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검색

상세정보

동아시아 선불교의 사상과 의의

런민(人民)대학 불교와종교학이론연구소 도요(東洋)대학 동양학연구소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공]편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서명/저자사항동아시아 선불교의 사상과 의의 / 런민(人民)대학 불교와종교학이론연구소, 도요(東洋)대학 동양학연구소,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공]편
개인저자張文良
齊藤智寬
邢東風
徐文明
舘隆志
柳幹康
최은영
박건주
최연식
단체저자명런민(人民)대학 불교와종교학이론연구소
도요(東洋)대학 동양학연구소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발행사항서울 : 여래, 2018
형태사항368 p. ; 23 cm
총서사항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금강학술총서 ;35
ISBN9791186189733
일반주기 공저자: 최은영, 박건주, 장원량, 사이토 토모히로, 싱동평, 쉬원밍, 타치 류우시, 야나기 미키야스, 최연식
분류기호294.3927
언어한국어
  • 보존서고자료신청보존서고자료신청
  • 서가에없는도서 이미지서가에없는도서신청
  • 도서 PICK UP 서비스도서 PICK UP 서비스
  • 인쇄인쇄
  • SMS발송SMS발송

전체

전체 메세지가 없습니다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1325652 294.3927 동아시 인 4층 자료실 서가번호 423 대출가능

초록

목차 일부

본서는 6세기에서 13세기에 이르기까지 불교가 동아시아에서 전개된 다양한 모습과 변화된 양상을 선불교라는 주제를 통해서 확인하게 해준다. 마음의 근원을 추구하면서 일상생활에서 붓다의 가르침을 구현하고자 했던 동아시아 선불교는 초기불교의 선정과는 다른 방법으로 전환되었다고 할 수 있다. 당대唐代 8, 9세기 이후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던 중국 선종은 화...

목차 전체

본서는 6세기에서 13세기에 이르기까지 불교가 동아시아에서 전개된 다양한 모습과 변화된 양상을 선불교라는 주제를 통해서 확인하게 해준다. 마음의 근원을 추구하면서 일상생활에서 붓다의 가르침을 구현하고자 했던 동아시아 선불교는 초기불교의 선정과는 다른 방법으로 전환되었다고 할 수 있다. 당대唐代 8, 9세기 이후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던 중국 선종은 화엄, 천태, 정토의 사상과 교류하고, 동아시아 선불교의 역사 속에서 공안선公案禪과 간화선看話禪이라는 흐름으로 진전되면서 펼쳐지게 된다.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별0점
  • 별5점
  • 별4.5점
  • 별4점
  • 별3.5점
  • 별3점
  • 별2.5점
  • 별2점
  • 별1.5점
  • 별1점
  • 별0.5점
  •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 Tag List

    Tag List 메세지가 없습니다

  • Tag Cloud

    Tag Cloud 메세지가 없습니다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입력
태그보기

처음 오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