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검색

상세정보

횡단과 경계 = The conversation between study on modern literature and criticism : 근대문학 연구와 비평의 대화

권성우 지음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서명/저자사항횡단과 경계 : 근대문학 연구와 비평의 대화 = The conversation between study on modern literature and criticism / 권성우 지음
개인저자권성우權晟右, 1963-
발행사항서울 : 소명출판, 2008
형태사항326 p. ; 24 cm
총서사항연세근대한국학 ;35(L-030)
ISBN9788956262963
서지주기서지적 각주 수록
비통제주제어근대문학,한국근대문학
분류기호811.09
언어한국어
  • 보존서고자료신청보존서고자료신청
  • 서가에없는도서 이미지서가에없는도서신청
  • 도서 PICK UP 서비스도서 PICK UP 서비스
  • 인쇄인쇄
  • SMS발송SMS발송

전체

전체 메세지가 없습니다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1011720 811.09 권성우 횡 c4 1층 대출·지정도서실 지정완료 지정도서/24시간대출
인쇄 SMS발송
2 1001967 811.09 권성우 횡 3층 자료실 서가번호 328 대출가능
3 1001968 811.09 권성우 횡 c2 3층 자료실 서가번호 328 대출가능
4 1011719 811.09 권성우 횡 c3 3층 자료실 서가번호 328 대출가능
5 1011721 811.09 권성우 횡 c5 3층 자료실 서가번호 328 대출가능

목차

목차 일부

목차

책머리에 = 3

제1부 임화의 저항과 현재성

 제1장 문학미디어 비판과 문화산업에 대한 성찰: 임화의 경우 

  1. 문제제기 - 임화 문학 연구의 새로운 진전을 위해 = 13

  2. 임화 문화담론의 다양한 층위와 맥락 = 17

  3. 비판적 해석의 복원을 위한 문학미디어 비판 = 19

  4. 문학장의 구조에 대한 통찰과 인식 = 2...

목차 전체

목차

책머리에 = 3

제1부 임화의 저항과 현재성

 제1장 문학미디어 비판과 문화산업에 대한 성찰: 임화의 경우 

  1. 문제제기 - 임화 문학 연구의 새로운 진전을 위해 = 13

  2. 임화 문화담론의 다양한 층위와 맥락 = 17

  3. 비판적 해석의 복원을 위한 문학미디어 비판 = 19

  4. 문학장의 구조에 대한 통찰과 인식 = 22

  5. 임화를 기억하기 위해서 = 31

 제2장 임화, 혹은 세 가지 저항의 방식 

  1. 문제제기 - 임화와 저항의 방식 = 34

  2. 1940년을 전후한 역사적 상황과 문학적 선택 = 38

  3. 문학제도와 문단에 대한 저항 - 「문단적인 문학의 시대」 = 41

  4. 예술적 장인정신과 퇴폐에 대한 옹호 - 「시단은 이동한다」외 = 45

  5. 전체주의에 대한 저항 - 「전체주의의 문학론」 = 51

  6. 임화 비평의 현재성 = 55

 제3장 임화의 메타비평과 비평적 자의식 

  1. 문제제기 - 임화와 비평적 자의식 = 58

  2. 임화의 초기 비평론 - 마르크스주의의 전유 = 63

  3. 해석비평에 대한 저항 = 68

  4. 창조적 비평의 모색과 비평의 독립성 = 73

  5. 비평의 재건, 그리고 죽음 = 80

  6. 임화 비평과의 대화를 위해 = 82

 제4장 임화 시에 나타난 ‘탈식민성’연구 

  1. 문제제기 - 임화 문학의 문제성과 탈식민주의 = 86

  2.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에 근거한 제국주의 비판 = 90

  3. ‘현해탄’의 형상화와 식민지 시인의 운명 = 96

  4. 제국주의에 대한 직설적 비판과 정치적 시의 세계 = 101

  5. 새로운 연구의 지평을 위하여 = 107

제2부 장르의 경계를 횡단하여 / 이태준과 김남천

 제1장 이태준 기행문의 현실인식 

  1. 문제제기 - 이태준 기행문 연구의 필요성 = 111

  2. 현실에 대한 환멸과 새로운 역사의식 사이 - 해방 전의 기행문 = 116

  3. 『소련기행』과 급격한 사상 전환 = 126

  4. 문학적 프로파간다의 세계 - 『혁명절의 모쓰크바』와 『위대한 새 중국』 = 135

  5. 새로운 기행문 연구를 위해 = 142

 제2장 장인정신, 혹은 스타일리스트의 운명: 이태준의 수필에 대하여 

  1. 문제제기 - 이태준 연구의 편향을 넘어 = 145

  2. 수필과 이태준의 글쓰기 = 149

  3. 문학과 체험과 장인정신 = 154

  4. 감각과 스타일, 이태준 문학의 복합성 = 159

  5. 고완미와 근대성의 길항 = 161

  6. 산문, 그 역동적인 텍스트이 세계 = 165

 제3장 김남천, 에세이, 허무주의 

  1. 문제제기 = 167

  2. 에세이에 대한 김남천의 사유 = 171

  3. 예술의 자율성에 대한 인식과 계급적 지평의 탈피 = 173

  4. 풍속에 대한 관심과 문화에 대한 인식 = 181

  5. 가족, 고향, 센티멘탈리즘 = 185

  6. 맺는 말 - 장르의 경계를 횡단하기 = 187

제3부 비평의 역사와 이론의 운명

 제1장 1920년대 내용·형식 논쟁의 재해석

  1. 문제제기 - 근대비평 연구의 딜레마 = 193

  2. 인용의 정치학과 식민주의적 비평담론 - 박영희 = 199

  3. 이중적 담론의 모순과 조직의 논리 - 김기진 = 206

  4. 논쟁의 기원 및 민족문제에 대한 객관적 인식 - 양주동 = 210

  5. 맺음말 - 내용·형식 논쟁의 의의 = 222 

 제2장 한국 현대비평사의 기원: 1960년대 비평의 성과와 의미 

  1. 60년대 비평을 바라보는 시선에 대하여 = 224

  2. 4·19혁명과 60년대 문학비평의 인식론적 조건 = 227

  3. 민족문학비평의 성장과 문화 = 234

  4. 근대적 개인주의와 심미적 비평의 대두 = 244

  5. 세대론적 인정투쟁의 욕망과 비평의 자기 성찰 = 251

  6. 순수·참여 논쟁과 내면화된 이념의 맥락 = 257

  7. 새로운 논의를 기대하며 = 260

 제3장 실증적 정리에서 해석학적 지평으로: 해방 이후 현대문학비평 연구사에 대하여 

  1. 머리말 - 비평 연구의 특성과 난제 = 263

  2. 초보적 실증주의에 기반한 비평사 연구 = 267

  3. 비평사 연구의 사적 체계화 = 276

  4. 근대성에 관한 담론과 해석학적 연구 = 298

  5. 비평사 연구의 새로운 전망 = 308

 제4장 현대소설 연구와 자생적 이론의 가능성: 외국문화이론 도입 문제를 중심으로 

  1. 현대소설 연구의 새로우 지평 = 311

  2. 외국 문학이론의 수용의 두 가지 한계 = 314

  3. 자생적인 현대소설이론의 가능성 =3 17

  4. 결론과 전망 = 324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별0점
  • 별5점
  • 별4.5점
  • 별4점
  • 별3.5점
  • 별3점
  • 별2.5점
  • 별2점
  • 별1.5점
  • 별1점
  • 별0.5점
  •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 Tag List

    Tag List 메세지가 없습니다

  • Tag Cloud

    Tag Cloud 메세지가 없습니다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입력
태그보기

처음 오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