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한국의 독자들께 = 1
옮긴이의 글 = 18
머리말 = 23
감사의 글 = 32
제1부 지식에 대한 이해
제1장 서론 : 지식시대 = 37
제2장 적응력 있는 기업의 지식역량 = 6
제3장 지식 항해도구 = 95
제4장 지식, 학습, 성과의 패턴 인식 = 129
제5장 지식원형의 실제 적용 = 153
제6장 지식과 학습 그리고 조직 = 179
제2부 ...
목차 전체
한국의 독자들께 = 1
옮긴이의 글 = 18
머리말 = 23
감사의 글 = 32
제1부 지식에 대한 이해
제1장 서론 : 지식시대 = 37
제2장 적응력 있는 기업의 지식역량 = 6
제3장 지식 항해도구 = 95
제4장 지식, 학습, 성과의 패턴 인식 = 129
제5장 지식원형의 실제 적용 = 153
제6장 지식과 학습 그리고 조직 = 179
제2부 지식의 기초 구성요소
제7장 데이터의 처리 = 215
제8장 절차 모드 지식 = 233
제9장 기능 모드 지식의 구축 = 253
제10장 의미의 창출 = 273
제11장 통합 : 우아하고 정연한 해결책의 추구 = 297
제12장 재탄생 : 목적과의 재연결 = 321
제13장 합일의 성과를 향한 비전의 확장 = 343
제3부 실천론
제14장 전략 : 지식, 실천장의 창조 = 361
제15장 문화, 지도작성, 기술, 측정 = 389
제16장 지식의 씨앗 = 423
부록
1. 지식원형의 이론적 구성개념 = 429
2. 정보관리 분야 지식구축에 활용되는 표본 질문 = 439
장별 주석 = 449
참고 문헌 = 467
주제 색인 = 480
인명 및 기관명 색인 = 492
지은이 = 498
옮긴이 = 499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