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검색

상세정보

유교의례의 전통과 상징

김미영 지음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서명/저자사항유교의례의 전통과 상징 / 김미영 지음
개인저자김미영
발행사항서울 : 민속원, 2010
형태사항448 p. : 삽화 ; 24 cm
ISBN9788956389608
일반주기색인 : p. 443-448
서지주기참고문헌 : p. 431-442
비통제주제어유교의례,전통,상징
분류기호393
언어한국어
  • 보존서고자료신청보존서고자료신청
  • 서가에없는도서 이미지서가에없는도서신청
  • 도서 PICK UP 서비스도서 PICK UP 서비스
  • 인쇄인쇄
  • SMS발송SMS발송

전체

전체 메세지가 없습니다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1084026 393 김미영 유 c2 보존서고B1 B113-2-3 대출가능
2 1130557 393 김미영 유 c3 보존서고B1 B113-2-3 대출가능
3 1084025 393 김미영 유 보존서고B2 B201-1-1 대출가능

초록

목차 일부

유교는 종교인가 아닌가 하는 문제는 지금까지도 명확한 결론에 이르지 못한 채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유교를 종교로 간주하는 측에서는 조상제사를 거론하면서 종교성을 거듭 강조하고, 반대 입장의 측에서는 조상제사는 조상숭배 이전에 종법(宗法)이라는 사회제도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는 점을 지적한다. 그야말로 시작과 끝을 도무지 알 수 없는 뫼비우스의 띠처럼 반...

목차 전체

유교는 종교인가 아닌가 하는 문제는 지금까지도 명확한 결론에 이르지 못한 채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유교를 종교로 간주하는 측에서는 조상제사를 거론하면서 종교성을 거듭 강조하고, 반대 입장의 측에서는 조상제사는 조상숭배 이전에 종법(宗法)이라는 사회제도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는 점을 지적한다. 그야말로 시작과 끝을 도무지 알 수 없는 뫼비우스의 띠처럼 반복을 거듭하는 소모적 논쟁이라 할 수 있다.

목차

목차 일부

목차
머리말 = 5
1부 유교의례의 이론적 배경 
 관계적 질서를 추구하는 유교의 일생의례 = 19
  1. 관계적 질서의 해법, 예(禮) = 19
  2. 장유의 서열적 질서수립을 위한 의례, 관례 = 22
  3. 남녀의 유별적 질서수립을 위한 의례, 혼례 = 28
  4. 친친의 종법적 질서수립을 위한 의례, 상제례 = 33
  5. 유교의 일생의례를...

목차 전체

목차
머리말 = 5
1부 유교의례의 이론적 배경 
 관계적 질서를 추구하는 유교의 일생의례 = 19
  1. 관계적 질서의 해법, 예(禮) = 19
  2. 장유의 서열적 질서수립을 위한 의례, 관례 = 22
  3. 남녀의 유별적 질서수립을 위한 의례, 혼례 = 28
  4. 친친의 종법적 질서수립을 위한 의례, 상제례 = 33
  5. 유교의 일생의례를 보는 눈 = 44
 제물과 진설방식의 이론적 고찰 - 안동지역 불천위제사를 중심으로 = 49
  1. 머리말 = 49
  2. 조상제사의 핵심제물과 주변제물 = 53
  3. 가문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진설방식 = 81
  4. 맺음말 = 103
 조선후기 상례의 미시적 연구 - 정재 류치명의 상례일기『고종록(考終錄)』을 중심으로 = 107
  1. 머리말 = 107
  2. 류치명의 생애와 가문 = 109
  3. 임종에서 부제, 행례 논쟁과 변례의 생성 = 114
  4. 맺음말 = 136
 가가례를 통해 본 영남예학의 특징 - 불천위 제례를 중심으로 = 141
  1. 머리말 = 141
  2. 단설과 합설, 설위방식 = 144
  3. 쇠고기갱과 콩나물갱, 육류와 나물 = 152
  4. 3적과 도적, 단품과 고임 = 158
  5. 맺음말 = 162
2부 유교의례의 상징과 의미 
 유교의례의 사회적 기능과 상징적 의미 = 167
  1. 머리말 = 167
  2. 조상제사를 통한 부계친족의 결속과 강화 = 170 
  3. 의례의 차별화를 통한 신분적 차등질서의 구현 = 176
  4. 의례의 신성화를 위한 상징적 의미부여 = 183
  5. 맺음말 = 189
 조상제례의 일상성과 비일상성 = 193
  1. 머리말 = 193
  2. 조상을 위한 배려의 장치, 일상적 요소 = 196
  3. 조상제례의 신성화를 위한 비일상적 요소 = 209
  4. 맺음말 = 221
 제례공간의 통과의례적 속성 - 정침, 사당, 묘소를 중심으로 = 227
  1. 머리말 = 227
  2. 분리의 공간으로서 정침 = 228
  3. 전이의 공간으로서 사당 = 239
  4. 통합의 공간으로서 묘소 = 253
  5. 맺음말 = 259
 신주를 통해 본 유교의 영혼관 = 273
  1. 머리말 = 273
  2. 조상의 흠향을 연출하는 시동 = 277
  3. 주자목(主子木)에서 신주로의 전환 = 285
  4. 신주에 담긴 상징적 의미 = 290
  5. 맺음말 = 299
 관혼상제에 투영된 유교적 세계관 = 315
  1. 머리말 = 315
  2. 나와 타인, 대대적 관념 = 318
  3. 구분의 질서, 차등적 관념 = 323
  4. 삶과 죽음, 생사혼성적 관념 = 328
  5. 맺음말 = 338
3부 유교의례의 전통과 변화 
 조상제사의 전통과 한국 제례문화의 정체성 = 345
  1. 머리말 = 345
  2. 제사종류, 기제의 강화에 따른 시제의 소멸 = 347
  3. 제례시간, 기일 중심적 시간 = 355
  4. 가문의 위상을 드러내는 제물의 등장 = 358
  5. 진다(進茶)의 숭늉, 식문화의 차이에 따른 변화 = 364
  6. 설위방식, 규범에 우선하는 정리(情理) = 367
  7. 맺음말 = 369
 조상제례의 변화와 정체성 지속 전략 = 373
  1. 머리말 = 373
  2. 생활양식변화에 따른 제례의 시공간 재편 = 377
  3. 합사와 축소, 제례대상의 변화 = 385
  4. 음복방식의 변화와 숙육의 선호 = 392
  5. 맺음말 = 395
 가정의례준칙에 따른 의례문화의 변화 = 401
  1. 머리말 = 401
  2. 의례문화의 외재적 지배, 의례준칙 = 403
  3. 의례문화의 내재적 지배, 가정의례준칙 = 407
  4. 폐지에서 부활, 관례와 회갑연 = 409
  5. 혼례, 사회적 혼인에서 법적 혼인으로 = 412
  6. 상례, 시신처리의 장례로 = 416
  7. 제례, 친족집단의 재편성 = 423
  8. 맺음말 = 427
참고문헌 = 431
찾아보기 = 443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별0점
  • 별5점
  • 별4.5점
  • 별4점
  • 별3.5점
  • 별3점
  • 별2.5점
  • 별2점
  • 별1.5점
  • 별1점
  • 별0.5점
  •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 Tag List

    Tag List 메세지가 없습니다

  • Tag Cloud

    Tag Cloud 메세지가 없습니다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입력
태그보기

처음 오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