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서문 = 4
머리말 = 14
1장 한국 근현대 역사학의 개관
1. 역사란 무엇인가? = 21
1) 역사는 꿈의 연속으로 이루어져 있다 = 21
2) 역사는 실천의 연속이다 = 23
3) 역사는 발전한다 = 24
4) 역사는 다양하게 발전한다 = 26
5) 역사는 과거와 미래를 관통하는 축을 만들며 발전한다 = 28
2. 한국 근대...
목차 전체
목차
서문 = 4
머리말 = 14
1장 한국 근현대 역사학의 개관
1. 역사란 무엇인가? = 21
1) 역사는 꿈의 연속으로 이루어져 있다 = 21
2) 역사는 실천의 연속이다 = 23
3) 역사는 발전한다 = 24
4) 역사는 다양하게 발전한다 = 26
5) 역사는 과거와 미래를 관통하는 축을 만들며 발전한다 = 28
2. 한국 근대역사학의 개요 = 30
1) 한국사연구에서 근대사학의 태동 = 30
2) 한국사학의 발전과 식민사학 = 42
3) 한국사학 방법론의 유형 = 53
3. 현대역사학의 개요와 전망 = 65
1) 8ㆍ15 해방과 현대역사학 = 65
2) 4ㆍ19 혁명과 역사학의 반성 = 72
3) 한국사학의 현대적 과제 = 77
2장 한국 근대사학의 대두와 초기의 역사학
1. 조선후기 실학자의 역사서술 = 88
1) 실학자의 새로운 역사인식 = 88
2) 실학 사서의 계승문제 = 93
2. 근대교육과 역사교과서 = 98
1) 1895년의 3서 = 98
2) 1899년의 3서 = 109
3) 1902년『동사집략』의 오류 = 117
3. 계몽주의 역사학의 저술 = 124
1) 계몽주의와 역사학 = 124
2) 1905년의 3서 = 126
3) 1906년의 3서 = 141
4) 1908년 이후의 역사교과서 = 159
5) 사서에 나타난 정통론의 의미 = 166
4. 한국사의 근대적 저술 = 172
1) 신채호,『독사신론』(1908)의 근대적 사론 = 172
2) 황의돈,『대동청사』(국한문 : 필사본 : 227쪽, 동국대학교 소장) = 185
5. 구한말 한국사 저술의 근대성과 민족성문제 = 190
3장 한국사학의 발전과 방법론
1. 한국사학의 민족사학으로서의 위치와 분류 = 203
1) 식민지 현실인식에 기초한 분류 = 205
2) 역사방법론에 기초한 분류 = 208
2. 유심론사학과 초기 문화사학 = 211
1) 유심론사학의 특징과 임무 = 211
2) 문화주의와 초기 문화사학 = 221
3. 후기 문화사학과 유물론사학과 실증사학 = 241
1) 문화사학의 후기적 특징과 학자들 = 241
2) 유물론사학과 사회경제사학의 몇 유형 = 252
3) 실증사학과 고증학 = 264
4. 식민지 말기의 역사학 = 267
1) 기성학자의 활동 = 267
2) 은둔학자의 연구생활 = 273
3) 신진학자의 활동 = 276
4) 해외학자의 연구 = 279
5) 분류사 연구자 = 281
5. 식민지시기 한국사학의 반성 = 283
4장 식민사학의 성립과 내용
1. 일본의 제국주의 서적의 간행과 '침략3서' = 295
2. 식민사학의 성립 = 311
3. 조선사편수회와 식민사학의 확산 = 322
4. 식민사학의 역사서술 = 332
1) 식민사학의 서술 추세 = 332
2) 조선사편수회의 근대사 서술 = 337
5. 식민사학의 특징과 영향 = 374
부록 : 한국사학사 연표 = 381
찾아보기 = 403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