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책을 시작하며 = 2
제1부 레지오 교육적 배경 알아가기
1장 기존 유아교육 관점과 레지오 접근법 = 13
1. 우리의 교육적 시각을 되새겨 보기 = 13
2. 유아교육 최근 동향과 레지오 접근법 = 19
2장 교육적 가치관 및 기본 개념 = 27
1. 문화적 공간으로서의 학교 = 28
2. 기본 개념 = 31
3. 교육원리 = ...
목차 전체
목차
책을 시작하며 = 2
제1부 레지오 교육적 배경 알아가기
1장 기존 유아교육 관점과 레지오 접근법 = 13
1. 우리의 교육적 시각을 되새겨 보기 = 13
2. 유아교육 최근 동향과 레지오 접근법 = 19
2장 교육적 가치관 및 기본 개념 = 27
1. 문화적 공간으로서의 학교 = 28
2. 기본 개념 = 31
3. 교육원리 = 35
3장 이론적 배경 = 41
1. 이론과 실제의 관계 = 42
2. 레지오 교육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이론들 = 45
4장 학교 체제와 일과 운영 = 65
1. 학교 체제의 조직 = 66
2. 시간의 조직 = 77
5장 환경의 조직 = 87
1. 레지오 환경 구성의 원칙 = 87
2. 우리 현장 환경의 변화 = 90
3. 레지오 교육에서 아뜰리에의 의미와 정신 = 98
4. 우리 현장 아뜰리에 = 99
제2부 레지오 교육원리 알아가기
6장 발현적-상호 조정적인 교육과정 운영: 프로제따찌오네 = 105
1. 프로제따찌오네의 의미 = 106
2. 프로제따찌오네의 운영 = 112
3. 다양한 성격의 프로젝트들 = 125
4. 프로젝트의 진행과정 = 127
7장 다양한 표상의 활용: '어린이들의 수많은 언어' = 139
1. 표상의 의미와 '어린이들의 수많은 언어' = 140
2. 표상의 기능 = 143
3. 프로젝트와 일상에서 표상의 활용을 지원하는 교사 = 158
4. 표상의 역할에 대한 우리 현장의 해석 넘어서기 = 163
8장 의사소통을 통한 협력: '집단 학습' = 167
1. 의사소통의 의미와 협력의 필요성 = 168
2. 프로젝트 과정 및 일상에서 의사소통을 격려하는 교사 = 174
3. 어린이와의 풍부한 대화 구성을 위한 구체적 책략들 = 180
9장 기록작업 Ⅰ: 원리 = 191
1. 기록작업의 개념 = 192
2. 기록작업과 아동 관찰 = 194
3. 기록작업의 종류와 내용 = 195
4. 기록작업의 기능 = 196
5. 기록작업의 대상 = 202
6. 교사교육의 도구로서 기록작업 행위 = 210
10장 기록작업 Ⅱ: 우리 현장에서의 재고안 = 215
1. 진행 중 기록작업 = 216
2. 결과적 기록작업 = 234
제3부 우리 이야기
11장 어린이들의 시쓰기 = 243
1. 들어가며 = 243
2. 시쓰기의 맥락과 출발점: 시집을 위한 동시가 아닌 어린이들의 삶을 드러내는 시쓰기 = 245
3. 어린이들이 시쓰기에 부여하는 의미 = 248
4. '시쓰기' 행위에 대한 의미 구성 = 258
5. 나가며 = 262
12장 어린이들의 먹놀이 = 265
1. 들어가며 = 266
2. 먹놀이의 맥락과 출발점: '진짜처럼 잘 그리고 싶은' 어린이와 '그리기 과정을 돌이켜보게 하고 싶은' 교사 = 267
3. 먹놀이 속의 학습 = 268
4. 하나의 '언어'로서 먹놀이 = 278
5. 먹놀이의 문화적 의미 구성 = 282
6. 나가며 = 283
책을 맺으며 = 286
참고문헌 = 288
찾아보기 = 299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