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명숙 [외]편
자료유형 | 단행본 |
---|---|
서명/저자사항 | 해방기 여성 단편소설 / 구명숙 [외]편 |
개인저자 | 강신재,1924-2001 김말봉,1901-1961 박화성,1903-1988 손소희,1917-1987 윤금숙,1918-? 이선희,1911-? 임옥인,1915-1995 장덕조,1914-2003 조경희,1918-2005 지하련,1912-1960 최정희,1906-1990 한무숙,1918-1993 구명숙 |
발행사항 | 서울 : 역락, 2011 |
형태사항 | 2책 ; 23 cm |
총서사항 | 한국 여성문학 자료집 ;2-3 |
ISBN | 9788955569032 (v.1) 9788955569049 (v.2) 9788955569018 (세트) |
일반주기 | 공편자: 이병순, 김진희, 엄미옥 |
내용주기 | v.1, 분노(忿怒); 얼굴; 정순이; 눈이 나린 날; 성근네; 백조(白鳥)의 호수(湖水); 병아리; 안개 / 강신재. - 성좌(星座)는 부른다; 낙엽(落葉)과 함께 / 김말봉. - 봄안개; 광풍(狂風) 속에서; 진달래처럼 / 박화성. - 맥(貊)에의 결별(訣別); 도피(逃避); 가두(街頭)에 서는 날; 그 전날; 탁류기(濁流記); 회심(回心); 리라기(理羅記); 현해탄(玄海灘); 역류(逆流); 한계(限界); 흉몽(凶夢); 지류(支流); 삼대(三大)의 곡(曲); 속 리라기(續理羅記); 고갯길; 투전(投錢); 야미ㅅ장에서 / 손소희. - 파탄(破綻); 들국화(菊花); 명동 주변(明洞周邊); 얼굴; 불행(不幸)한 사람들; 춘수(春愁) / 윤금숙. - 창 / 이선희 v.2, 풍선기(風船記); 떠나는 날; 이슬과 같이; 약속(約束); 팔월(八月); 오빠; 나그네; 십릿길; 서울역; 작약(芍藥); 무(無)에의 호소(呼訴); 꽃과 오이와 딸기; 여인행로(女人行路); 샘물; 일주일간(一週日間); 젊은 아내들; 낙과(落果) / 임옥인. - 함성(喊聲); 창공(蒼空); 저회(低徊); 곤비(困憊); 저돌(猪突); 어떤 이혼소(離婚訴); 삼십년(三十年); 정(情) / 장덕조. - 양(羊) / 조경희. - 도정(道程)-소시민(小市民) / 지하련. - 봉수와 그 가족(家族); 점례(占禮); 풍류(風流) 잽히는 마을; 청량리역 근처; 벼개ㅅ모; 우물 치는 풍경(風景); 수탉; 하늘이 좋던 날; 아기별; 봄; 봉황녀(鳳凰女); 선을 보고; 낙화(落花) / 최정희. - 람푸; 내일(來日) 없는 사람들; 수국; 삼층장; 정의사(鄭醫師); 관상사 송명운(觀相師 宋明雲); 화심이 / 한무숙 |
분류기호 | 811.3 |
언어 | 한국어 |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