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책머리에 부쳐 = 4
chapter 1 서론 : 복식미학을 보는 시각 = 11
1. 복식사 연구의 흐름 : 발전사와 양식사 = 13
2. 복식이란 = 15
3. 복식미학이란 = 20
4. 복식에 있어서 미의식 = 22
1) 미적 대상으로서의 복식 : 양식으로서의 복식 = 22
2) 미적 가치로서의 복식 = 23
3) 미적 태도 = 2...
목차 전체
목차
책머리에 부쳐 = 4
chapter 1 서론 : 복식미학을 보는 시각 = 11
1. 복식사 연구의 흐름 : 발전사와 양식사 = 13
2. 복식이란 = 15
3. 복식미학이란 = 20
4. 복식에 있어서 미의식 = 22
1) 미적 대상으로서의 복식 : 양식으로서의 복식 = 22
2) 미적 가치로서의 복식 = 23
3) 미적 태도 = 26
5. 복식미의 연구 = 28
1) 복식미를 연구하는 데 있어서의 문제점 = 28
2) 복식미를 연구하는 방향 = 31
3) 복식미를 연구하는 방법 = 32
chapter 2 예술로서의 복식 = 39
1. 예술개념의 변화 = 40
2. 예술로서의 복식에 대한 정의 = 43
3. 미술공예운동의 배경과 이념 = 49
1) 존 러스킨의 예술윤리관 = 49
2) 윌리엄 모리스의 미술공예운동 = 51
4. 예술적 복식의 사적 흐름 = 55
1) 이성주의 복식운동 = 56
2) 유미주의 복식운동 = 59
3) 예술로서의 의상 디자인 : 찰스 워스의 디자인 = 65
chapter 3 복식의 양식 = 73
1. 양식의 어원 = 75
2. 양식의 개념 = 76
1) 제노바의 양식에 대한 정의 = 76
2) 곰브리치의 양식에 대한 정의 = 77
3. 양식의 형식과 내용 = 79
1) 뵐플린의 형식사적 양식 = 80
2) 리글의 정신사적 양식 = 87
3) 양식개념에 있어서 형식과 내용의 조화 = 88
4) 파노프스키의 조형예술의 기술과 내용해석 = 89
4. 복식에서의 양식개념 = 92
1) 복식양식의 일반적 개념 = 92
2) 복식양식의 이중 근원 = 94
3) 앙스파크의 복식양식 구분 = 96
4) 풍(風) 또는 룩(look) = 99
5. 복식양식의 유형 = 100
1) 역사적 양식 = 100
2) 장르 양식 = 103
3) 기본 양식 = 105
chapter 4 복식양식의 변화 = 111
1. 복식양식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13
1) 아커만의 결정요인 = 113
2) 해밀턴의 층상 모델 = 114
3) 로치와 무사의 물리적 환경인자와 문화적 인자 = 118
2. 복식양식의 변화이론 = 126
1) 내재적 자율성 : 주기론 = 127
2) 외부적인 힘에 의한 양식 변화 = 140
chapter 5 복식의 조형성 = 145
1. 복식조형의 감각적 형상 = 146
1) 복식조형의 분류방법 = 147
2) 복식의 형태 = 149
3) 복식형태의 유형화 = 153
4) 복식의 색채 = 161
5) 장식적 무늬 = 178
2. 복식의 통일적 관계 = 186
1) 균제 = 187
2) 비례 = 188
3) 율동 = 189
4) 조화 = 190
5) 다양에 있어서의 통일 = 190
chapter 6 복식의 미적 범주 = 195
1. 미의 개념과 그 전이의 과정 = 197
1) 객관적 의미의 미 = 198
2) 주관적 의미의 미 = 199
2. 복식에서의 미적 범주의 유형 = 202
1) 미 = 206
2) 우아 = 206
3) 우미(優美) = 208
4) 숭고(崇高) = 210
5) 비장(悲壯) = 214
6) 골계(滑稽) = 215
7) 적합성 = 217
8) 추(醜) = 218
9) 고전적 미 = 219
10) 낭만적 미 = 221
사진출처 = 225
참고문헌 = 229
찾아보기 = 237
2
목차
책머리에 부쳐 = 4
chapter 1 몸과 복식 = 11
1. 몸에 대한 미의식과 복식 = 13
1) 몸에 대한 이상미 = 13
2) 알몸과 누드 = 14
3) 플뤼겔의 인체와 패션 변화에 대한 모델 = 16
4) 자연의 비너스와 천상의 비너스 = 18
2. 인체의 특징과 복식 = 23
1) 물리적 구조로서의 인체미 = 24
2) 인체비례 = 34
3) 체형 = 39
3. 인체의 장식 = 42
1) 힐레르 힐러의 미적 장식설 = 42
2) 폴허무스의 인체장식설 = 45
3) 인체의 장식방법 = 45
4) 어윙의 몸을 보는 시각 = 52
4. 각 시대의 몸에 대한 미의식과 복식 = 58
1) 이집트 : 다산과 풍요의 상징 = 58
2) 그리스·로마 : 이데아의 반영 = 60
3) 중세 : 추상적 내면세계의 표현 = 62
4) 르네상스 : 인체의 이상화와 현세화에 대한 조화의 미 = 67
5) 바로크·로코코 : 감성의 척도, 관능의 미 = 71
6) 신고전주의 시대 : 이성과 자유스러운 에로티시즘의 결합 = 75
7) 낭만주의 시대 : 감각적이며 세속적인 미의 표현 = 78
5.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몸을 보는 시각과 패션 = 80
1) 욕망의 배설 : 에로티시즘 = 81
2) 권력 행사의 장 = 86
3) 소비의 장 : 물신주의 = 89
4) 탈신체와의 장 : 몸 비우기와 의식의 확장 = 92
chapter 2 성과 복식 = 99
1. 복식에서 전통적인 남성적·여성적 이미지 = 101
2. 복식에서의 성의 혼돈 : 앤드로지너스 룩, 섹스리스 룩 = 103
3. 복식에서 성적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06
1) 사회적·생물학적 관점 = 106
2) 심리학적 분석 : 성적 매력설 = 109
3)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성성 = 112
chapter 3 문화와 복식 = 141
1. 문화의 특성과 복식 = 143
1) 상징적 행위 : 기호학적 해석 = 146
2) 전통 : 계승과 변형 = 152
3) 보편성과 특수성 = 160
2. 세계주의와 민족주의 = 162
3. 문화의 다원화 = 165
4.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청소년 하위문화 스타일 = 169
1) 테디 보이(Teddy boys) = 172
2) 모즈(Mods) = 175
3) 스킨헤드(skinheads) = 177
4) 히피(hippies) = 178
5) 펑크(punks) 스타일의 상징성 = 181
6) 힙합(hiphop) = 186
chapter 4 문학과 의상 = 193
1. 의상과 문학의 필연적 관계 = 195
1) 영혼의 상징인 옷 = 195
2) 이승과 저승에서의 옷 = 198
2. 사회비평으로서의 패션 = 201
3. 에로티시즘과 의상 = 204
chapter 5 포스트모더니즘 패션 = 209
1. 패션의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을 보는 시각 = 211
1) 연결된 고리로서의 아방가르드 = 211
2) 반미학으로서의 패션 = 212
3) 열린 개념으로서의 패션 = 213
2. 포스트모더니즘 이론과 반미학 = 218
1) 이성과 감성 : 아폴론적 특성과 디오니소스적 특성 = 218
2) 포스트모더니즘 논쟁들 = 222
3. 패션에 대한 논증들 = 232
4. 20세기 패션 양식의 구분 = 242
5. 열린 개념으로서 포스트모더니즘 패션의 미적 가치 = 252
1) 예술의 종말 : 패션에서의 민주화 = 256
2) 탈권력에의 의지 : 탈중심화 = 259
3) 숭고미 : 불확정성 = 265
사진출처 = 277
참고문헌 = 283
찾아보기 = 295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