신인 채제공(蔡濟恭, 1720-1799)의 시문집이다. 저자의 자(字)는 백규(伯規), 호는 번암(樊巖)?번옹(樊翁), 시호(諡)는 문숙(文肅)이다. 본 기관의 소장본은 목판본으로 30권 18책이 있으며, 서문?발문 및 간행년을 알 수 있는 내용은 남아 있지 않다.
  번암선생집의 내용을 규장각소장본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번암선생...

목차 전체

조선 후기의 문신인 채제공(蔡濟恭, 1720-1799)의 시문집이다. 저자의 자(字)는 백규(伯規), 호는 번암(樊巖)?번옹(樊翁), 시호(諡)는 문숙(文肅)이다. 본 기관의 소장본은 목판본으로 30권 18책이 있으며, 서문?발문 및 간행년을 알 수 있는 내용은 남아 있지 않다.
번암선생집의 내용을 규장각소장본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번암선생집은 1791년 정조의 어명과 어정범례(御定凡例)에 의해 편성된 것으로 간행년은 확실치 않으며 60권 27책이다. 이 책은 목록, 수권(首卷) 상편에 사륜(絲綸) 46편, 수권 하편에 사륜 51편 및 어찰(御札) 9편이 실려 있다. 권1-19는 모두 시로 구성되어 있다. 권1은 어정갱화록(御定?和錄)으로 시 57수, 권2는 어정영은록(御定榮恩錄)으로 107수, 권3은 증별운(贈別韻) 등 24수와 단구록(丹丘錄) 상에 78수, 권4 단구록 하에 140수, 권5에 138수, 권6 망미록(望美錄) 상에 61수, 권7 망미록 하에 124수, 권8은 재필록(載筆錄)으로 142수, 권9는 이주록(伊州錄)으로 시 97수, 권10에 시 115수, 권11은 정원록(貞元錄)으로 시 104수, 권12는 관서록(關西錄)으로 79수, 권13-14는 함인록(含忍錄)으로 236수, 권15에 92수, 권16은 알릉곡(謁陵曲) 등 235수, 권17-19는 희년록(稀年錄)으로 320수와 임단록(臨湍錄)의 79수로 되어 있다. 권20-27은 소차(疏箚) 152편, 권28에 서계(書啓) 54편, 권29에 헌의(獻議) 49편, 권30-31에 계(啓) 102편, 권32-33에 서(序) 53편, 권34-35에 기(記) 50편, 권36에 서(書) 20편, 권37-38에 제문 등 89편, 권39-40에 행장 6편, 권41-43은 시장(諡狀) 22편, 권44-48은 신도비명 26편, 권49-53은 묘갈명 58편, 권54는 묘지명 9편, 묘표 8편, 권55는 유사 1편, 전(傳) 14편, 권56은 발(跋) 14편, 권57에 비명 13편, 권58에 명 24편?송(頌) 2편?찬(贊) 13편?반교문(頒敎文)?전(箋) 각 1편?장(狀) 2편?상량문 4편?설(說) 4편, 권59에 잡저 22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사륜(絲綸)과 어정갱화록(御定?和錄), 어정영은록(御定榮恩錄)이 최초에 편입된 것은 역시 정조(正祖)를 보좌한 그의 충정을 드러낸 것이다. 이 책에 수록된 시만도 2,147수에 달하며, 그의 시 형식은 시적인 풍취보다는 운문이나 산문적인 경향이 농후하다. 대체적으로 시는 연대순으로 배열되어 있고, 특정한 시기의 작품은 저자 자신이 생전에 단구록(丹丘錄), 망미록(望美錄) 등의 명칭을 설정하여 엮었으며, 각 록(錄)마다 �은 서문이 붙어 있다. 단구록은 1743년(英祖 19) 그가 정시병과(庭試丙科)에 등제하고 그의 부친의 임지인 단양에 가 있는 동안에 지은 시를 모은 것이다. 망미록은 1751년 7월에서부터 1년여의 기간 동안 삼척(三陟)에 은거하면서 지은 것이다. 재필록은 1754년 정월부터 5개월간 북평사(北評事)로 함경도를 순회하는 동안에 지은 것이며, 이천록은 1756년 6월에 이천도호부사(伊川都護府使)로 부임하여 있는 동안에 지은 시이다. 정원록은 1773년 9월부터 다음해 정월까지 판도지겸약원제거(判度支兼藥院提擧)로 있던 시기에 지은 것이다. 관서록은 1774년 관찰사로 평양에 가 있을 때의 시를 모은 것이며, 함인록은 1778년(正祖 2) 5개월 동안 특사로 청경(淸京)에 다녀오는 동안의 기행시이다. 희년록은 1789년 이후에 지은 시들이며, 임단록은 1792년 장단(長湍)에 26일간 유배되었을 때 지은 시이다. 소차는 대체로 알기 쉽고 분명하나 부연설명이 과다한 편이다. 계사(啓辭)?헌의(獻議) 중에는 서학교주(西學敎主) 이존창(李存昌)을 벌할 것을 아뢴 내용이 주목을 끌며, 저자가 천주교에 대한 온건책의 주장자로 알려진 것과 관련, 참고 자료가 된다. 전(傳)은 문체가 건삽하나 전기적(傳奇的)인 면이 있다. 서(書)는 저자의 생존년이나 지위를 볼 때 그 수가 의외로 적은데, 이는 수집이 잘 안된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잡저에 수록된 글들도 전기적인 인물을 다루고 있다.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별0점
  • 별5점
  • 별4.5점
  • 별4점
  • 별3.5점
  • 별3점
  • 별2.5점
  • 별2점
  • 별1.5점
  • 별1점
  • 별0.5점
  •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 Tag List

    Tag List 메세지가 없습니다

  • Tag Cloud

    Tag Cloud 메세지가 없습니다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입력
태그보기

처음 오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