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장 서론 = 1
제1절 포製의 기원과 발전 = 2
1. 포製의 기원 = 2
2. 포製의 발전 = 3
2.1 춘추전국(春秋戰國)∼송대(宋代) = 4
2.2 금·원·명대(金·元·明代) = 8
2.3 청대(淸代) = 11
2.4 現代 = 12
제2절 포製의 연구 = 12
1. 연구내용 = 13
2. 연구방법 = 14
...
목차 전체
제1장 서론 = 1
제1절 포製의 기원과 발전 = 2
1. 포製의 기원 = 2
2. 포製의 발전 = 3
2.1 춘추전국(春秋戰國)∼송대(宋代) = 4
2.2 금·원·명대(金·元·明代) = 8
2.3 청대(淸代) = 11
2.4 現代 = 12
제2절 포製의 연구 = 12
1. 연구내용 = 13
2. 연구방법 = 14
제3절 포製 관련 법규 = 16
제2장 포製가 임상치료효과에 미치는 영향 = 19
제1절 포製의 특징 = 19
제2절 포製와 임상치료효과 = 22
제3절 전통적인 제약(製藥)의 원칙 = 25
제4절 藥性에 대한 포製의 영향 = 28
1. 사기오미(四氣五味)에 대한 영향 = 28
2. 승강부침(升降浮沈)에 대한 영향 = 29
3. 歸經에 대한 영향 = 30
4. 독성에 대한 영향 = 31
제5절 포製가 제제에 미치는 영향 = 32
1. 飮片은 탕제(湯劑)와 한약의 기본원료이다 = 32
2. 湯劑와 한약제제의 외관품질과 내재품질에 대한 요구 = 33
제3장 포製의 목적 및 약물에 대한 영향 = 35
제1절 포製의 목적 = 35
1. 약물의 독성 또는 부작용의 감소와 소거 = 35
2. 약물의 性味와 효능 변화 = 36
3. 치료효과의 증강 = 37
4. 약물의 작용부위와 작용의 변화 또는 증강 = 37
5. 조제와 제제의 편리 = 38
6. 저장과 약효보존의 편리 = 38
7. 교취교미(矯臭矯味) 작용으로 복용의 편리 = 38
8. 약물의 순도(純度)를 높여 품질의 표준 확보 = 39
제2절 약물의 이·화학적 성질에 대한 포製의 영향 = 39
1. Alkaloid를 함유한 약재에 대한 영향 = 40
2. Glycoside를 함유한 약재에 대한 영향 = 41
3. 휘발성 지방(정유)을 함유한 약재에 대한 영향 = 42
4. Tannin을 함유한 약재에 대한 영향 = 43
5. 유기산을 함유한 약재에 대한 영향 = 43
6. 油脂를 함유한 약재에 대한 영향 = 44
7. 수지(樹脂)를 함유한 약재에 대한 영향 = 45
8. 단백질, 아미노산을 함유한 약재에 대한 영향 = 45
9. 당(糖)을 함유한 약재에 대한 영향 = 46
10. 무기화합물을 함유한 약재에 대한 영향 = 46
제4장 포製의 분류와 輔料 = 49
제1절 포製의 분류 = 49
1. 雷公포炙 17법 = 49
2. 삼류(三類)와 오류(五類) 분류법 = 53
3. 가공과 輔料를 서로 결합시킨 분류법 = 54
4. 약용부위의 기원에 의한 분류법 = 54
제2절 포製에 사용되는 輔料 = 55
1. 액체보료 = 55
2. 고체보료(固體輔料) = 62
제5장 포製品의 품질기준과 저장보관 = 65
제1절 포製品의 품질 = 65
1. 순도(純度) = 66
2. 편형(片型) 및 분쇄립도(分碎粒度) = 67
제2절 藥材 및 포製品의 저장보관 = 74
1. 저장할 때의 변화현상 = 74
2. 자연적인 변화요인 = 77
3. 저장·보관방법 = 79
제6장 飮片 공업의 관리 = 87
제1절 飮片 공업의 관리 = 87
1. 飮片 공업의 발전 = 87
2. 飮片 공업의 현대화 = 87
3. 飮片 공업의 관리 = 89
제7장 정선(淨選)과 가공 = 91
제1절 불순물의 제거 = 92
1. 도선(挑選) = 92
2. 사선(篩選) = 92
3. 풍선(風選) = 93
4. 수선(水選) = 93
제2절 비약용 부위의 분리와 제거 = 94
1. 거근(去根) 또는 거경(去莖) = 94
2. 거피각(去皮殼) = 94
3. 거모(去毛) = 96
4. 거심(去心) = 97
5. 거노(去蘆) = 98
6. 거핵(去核) = 99
7. 거양(去양) = 100
8. 거지경(去枝梗) = 100
9. 거두미족시(去頭尾足翅) = 100
10. 거잔육 = 101
제2절 기타 가공 = 102
1. 연도(연搗) = 102
2. 제융(製絨) = 103
3. 반의(拌衣) = 103
4. 유차(유차) = 103
제8장 음편절제(飮片切製) = 105
제1절 切製 이전의 水處理 = 107
1. 水處理 방법 = 107
2. 연화의 검사방법 = 111
제2절 飮片의 유형 및 切製방법 = 112
1. 飮片의 유형 및 선택원칙 = 112
2. 飮片의 切製방법 = 114
제3절 飮片의 건조 = 117
1. 자연건조 = 117
2. 인공건조 = 119
3. 원적외선 복사 건조기술 = 120
4. 극초단파 건조기술 = 120
5. 태양 에너지 집열기 건조기술 = 121
제4절 飮片의 포장 = 121
제5절 飮片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23
제9장 초법(炒法) = 125
제1절 청초법(淸炒法) = 127
1. 초황(炒黃) 또는 초폭(炒爆) = 128
牛蒡子(우방자) = 129
牽牛子(견우자) = 130
芥子(개자) = 131
萊복子(내복자) = 133
정력子(정력자) = 135
紫蘇子(자소자) = 137
赤芍(적작) = 138
冬瓜子(동과자) = 140
決明子(결명자) = 142
蒼耳子(창이자) = 143
蔓荊子(만형자) = 145
蓮實(연실) = 146
水紅花子(수홍화자) = 148
王不留行(왕불유행) = 149
大麻仁(대마인) = 151
郁李仁(욱리인) = 152
酸棗仁(산조인) = 153
薏苡仁(의이인) = 156
白果(백과) = 157
胡虜巴(호로파) = 159
胡麻仁(호마인) = 160
검實(검실) = 162
질藜(질려) = 163
川椒(천초) = 164
槐花(괴화) = 166
九香蟲(구향충) = 169
烏賊骨(오적골) = 170
使君子(사군자) = 171
충蔚子(충울자) = 174
靑箱子(청상자) = 175
2. 炒焦 = 176
山사(산사) = 177
川련子(천련자) = 179
梔子(치자) = 181
檳랑子(빈랑자) = 184
3. 炒炭 = 187
大계(대계) = 188
小계(소계) = 190
乾薑(건강) = 191
烏梅(오매) = 194
白茅根(백모근) = 196
牡丹皮(목단피) = 197
地楡(지유) = 199
側柏葉(측백엽) = 202
卷柏(권백) = 204
천草(천초) = 205
貫衆(관중) = 206
蒲黃(포황) = 207
槐角(괴각) = 209
荊芥(형개) = 211
附 : 荊芥穗(형개수) = 214
藕節(우절) = 215
鷄冠花(계관화) = 217
石榴皮(석류피) = 218
蓮房(연방) = 219
苦蔘(고삼) = 220
菊花(국화) = 222
金銀花(금은화) = 223
防風(방풍) = 225
제2절 가보료초법(加輔料炒法) = 226
1. 부炒法 = 227
蒼朮(창출) = 228
枳殼(지각) = 230
枳實(지실) = 232
白彊蠶(백강잠) = 233
2. 米炒法 = 234
黨蔘(당삼) = 236
紅娘子(홍낭자) = 237
斑猫(반묘) = 238
3. 土炒法 = 240
山藥(산약) = 241
白朮(백출) = 242
4. 砂炒法 = 244
鱉甲(별갑) = 246
龜板(귀판) = 248
豹骨(표골) = 250
穿山甲(천산갑) = 251
鷄內金(계내금) = 253
骨碎補(골쇄보) = 255
馬錢子(마전자) = 256
狗脊(구척) = 259
5. 蛤粉炒法 = 261
阿膠(아교) = 262
鹿角膠(녹각교) = 264
6. 滑石粉炒法 = 265
魚표膠(어표교) = 266
黃狗腎(황구신) = 267
象皮(상피) = 268
刺위皮(자위피) = 269
水蛭(수질) = 271
제10장 자법(炙法) = 273
제1절 초자법(醋炙法) = 273
1. 醋炙의 목적 = 274
2. 醋炙의 조작방법 = 274
3. 주의사항 = 275
大戟(대극) = 275
狼毒(낭독) = 277
甘遂(감수) = 278
蓬朮(봉출) = 280
鬱金(울금) = 282
乳香(유향) = 283
沒藥(몰약) = 285
靑皮(청피) = 286
艾葉(애엽) = 288
商陸(상륙) = 290
원花(원화) = 292
柴胡(시호) = 294
玄胡索(현호색) = 296
香附子(향부자) = 298
三릉(삼릉) = 301
五靈脂(오령지) = 303
제2절 염자법(鹽炙法) = 305
1. 鹽炙의 목적 = 305
2. 鹽炙의 포製방법 = 305
3. 주의사항 = 306
知母(지모) = 306
구菜子(구채자) = 308
橘核(귤핵) = 309
黃柏(황백) = 310
補骨脂(보골지) = 313
沙苑子(사원자) = 315
益智仁(익지인) = 316
砂仁(사인) = 317
澤瀉(택사) = 319
巴戟天(파극천) = 321
小茴香(소회향) = 323
杜沖(두충) = 324
여枝核(여지핵) = 329
車前子(차전자) = 330
토絲子(토사자) = 332
八角茴香(팔각회향) = 335
제3절 주자법(酒炙法) = 336
1. 酒炙法의 목적 = 336
2. 酒炙의 조작방법 = 337
3. 주의사항 = 337
丹蔘(단삼) = 338
益母草(익모초) = 340
續斷(속단) = 341
黃連(황련) = 343
白ㄹ芍(백작) = 346
威靈仙(위령선) = 349
川芎(천궁) = 350
當歸(당귀) = 352
大黃(대황) = 355
常山(상산) = 360
桑枝(상지) = 362
龍膽(용담) = 363
牛膝(우슬) = 364
仙茅(선모) = 366
烏梢蛇(오초사) = 367
白花蛇(백화사) = 369
蛇태(사태) = 370
蟾수(섬수) = 372
地龍(지룡) = 373
제4절 강자법(薑炙法) = 375
1. 薑炙의 목적 = 375
2. 薑炙의 포製원리 = 375
3. 薑汁의 포製방법 = 376
4. 주의사항 = 376
厚朴(후박) = 376
草果(초과) = 379
竹茹(죽여) = 381
제5절 밀자법(密炙法) = 382
1. 密炙의 목적 = 382
2. 密炙의 조작방법 = 383
3. 주의사항 = 384
甘草(감초) = 385
黃기(황기) = 389
紫苑(자원) = 393
款冬花(관동화) = 394
旋覆花(선복화) = 395
桑白皮(상백피) = 397
桑葉(상엽) = 398
枇杷葉(비파엽) = 399
金櫻子(금앵자) = 401
瓜蔞皮(과루피) = 403
瓜蔞(과루) = 404
百部(백부) = 405
百合(백합) = 407
馬兜鈴(마두령) = 408
白前(백전) = 409
麻黃(마황) = 411
升麻(승마) = 415
白薇(백미) = 416
桂枝(계지) = 418
제6절 유자법(油炙法) = 419
1. 油炙의 목적 = 419
2. 油炙의 조작방법 = 419
3. 주의사항 = 420
淫羊藿(음양곽) = 420
三七(삼칠) = 422
蛤개(합개) = 424
제11장 단법(단法) = 427
제1절 명단법(明단法) = 429
1. 明단의 조작방법 = 429
2. 주의사항 = 429
明礬(명반) = 430
硼砂(붕사) = 433
寒水石(한수석) = 435
石膏(석고) = 437
花蘂石(화예석) = 439
鐘乳石(종유석) = 441
金精石(금정석) = 442
雲母(운모) = 443
海浮石(해부석) = 444
鵝管石(아관석) = 445
龍齒(용치) = 447
龍骨(용골) = 448
牡蠣(모려) = 449
石決明(석결명) = 451
瓦楞子(와릉자) = 453
海蛤殼(해합각) = 454
珍珠(진주) = 455
제2절 단쉬법(단쉬法) = 456
1. 단쉬의 목적 = 456
2. 단쉬의 조작방법 = 456
3. 주의사항 = 457
自然銅(자연동) = 457
代자石(대자석) = 459
磁石(자석) = 461
禹余糧(우여양) = 462
紫石英(자석영) = 464
石燕(석연) = 465
陽起石(양기석) = 466
爐甘石(노감석) = 468
綠礬(녹반) = 470
몽石(몽석) = 471
제3절 구과단법(拘鍋단法) = 473
1. 단炭의 목적 = 473
2. 단炭의 조작방법 = 473
3. 주의사항 = 474
血餘炭(혈여탄) = 474
棕櫚(종려) = 476
燈心草(등심초) = 477
荷葉(하엽) = 479
乾漆(건칠) = 480
露蜂房(노봉방) = 481
絲瓜絡(사과락) = 483
제12장 증법(蒸法), 자법(煮法), 천법(천法) = 485
제1절 증법(蒸法) = 485
1. 蒸法의 목적 = 486
2. 蒸의 조작방법 = 486
3. 주의사항 = 487
何首烏(하수오) = 487
黃芩(황금) = 490
女貞子(여정자) = 493
桑표소(상표소) = 494
地黃(지황) = 495
黃精(황정) = 498
肉종蓉(육종용) = 500
희렴草(희렴초) = 501
山茱萸(산수유) = 502
五味子(오미자) = 504
白蔘(백삼) = 505
天麻(천마) = 508
玄蔘(현삼) = 509
木瓜(모과) = 510
제2절 자법(煮法) = 511
1. 煮法의 목적 = 511
2. 煮의 조작방법 = 512
珍珠(진주) = 512
藤黃(등황) = 513
硫黃(유황) = 515
川烏(천오) = 516
草烏(초오) = 519
附子(부자) = 520
遠志(원지) = 522
吳茱萸(오수유) = 524
제3절 천법(천法) = 525
1. 천法의 목적 = 525
2. 천의 조작방법 = 525
杏仁(행인) = 526
桃仁(도인) = 528
白扁豆(백편두) = 530
제13장 복제법(復製法) = 533
1. 復製法의 목적 = 533
2. 復製의 조작방법 = 534
半夏(반하) = 534
天南星(천남성) = 537
白附子(백부자) = 540
紫河車(자하거) = 543
松脂(송지) = 544
제14장 발효(醱酵) 및 발아법(發芽法) = 547
제1절 발효법(醱酵法) = 547
1. 발효의 목적 = 547
2. 발효의 조작방법 = 548
3. 발효품의 품질 = 548
4. 주의사항 = 549
六神曲(육신곡) = 549
半夏曲(반하곡) = 553
淡豆시(담두시) = 555
建神曲(건신곡) = 556
제2절 발아법(發芽法) = 558
1. 發芽의 목적 = 558
2. 發芽의 조작방법 = 558
3. 주의사항 = 559
麥芽(맥아) = 559
稻芽(곡아) = 563
粟芽(속아) = 564
大豆黃卷(대두황권) = 565
제15장 제상법(製霜法) = 567
제1절 거유제상법(去油製霜法) = 567
1. 去油製霜의 목적 = 567
2. 去油製霜의 조작방법 = 568
3. 주의사항 = 568
巴豆(파두) = 568
千金子(천금자) = 571
柏子仁(백자인) = 572
瓜蔞仁(과루인) = 573
大風子(대풍자) = 575
木鼈子(목별자) = 576
제2절 삼석제상법(渗析製霜法) = 578
西瓜霜(서과상) = 578
제3절 승화제상법(昇華製霜法) = 579
信石(신석) = 579
제4절 전자제상법(煎煮製霜法) = 580
鹿角霜(녹각상) = 581
제16장 기타제법(基製他法) = 583
제1절 홍배법(烘焙法) = 584
맹忠(맹충) = 584
蜈蚣(오공) = 585
제2절 외제(외製) = 587
肉豆구(육두구) = 587
訶子(가자) = 589
木香(목향) = 591
葛根(갈근) = 593
제3절 제정법(提淨法) = 594
1. 提淨의 목적 = 594
2. 提淨의 조작방법 = 594
芒硝(망초) = 595
附 : 風化硝(풍화초) = 596
요砂(요사) = 598
제4절 수비법(水飛法) = 599
1. 水飛의 목적 = 600
2. 水飛의 조작방법 = 600
3. 주의사항 = 600
朱砂(주사) = 600
雄黃(웅황) = 602
滑石(활석) = 604
瑪瑙(마노) = 605
제5절 건류법(乾류法) = 606
竹瀝(죽력) = 606
蛋黃油(단황유) = 608
黑豆류油(흑두류우) = 608
제6절 특수제법(特殊製法) = 610
銅綠(동록) = 610
鉛丹(연단) = 611
인용문헌자료 = 615
한글명 INDEX = 623
Latin명 INDEX = 636
인용방제 및 단미제제의 인용문헌 = 642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