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낡은 모델의 부정적 유산을 넘어 보수와 진보가 합의할 수 있는 새로운 한국 모델을 찾아서. 1997년 외환위기 이후 20년간 민주 정부 10년과 보수 정부 10년을 거치면서 한국 경제는 신자유주의적인 주주 자본주의의 길을 걸어왔다. 그 겨로가 저성장과 양극화라는 양대 문제가 발생했다. 현재 한국 경제에는 양극화가 저성장을 낳고 저성장이 양극화를 낳는 악순환...
목차 전체
낡은 모델의 부정적 유산을 넘어 보수와 진보가 합의할 수 있는 새로운 한국 모델을 찾아서. 1997년 외환위기 이후 20년간 민주 정부 10년과 보수 정부 10년을 거치면서 한국 경제는 신자유주의적인 주주 자본주의의 길을 걸어왔다. 그 겨로가 저성장과 양극화라는 양대 문제가 발생했다. 현재 한국 경제에는 양극화가 저성장을 낳고 저성장이 양극화를 낳는 악순환의 고리가 형성되어 있다. 현재와 같은 양극화가 지속되고 심지어 더욱 심화되면 성장 잠재력이 더욱 떨어져서 저성장 상태가 지속될 것이다.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