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저자의 변 = 10
축사 = 12
제Ⅰ편 본초
1. 암칡과 수칡 = 18
2. 연(蓮)과 반야월(半夜月) = 23
3. 사습과 녹용 = 30
4. 사향노루와 사향낭 = 38
5. 웅담(熊膽)과 타박성어혈(打樸性瘀血) = 46
6. 천마(天痲)와 적전(赤箭) = 52
7. 해삼(海蔘)과 팔진탕(八珍湯) = 57
8. 갈대와 억새 = 60
...
목차 전체
목차
저자의 변 = 10
축사 = 12
제Ⅰ편 본초
1. 암칡과 수칡 = 18
2. 연(蓮)과 반야월(半夜月) = 23
3. 사습과 녹용 = 30
4. 사향노루와 사향낭 = 38
5. 웅담(熊膽)과 타박성어혈(打樸性瘀血) = 46
6. 천마(天痲)와 적전(赤箭) = 52
7. 해삼(海蔘)과 팔진탕(八珍湯) = 57
8. 갈대와 억새 = 60
9. 감초(甘草)와 부작용 = 64
10. 후박나무, 조각자나무와 발아(發芽) = 68
11. 옻나무와 알레르기 = 73
12. 백작약(白芍藥)과 적작약(赤芍藥) = 79
13. 비라면(飛羅麵)과 최고 한의학자 = 84
14. 백선나무뿌리(白鮮根)와 봉삼(鳳蔘) = 87
15. 순채(導菜)와 순로지사(蓴로之思) = 91
16. 동아와 동과자(冬瓜子) = 95
17. 인삼(人蔘)과 산삼(山蔘) = 98
18. 맹종죽(孟宗竹)과 왕대[王竹] = 105
19. 참죽나무와 가죽나무 = 110
20. 분꽃과 나팔꽃 = 113
21. 복분자(覆盆子)와 정력제(精力劑) = 116
22. 경주의 조각자, 오수유 = 121
23. 상기생(桑寄生)과 곡기생(곡寄生) = 126
24. 소나무와 복령(茯령) = 135
25. 간삼조이(干三召二)와 총백이(蔥白二), 생강삼(生薑三) = 140
26. 산초(山椒)와 천초(川椒) = 147
27. 당두충(唐杜沖)과 원두충(元杜沖) = 152
28. 서각(犀角)과 승마(升麻) = 159
29. 백출(白朮)과 창출(蒼朮) = 164
30. 제조(제조)와 풍뎅이 = 169
31. 반하(半夏)와 남성(南星) = 173
32. 우백부(禹白附)와 관백부(關白附) = 179
33. 관동화(款冬花)와 봉두화(蜂斗花) = 184
34. 숙지황(熟地黃)과 구증구포(九蒸九포) = 198
35. 부자(附予)와 사약(賜藥) = 195
36. 애엽(艾葉)과 사재발쑥 = 205
37. 약밤과 짚신밤 = 211
38. 산석류(酸石榴)와 감석류(甘石榴) = 215
39. 파극천(巴戟天)과 합개(蛤개) = 219
40. 마황(麻黃)과 마약(麻藥) = 224
41. 침향(沈香)과 울향(鬱香) = 236
42. 백단향(白檀香)과 자단향(紫檀香) = 242
43. 울금(鬱金)과 강황(薑黃) 그리고 봉출(蓬朮) = 246
44. 여지(여核)와 양귀비(楊貴妃) = 252
제Ⅱ편 임상
1. 한의사와 인술(仁術) = 258
2. 한의사와 항상심(恒常心) = 262
3. 한의학을 왜 전통 의학이라고 하는가 = 270
4. 맥(脈)으로 본 한국 한의학사 = 275
5. 한의학이란 시스템(system) 경영 요법이다 = 281
6. 보약(補藥)과 정력제(精力劑) = 287
7. 약이 써야 병이 낫지만 쓴약은 먹지 않는다 = 290
8. 구(灸)와 자(炙)는 어떻게 다른가 = 293
9. 한약의 생리(生理)를 알아야 약값을 정할수 있다 = 297
10. 어느 동기생의 임상 이야기 = 302
11. 소아알레르기(allergy)와 한방치료 = 305
12. 소아(小兒)와 귀용탕(歸茸湯) = 310
13. 사향노루는 왜 사향낭을 씹고, 침통엔 왜 꿩깃털을 넣는가 = 313
14. 아직도 비아환(肥兒丸)은 소아(小兒)의 구충약(驅蟲藥)인가 = 317
15. 계절과 한약 = 321
16. 침(鍼)과 전하(電荷) = 325
17. 약장과 약첩도 기능과 뜻이 있다 = 329
18. 사물탕(四物湯)과 유산(流産) = 334
19. 전립선 비대증과 율무 = 337
20. 자동차 사고와 어혈성(瘀血性) 환자를 어떻게 치료할 것인가 = 341
21. 전탕(煎湯)에 수돗물을 사용해도 되는가 = 345
22. 한방도 새로운 병에 도전해야 발전한다 = 349
23. 민간요법도 동상(凍傷)을 치료할 수 있는가 = 356
24. 화상(火傷)과 한약(韓藥) = 359
25. 사스(SARS)와 온역병(溫疫病) = 363
26. 문익점 사업과 약초탐사 = 373
제Ⅲ편 에세이
1. 독서를 권함 = 380
2. 나의 주례사 = 386
3. 스승의 '한방 임상학'의 교정(校正)을 마치면서 = 394
4. 서평(書評)을 대신 써주신 스승 = 399
5. 중국여행 유감(有感) = 404
6. 마음공부 = 412
7. 사은회(謝恩會)를 하면서 = 418
8. 불경속의 두 글 이야기 = 421
9. 온고지신(溫故知新) = 426
10. 항상심(恒常心)과 택선고집(擇善固執) = 431
제Ⅳ편 논단
1. 우리나라의 의료사회는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 436
2. 한약(韓藥)과 생약(生藥) = 441
3. '『동의보감』 편찬의 역사적 배경과 의학촌' 의 기사 평을 보고 = 447
4. 한약분쟁에 대한 보사부의 결론에 앞서 = 454
5. 한의학(漢醫學)은 한의학(韓醫學)이 될 수 없다 = 460
6. 한의학(韓醫擧) 민족주체성의 재인식 / 최광수 = 465
7. 한의학(漢醫學) 명칭은 타당 = 469
부록편 : 웰빙
구선활인심법(구僊活人心法)과 마음운동 = 478
1. 마음과 육체 = 480
마음과 육체의 작용
마음의 실체
마음의 작용
2. 마음을 수련하는 방법 = 485
조식법(調息法)
안마법(按摩法)
도인법(導引法)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