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검색

상세정보

현대 한국어 형성기의 새 국한혼용문의 등장과 그 변전

한영균 지음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서명/저자사항현대 한국어 형성기의 새 국한혼용문의 등장과 그 변전 / 한영균 지음
개인저자한영균
발행사항서울 : 소명, 2021
형태사항507 p. ; 23 cm
총서사항연세근대한국학총서 ;143(L-116)
대등표제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the mixed-scripts in the formation periods of the Modern Korean
ISBN9791159056222
서지주기참고문헌: p. 492-504
분류기호411.09
언어한국어
  • 보존서고자료신청보존서고자료신청
  • 서가에없는도서 이미지서가에없는도서신청
  • 도서 PICK UP 서비스도서 PICK UP 서비스
  • 인쇄인쇄
  • SMS발송SMS발송

전체

전체 메세지가 없습니다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1413291 411.09 한영균 현 4층 자료실 서가번호 461 대출가능

초록

목차 일부

이 글은 현대 한국어 형성기의 문체 변화에 관여하는 어휘적 요소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그들 어휘적 요소의 분포 및 출현 양상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이 시기 신문의 논설문 기사를 대상으로 확인하면서, 국한혼용과 한글 전용이라는 서사 방식의 차이가 이러한 어휘적 준거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시기에 있었던 ...

목차 전체

이 글은 현대 한국어 형성기의 문체 변화에 관여하는 어휘적 요소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그들 어휘적 요소의 분포 및 출현 양상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이 시기 신문의 논설문 기사를 대상으로 확인하면서, 국한혼용과 한글 전용이라는 서사 방식의 차이가 이러한 어휘적 준거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시기에 있었던 문체 변화는 문어에서의 한문의 배제와 함께 한국어 문어 구사에 있어서 한문 구문법의 영향을 극복해 가는 과정이라고 요약할 수 있는데, 이는 궁극적으로 어휘와 구문의 변화로 나타난다.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별0점
  • 별5점
  • 별4.5점
  • 별4점
  • 별3.5점
  • 별3점
  • 별2.5점
  • 별2점
  • 별1.5점
  • 별1점
  • 별0.5점
  •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 Tag List

    Tag List 메세지가 없습니다

  • Tag Cloud

    Tag Cloud 메세지가 없습니다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입력
태그보기

처음 오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