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검색

상세정보

한의학 입문

周春才 글·그림 ; 정창현 ; 백유상 ; 장우창 [공]옮김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서명/저자사항한의학 입문 / 周春才 글·그림 ; 정창현 ; 백유상 ; 장우창 [공]옮김
개인저자周春才
정창현
백유상
장우창
발행사항서울 : 청홍, 2007
형태사항351 p. : 삽화 ; 24 cm
총서사항만화로 읽는 중국전통문화총서 ;6
만화 중국전통문화총서 ;6
원서명韓醫學入門
기타표제누구나 알기 쉽게 풀어 쓴 한의학 기초서
ISBN9788990116260
9788990116161(세트)
분류기호610.95
언어한국어
  • 보존서고자료신청보존서고자료신청
  • 서가에없는도서 이미지서가에없는도서신청
  • 도서 PICK UP 서비스도서 PICK UP 서비스
  • 인쇄인쇄
  • SMS발송SMS발송

전체

전체 메세지가 없습니다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934935 610.95 주춘재 한-정 3층 자료실 서가번호 301 대출가능
2 934936 610.95 주춘재 한-정 c2 보존서고B3 B367-2-3 대출가능

목차

목차 일부

목차
추천사 : 만화를 활용하여 한의학 지혜의 창문을 열다 = 4
역자서문 : 한의학을 일깨워주는 그들은 누구인가 = 6
들어가는 말 = 15
제1장 한의학의 음양오행학설(陰陽五行學說)
음양(陰陽)의 기본개념 = 21
인체의 구조 = 25
인체의 기능 = 26
천인상응(天人相應) = 27
인체의 병리적 변화 = 28
오행(五行)의 기본개념 = 30
① 목(...

목차 전체

목차
추천사 : 만화를 활용하여 한의학 지혜의 창문을 열다 = 4
역자서문 : 한의학을 일깨워주는 그들은 누구인가 = 6
들어가는 말 = 15
제1장 한의학의 음양오행학설(陰陽五行學說)
음양(陰陽)의 기본개념 = 21
인체의 구조 = 25
인체의 기능 = 26
천인상응(天人相應) = 27
인체의 병리적 변화 = 28
오행(五行)의 기본개념 = 30
① 목(木)의 특성
② 화(火)의 특성
③ 토(土)의 특성
④ 금(金)의 특성
⑤ 수(水)의 특성
⑥ 오행의 연역(演繹)과 귀류(歸類)
오행의 생(生), 극(克), 승(乘), 모(侮) = 36
① 상승(相乘)
② 상모(相侮)
③ 상승과 상모의 구별
④ 상승과 상모의 관계
오행의 생리(生理) = 40
오행의 병리(病理) = 44
제2장 장상학설(藏象學說)
장상학설(藏象學說) = 48
오장(五臟) = 54
심장(心臟) = 54
폐장(肺臟) = 63
비장(脾臟) = 71
간장(肝臟) = 79
신장(腎臟) = 93
육부(六腑) = 108
담(膽) = 109
위(胃) = 110
소장(小腸) = 113
대장(大腸) = 116
방광(膀胱) = 117
삼초(三焦) = 118
① 상초(上焦)
② 중초(中焦)
③ 하초(下焦)
기항지부(奇恒之腑) = 121
뇌(腦)
수(髓)
골(骨)
맥(脈)
담(膽)
여자포(女子胞)
장부(臟腑) 간(間)의 관계(關係) = 127
장(臟)과 장(臟) 간(間)의 관계(關係) = 127
① 심(心)과 폐(肺)
② 심(心)과 비(脾)
③ 심(心)과 간(肝)
④ 심(心)과 신(腎)
⑤ 폐(肺)와 비(脾)
⑥ 폐(肺)와 간(肝)
⑦ 폐(肺)와 신(腎)
⑧ 간(肝)과 비(脾)
⑨ 간(肝)과 신(腎)
⑩ 비(脾)와 신(腎)
부(腑)와 부(腑) 간(間)의 관계(關係) = 139
오장(五臟)과 육부(六腑) 간(間)의 관계 = 141
① 심(心)과 소장(小腸)
② 폐(肺)와 대장(大腸)
③ 비(脾)와 위(胃)
④ 간(肝)과 담(膽)
⑤ 신(腎)과 방광(膀胱)
제3장 경락학설(經絡學說)
경락(經絡)의 기본개념 = 148
경맥(經脈)의 명명과 분포 = 149
기경팔맥(奇經八脈) = 152
경락의 기능과 작용 = 153
① 생리 방면
② 병리 방면
③ 진단 방면
④ 치료 방면
십이경맥(十二經脈)의 순행과 병후 = 156
기경팔맥(奇經八脈)의 순행과 병후 = 168
제4장 기혈진액(氣血津液)
기혈진액의 기본개념 = 178
기(氣)의 생리기능 = 182
추동(推動)
온후(溫煦)
방어(防御)
고섭(固攝)
기화(氣化)
기(氣)의 분포와 분류 = 187
기(氣)의 운동과 운동형식 = 188
종기(宗氣) = 192
영기(營氣) = 193
위기(衛氣) = 194
혈(血)의 기본개념 = 196
① 혈의 생성
② 혈의 기능
③ 혈의 운행
진액(津液)의 기본개념 = 200
진액(津液)의 생성(生成), 수포(輸布), 배설(排泄) = 201
진액의 기능 = 204
기혈진액의 상관관계 = 205
제5장 한의학의 병인학설(病因學說)
외감육음(外感六淫) = 208
풍(風)-봄 = 211
한(寒)-겨울 = 212
서(暑)-여름 = 214
습(濕)-장하(長夏) = 215
조(燥)-가을 = 217
화(火)-사시(四時) = 219
내상칠정(內傷七情) = 221
희(喜)-심기(心氣) = 221
노(怒)-간기(肝氣) = 222
우(憂)-폐기(肺氣) = 222
사(思)-비기(脾氣) = 223
비(悲)-심폐(心肺) = 224
공(恐)-신기(腎氣) = 225
경(驚)-신기(神氣) = 225
불내불외인(不內不外因) = 227
음식부절(飮食不節) = 227
방실부절(房室不節) = 228
불측사태(不測事態) = 229
제6장 변증시치(辨證施治)
변증시치(辨證施治) = 231
팔강변증(八綱辨證) = 234
① 음양(陰陽)
② 표리(表裏)
③ 한열(寒熱)
④ 허실(虛實)
사진(四診) = 251
문진(問診) = 251
① 한열(寒熱)
② 땀
③ 머리와 몸
④ 흉복(胸腹)
⑤ 음식
⑥ 대소변
⑦ 수면(睡眠)
⑧ 월경
⑨ 대하
⑩ 소아과
망진(望診) = 266
① 망신(望神)
② 망색(望色)
③ 정상색(正常色)
④ 병색(病色)
⑤ 망설(望舌)
⑥ 오관(五官)
문진(聞診) = 285
① 목소리[聲]
② 호흡(呼吸)
③ 해수(咳嗽)
④ 구토(嘔吐)
⑤ 애기(噫氣)
⑥ 구취(口臭)
맥진(脈診) = 288
① 병맥(病脈)의 식별(識別)
② 촉진(觸診)
제7장 한의학의 치료원칙인 팔법(八法)
한법(汗法) = 300
토법(吐法) = 301
하법(下法) = 302
화법(和法) = 305
온법(溫法) = 307
청법(淸法) = 309
소법(消法) = 310
① 소견마적(消堅磨積)
② 소식도체(消食導滯)
③ 소담화음(消痰化飮)
④ 소수산종(消水散腫)
보법(補法) = 312
① 보기(補氣)
② 보혈(補血)
③ 보음(補陰)
④ 보양(補陽)
정치(正治)와 반치(反治) = 314
치표(治標)와 치본(治本) = 315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별0점
  • 별5점
  • 별4.5점
  • 별4점
  • 별3.5점
  • 별3점
  • 별2.5점
  • 별2점
  • 별1.5점
  • 별1점
  • 별0.5점
  •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 Tag List

    Tag List 메세지가 없습니다

  • Tag Cloud

    Tag Cloud 메세지가 없습니다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입력
태그보기

처음 오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