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머리말 = 3
chapter 1 동기이론 개관
제1절 동기의 속성 = 20
1. 개념 및 용어 정의 = 20
2. 동기를 정의할 때의 접근 틀 = 21
3. 인간동기의 구성요소 = 24
4. 관련 개념 = 27
제2절 동기연구 방법 = 32
1. 동기변인 = 32
2. 동기연구에 대한 접근방법 = 33
3. 과학적 이...
목차 전체
목차
머리말 = 3
chapter 1 동기이론 개관
제1절 동기의 속성 = 20
1. 개념 및 용어 정의 = 20
2. 동기를 정의할 때의 접근 틀 = 21
3. 인간동기의 구성요소 = 24
4. 관련 개념 = 27
제2절 동기연구 방법 = 32
1. 동기변인 = 32
2. 동기연구에 대한 접근방법 = 33
3. 과학적 이론의 특징 = 37
4. 동기의 측정 = 39
chapter 2 동기이론에 대한 역사적 고찰
제1절 초기 접근 = 44
제2절 현대 동기이론의 배경 = 47
1. Freud 추동이론 = 47
2. Hull의 추동감소이론 = 48
3. 최적 각성이론 = 49
4. 조건화이론 = 50
5. 인본주의 접근 = 52
6. 인지주의이론 = 55
제3절 학업동기이론 = 58
chapter 3 성취동기이론
제1절 이론발달 배경 = 62
제2절 Atkinson의 기대-가치이론 = 65
1. 성취동기와 관련된 개념과 모형 = 65
2. Atkinson 이론의 문제점 = 72
3. 재개념화와 정교화 시도 = 73
4. 성취동기의 측정 = 78
5. 성공공포 = 78
제3절 Atkinson 이론에 대한 대안적 접근 = 82
1. 다차원 구조로서의 성취동기 = 82
2. 성취상황에서 개인적 지향성의 차이 = 83
제4절 성취동기이론의 현 상태 = 84
제5절 교육현장에 대한 적용과 시사점 = 87
제6절 한국교육현장의 성취동기 연구 = 88
chapter 4 귀인이론
제1절 이론발달 배경 = 92
제2절 인과귀인 = 95
1. Heider의 행동에 대한 '소박한 분석' = 95
2. Weiner의 귀인 차원 = 97
3. 인과귀인의 효과 = 101
4. 새로운 귀인 유형의 첨가 = 103
5. 동기에 대한 귀인이론 = 104
6. 타 동기이론에의 적용 = 106
제3절 귀인이론 연구에서의 방법론 및 측정 = 107
1. 귀인 관련 연구방법 = 107
2. 실험연구 = 108
3. 상관연구 = 109
4. 초기 연구방법의 문제점 = 110
5. 귀인 측정 = 111
제4절 교육상황에서의 귀인연구 = 114
1. 교육장면에서 귀인성향 발달 경향 = 114
2. 학업성취와의 관계 = 116
제5절 교육현장에의 시사점 = 118
1. 전반적 적용 = 118
2. 귀인 변경 = 120
제6절 귀인이론의 현 상태 = 122
제7절 한국 교육현장의 귀인연구 = 123
1. 전반적인 연구경향과 결과 = 123
2. 측정도구 = 127
chapter 5 학습된 무기력이론
제1절 학습된 무기력 현상 = 131
1. 동물연구 = 132
2. 인간연구 = 136
3. 학습된 무기력과 우울증 = 140
제2절 재구성과 수정 모형 = 141
1. 심리적 반동이론과의 통합 = 142
2. 인지적 접근 = 143
3. 학습원 무기력이론에 대한 대안적 설명 = 148
4. 건설적 실패이론 = 150
제3절 학습된 무기력의 예방과 증상 완화 = 152
제4절 교육현장에 대한 시사점과 적용 = 154
제5절 한국교육현장의 학습된 무기력 연구 = 156
제5절 결론 = 159
chapter 6 내재동기이론
제1절 내재동기의 정의 = 165
1. 개념적 정의 = 165
2. 조작적 정의 = 166
3. 내재동기와 흥미 = 168
4. 내재동기이론 = 169
제2절 효율동기이론과 숙달동기이론 = 170
제3절 개인적 인과성이론 = 173
1. '주인' 의식과 노예' 의식 = 173
2. 경험적 연구 증거 = 174
제4절 인지평가이론 = 175
1. 이론의 기본 방향 = 176
2. 보상의 기능 = 177
제5절 내재동기에 대한 귀인이론적 접근 = 179
1. 과정당화이론 = 180
2. 내인성 귀인이론 = 181
3. 다른 외적 제약의 효과 = 183
4. 귀인이론적 접근에서의 결론 = 184
제6절 보상이 내재동기에 미치는 영향 = 185
제7절 출현동기이론과 플로우 경험 = 191
1. 출현동기의 속성 = 192
2. 플로우의 속성 = 193
3. 풀로우 경험의 특징 = 195
4. 마이크로 플로우 경험 = 197
5. 플로우 활동이 제공하는 보상과 효과 = 198
6. 플로우 상태의 측정 = 199
7. 플로우 모델의 교육현장 적용 연구 = 201
제8절 내재동기의 발달 = 203
제9절 교육현장에 대한 시사점 = 206
제10절 내재동기이론에 대한 평가 및 현 상태 = 209
1. 평가 = 209
2. 이론의 현 상태 = 210
제11절 한국의 내재동기 연구 = 212
1. 내재동기이론 전반 = 212
2. 한국의 플로우 모형 연구 = 213
3. 이론발전 전망 = 215
chapter 7 자기결정성이론
제1절 자기결정성이론의 기본 가정 및 구성요소 = 219
1. 기본 가정 = 219
2. 미니 이론 = 221
제2절 인지평가이론 = 222
제3절 유기적 통합이론 = 224
1. 조절의 내재화 = 224
2. 동기유형 = 225
3. 동기유형들 간의 관계 = 230
4. 동기 합성체와 자율성 지수 = 232
5. 동기유형들과 학업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 = 233
제4절 인과지향성이론 = 234
1. 일반적 인과지향성과 측정 = 235
2. 인과지향성의 관련 변인 = 236
3. 학업상찰 적용 연구의 활성화 방안 = 237
제5절 기본심리욕구이론 = 237
1. 유능성 욕구 = 238
2. 자율성 욕구 = 239
3. 관계성 욕구 = 241
4. 기본심리욕구화 심리적 안정과의 관계 = 243
5. 자율성지지의 영향 = 247
6. 조건부 관심 = 251
제6절 외재동기의 내재화와 자기결정동기의 발달 경향 = 253
제7절 교육현장에의 적용 및 시사점 = 255
1. 유능성 욕구 충족 = 256
2. 자율성 욕구 충족 = 257
3. 관계성 욕구 충족 = 257
제8절 이론의 현 상태 = 259
제9절 한국의 자기결정성이론 연구 = 260
1. 이론 도입 및 연구 도구 = 260
2. 연구 분야 및 경험적 연구주제 = 261
3. 한국 학생들의 동기특성 = 264
4. 학업성취와 심리적 안녕의 관련 변인 = 266
5. 자율성지지 연구 = 268
chapter 8 자기효능감이론
제1절 이론발달 배경 = 273
1. 자기도식이론 = 273
2. 사회인지적 기초 = 274
3. 이론적 틀 = 274
제2절 자기효능감의 본질 = 276
1. 정의 = 276
2. 특성과 관련 개념 = 277
3. 자기효능감의 발현과정 = 280
4. 자기효능감의 정보원과 발달 = 282
5. 자기효능감 개념에 대한 위계적 접근 = 285
제3절 자기효능감의 측정 = 287
제4절 학업적 자기효능감 = 291
1. 본질 및 기능 = 291
2. 맥락-특수 학업적 자기효능감 = 293
3. 발달적 특징 = 295
4. 성별차이 = 296
제5절 교사효능감 = 298
1. 본질 및 기능 = 298
2. 교사효능감의 정보원 = 302
3. 교사효능감의 측정 = 302
4. 교사들의 집단효능감 = 303
제6절 자기효능감의 증진 = 307
1. 학생의 자기효능감 증진 방안 = 307
2. 증진 훈련 연구결과 = 309
3. 교사효능감 증진 = 311
제7절 자기효능감이론의 발전방향과 전망 = 313
1. 자기조절학습이론과의 통합 = 313
2. 목표설정이론과의 통합 = 315
3. 이론의 현 상태 = 315
제8절 한국교육현장의 자기효능감 연구 = 316
1.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학문적 수행 = 318
2. 증진 프로그램 = 319
3. 교사효능감 연구 = 321
chapter 9 목표설정이론
제1절 이론발달 배경 = 327
제2절 목표와 목표설정 개념 및 기제 = 328
제3절 목표설정 연구결과 = 330
1. 목표의 내용 차원 = 331
2. 목표에 대한 전념 = 334
3. 목표설정 시의 참여 = 336
4. 목표설정과 기대가치 = 338
5. 수행결과에 대한 피드백 = 340
6. 관련 개인차변인 = 341
7. 요약 = 343
제4절 목표설정이론의 현 상태 = 343
1. '높은 수행 순환성' 모험 = 344
2. 자기조절 체계와의 통합 = 346
3. 발전방향 = 349
제5절 교육현장 적용 연구 및 시사점 = 351
1. 자기조절 학습을 통한 목표설정 훈련 = 351
2. 목표설정이론의 교실 적용 = 352
제6절 한국의 목표설정이론 = 354
chapter 10 성취목표이론
제1절 이론발달 배경 = 359
제2절 목표구조의 개념 및 기본 유형 = 361
제3절 성취목표이론의 변천과 연구결과 = 363
1. 새로운 목표구조 = 363
2. 성취목표의 발달경향 = 371
3. 교실목표구조 = 374
제4절 이론의 현 상태 = 377
1. 성취목표의 구조 = 377
2. 상황적 접근 대 특질적 접근 = 378
3. 목표의 본질 = 381
4. 요약 = 382
제5절 교육현장에 대한 시사점 = 383
제6절 한국의 성취목표이론 연구 = 386
1. 이론도입 및 연구동향 = 386
2. 연구주제 = 387
3. 한국 학생들의 성취목표의 유형별 수준 = 389
4. 성취목표 하위 유형들 간의 관계 = 391
5. 교실목표구조 = 391
6. 성취목표의 측정 = 393
7. 요약 = 394
참고문헌 = 397
찾아보기 = 447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