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제1장 학습의 개념 = 1
1. 학습의 개념 = 3
2. 학습에 대한 예비적 관점 = 4
1) 선험적 지식과 경험적 지식
2) 생득론 대 경험론
3) 본능 대 학습
3. 학습에 대한 관점 = 7
1) 합리주의
2) 경험주의
제2장 연합주의 계열 학습이론과 그 적용 = 9
1. 결합설 = 11
1) 주요법칙
2) 종속법칙...
목차 전체
목차
제1장 학습의 개념 = 1
1. 학습의 개념 = 3
2. 학습에 대한 예비적 관점 = 4
1) 선험적 지식과 경험적 지식
2) 생득론 대 경험론
3) 본능 대 학습
3. 학습에 대한 관점 = 7
1) 합리주의
2) 경험주의
제2장 연합주의 계열 학습이론과 그 적용 = 9
1. 결합설 = 11
1) 주요법칙
2) 종속법칙
3) 실제에의 적용
2. 고전적 조건형성이론 = 15
1) 조건형성의 기본 원리
2) 조건형성의 제 양상
3. 조작적 조건형성이론 = 18
1) 조작적 조건형성의 원리
2) 강화계획
3) 실제에의 적용
4) 프로그램 학습의 원리
5) 프로그램 학습의 예
제3장 인지주의 학습이론과 그 적용 = 41
1. 개요 = 43
2. 형태심리학과 통찰학습 = 44
1) 레빈의 장이론
2) 쾰러의 통찰학습
3) 실제에의 적용
3. 브루너의 교수-학습에 대한 관점과 발견학습 = 51
1) 교육의 목적
2) 수업에 대한 브루너의 견해
3) 발견학습과 발견학습 모형
4) 발견학습의 적용 예
5) 슈우만의 탐구훈련 모형
4. 구성주의 학습이론 = 70
1) 구성주의의 등장배경과 기본가정
2) 구성주의의 두 유형
3) 구성주의 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5. 오슈벨의 설명적 교수-학습이론 = 93
1) 이해로서의 학습
2) 설명적 교수-학습의 단계
3) 주요 수업원리
4) 실제에의 적용
6. 정보처리 이론과 이의 적용 = 106
1) 새로운 정보와의 접촉
2) 정보의 획득과 저장
3) 정보의 인출과 전이
제4장 절충적 입장의 학습이론 = 117
1. 가녜의 정보처리적 학습이론 = 119
1) 학습단계
2) 학습의 조건과 수업원리
2.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 = 134
1) 관찰학습
2) 관찰학습과 강화
제5장 인본주의적 관점 = 143
1. 인본주의의 성격과 인간관 = 145
1) 인본주의의 성격
2) 인본주의의 인간관
2. 인본주의적 학습원리 = 147
1) 인본주의적 학습원리
2) 학습촉진자로서의 교사의 역할
3) 성격과 동기의 개인차에 대한 인본주의적 견해
4) 인본주의적 견해의 요약
제6장 프로젝트학습 = 157
1. 프로젝트학습의 개요 = 159
2. 프로젝트 학습의 역사 = 159
3. 프로젝트 학습의 의미와 가치 = 163
1) 고전적인 프로젝트의 의미
2) Kilpatrick의 프로젝트의 의미
3) Katz & Chard 등의 프로젝트의 의미
4) 프로젝트의 교육적 가치
4. 프로젝트 학습의 유형 및 과정 = 174
1) 프로젝트 학습의 유형
2) 프로젝트 학습의 과정
5. 프로젝트 학습의 장애요인 = 183
6. 프로젝트 학습의 모델 = 185
1) 단원중심 프로젝트 학습 모형의 제시
2) 단원중심 프로젝트 학습 모델의 적용
제7장 기억과 전이 = 213
1. 기억 = 215
1) 기억에 관한 개요
2) 망각의 원인
3) 망각의 방지
4) 기억의 과정
5) 기억 전략
6) 기억의 효율화를 돕는 학습방법
2. 전이 = 240
1) 전이의 유형
2) 일반화와 전이의 관계
3) 전이에 대한 이론
4) 전이의 원리
제8장 초인지와 학습전략 = 251
1. 초인지 = 253
1) 초인지의 정의
2) 초인지 전략
3) 초인지 학습행동 개발 전략
4) 초인지 구조(A Structure for Metacognition)
2. 학습전략 = 267
제9장 학습양식과 인지양식 = 279
1. 학습양식의 분류 = 281
1) Kolb의 학습양식
2) Jung과 MBTI의 분류
3) Grasha-Riechmann의 학습양식과 학습전략
2. 인지양식과 학습 = 295
1) 장 독립형과 장 의존형
2) 학습자의 인지양식과 교사의 대처
3) 충동형과 사려형
4) 순차형과 총체형
3. 인지양식 및 학습양식 총괄 = 306
1) 20가지 기본적 인지 및 학습양식
2) 인지 및 학습양식에 따른 학습전략
제10장 지적능력과 학습 = 315
1. 학습의 개인차 = 317
2. 지능의 이론 및 모형 = 318
1) 길포드의 다차원적 지능구조
2) 비네의 지능구조와 지능검사
3) 서스톤의 기본정신능력
4) 웩슬러 지능검사
5) 가드너의 다중지능론
6) 스턴버그의 삼두체계 지능론
3. 지능과 유전·학습 = 331
1) 지능과 유전
2) 지능과 학습
3) 지능에 대한 해석과 지능검사가 갖는 문제점
4. 창의성과 학습 = 338
1) 발산적 사고와 창의성
2) 창의성과 학업성취
3) 창의적 아동의 특성
4) 창의성 증진교육
제11장 자아개념·귀인·포부수준과 학습 = 349
1. 자아개념과 학업성취 = 351
1) 자아의 특성
2) 자아개념과 학업성취
3) 인과관계(因果關係)
2. 귀인(歸因)과 학업성취 = 361
1) 귀인과 통제의 소재
2) 귀인성향과 정서적 반응
3) 귀인성향과 학업성취
4) 자기효능감과 귀인
3. 포부수준과 기대수준 = 374
1) 포부수준
2) 기대수준
제12장 동기와 학습 = 381
1. 동기의 기능 = 383
1) 동기와 행동
2) 동기의 기능
2.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 = 385
3. 동기의 일반적 원리 = 386
4. 학습이론별 학습동기 = 389
1) 행동주의 학습이론
2) 인본주의 학습이론
3) 인지주의 학습이론
4) 사회적 학습이론
5. 각성-불안과 동기 = 391
1) 각성(arousal)
2) 불안수준과 학습
3) 불안과 학습의 일반적 관계
6. 성취동기 = 397
1) 머레이의 성취욕구
2) 성취동기와 학업성적
3) 성취동기의 고양 방안
7. 동기유발 방법 = 401
1) 수업 전의 동기유발
2) 수업 활동 중의 동기유발
3) 수업 후의 동기유발
제13장 발달과 학습 = 407
1. 발달의 개념 및 원리 = 409
1) 발달의 개념
2) 발달의 원리
2. 발달과 학습과의 관계 = 414
3. 피아제의 인지발달론과 학습 = 417
1) 발달과 학습에 대한 피아제의 견해
2) 인지과정
3) 인지 발달 단계
4) 피아제 이론의 학습 및 교육에의 함의
제14장 교사효능감 = 425
1. 교사효능감 = 427
2. 교수효능감과 개인적 교사 효능감 = 428
3. 교사효능감과 교사의 행동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 = 431
4. 교사의 자아개념과 교육 = 436
1) 학교학습에서 교사가 차지하는 비중
2) 자아개념과 교육과의 관계
3) 교사의 자아개념과 교육효과
제15장 교수효율성 분석 및 교수행동의 평가 = 445
1. 교수행동 분석 모형 = 447
1) 교사효율성 분석모형
2) 교수방법 효율성 분석모형
3) 상호작용(수업행태)분석모형
2. 통합적 교수행동 평가기준의 제시 = 457
1) 평가기준 제시의 전제
2) 통합적 교수행동 평가
3. 통합적 교수행동 평가기준의 검토 = 463
1) 교수행동 평가검목표
2) 수업행태분석 검목표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