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책을 펴내며 = 3
일러두기 = 15
제Ⅰ편 邑落과 공동체
제1장 읍락사회의 성격 = 19
1. 읍락 관련 용어 검토 = 19
2. 읍락사회의 성격 = 28
제2장 사회편제 단위와 그 변화 = 33
1. 國의 형성과 읍락 = 33
2. 읍락에서 城(村) 중심으로 = 43
3. 성(촌)에서 自然村 중심으로 = 59
제3장 공동체 ...
목차 전체
목차
책을 펴내며 = 3
일러두기 = 15
제Ⅰ편 邑落과 공동체
제1장 읍락사회의 성격 = 19
1. 읍락 관련 용어 검토 = 19
2. 읍락사회의 성격 = 28
제2장 사회편제 단위와 그 변화 = 33
1. 國의 형성과 읍락 = 33
2. 읍락에서 城(村) 중심으로 = 43
3. 성(촌)에서 自然村 중심으로 = 59
제3장 공동체 조직과 농경의례 = 69
1. 두레 공동체와 그 기능 = 69
2. 사회분화의 진전과 공동체의 변화 = 75
3. 집권체제의 강화와 공동체의 재편성 = 76
4. 공동체와 농경의례 = 86
제Ⅱ편 姓氏집단과 귀족가문
제1장 성씨집단과 그 出自 = 99
1. 백제의 성씨 = 99
2. 複姓과 單姓 = 104
3. 성씨집단의 출자 = 107
제2장 骨族의식과 骨族범위 = 126
1. 골족의 표기 = 126
2. 초기백제의 골족 = 129
3. 한성도읍기의 골족 = 133
4. 웅진도읍기의 골족 = 136
5. 사비도읍기의 골족 = 139
6. 골족의 정치사회적 기능 = 146
제3장 귀족가문의 역사적 전개 - 木R?(木)氏 가문을 중심으로 = 151
1. 목협(목)씨의 출자 = 151
2. 한성도읍기 목협(목)씨 출신 인물의 활동 = 154
3. 웅진도읍기 목협(목)씨 출신 인물의 활동 = 170
4. 사비도읍기 목협(목)씨 출신 인물의 활동 = 179
제4장 성씨의 分枝化와 귀족가문의 분화 = 183
1. 성씨 분지화의 요인 = 183
2. 왕족 夫餘氏의 분지화 = 187
3. 귀족가문의 분지화 = 199
제Ⅲ편 사회질서의 확립과 사회안전망
제1장 戶口 파악과 호적의 정비 = 211
1.《일본서기》계체기 3년조의 검토 = 211
2. 호적제의 실시 = 215
3. 인구 파악과〈'西部後巷' 목간〉의 분석 = 219
4. 인구 推刷 = 225
제2장 도량형의 통일과 그 변화 = 230
1. 도량형의 통일 = 230
2. 한성도읍기의 도량형 = 241
3. 웅진도읍기의 도량형 = 251
4. 사비도읍기의 도량형 = 255
제3장 물자 유통과 稱量 위반자의 처벌 = 265
1. 시장과 물자 유통 = 265
2. 稱量 위반자의 처벌 = 272
3. 도량형의 확대와 수취의 강화 = 276
제4장 민생 정책과 賑貸制의 실시 = 289
1. 勸農과 농업 생산력의 증대 = 289
2. 구휼 사업과 游食者 귀농 조치 = 296
3. 진대제의 실시와〈'佐官貸食記' 목간〉 = 306
제5장 醫ㆍ藥 기술의 발전과 의료 활동 = 321
1. 의ㆍ약 기술의 발전 = 321
2. 의ㆍ약 제도의 정비 = 335
제Ⅳ편 사상과 종교
제1장 유학의 수용과 확산 = 355
1. 유학의 수용 = 355
2. 유학 교육과 인재 양성 = 360
3. 유학사상에 대한 이해의 심화 = 366
제2장 도가사상의 수용과 그 전개 = 375
1. 도가사상의 수용과 활용 = 375
2. 도가사상의 확산 = 382
제3장 불교 공인과 계율 정비 = 397
1. 불교 공인과 불교 신앙의 확산 = 397
2. 계율의 정비와 謙益 = 405
제4장 彌勒寺 창건과 知命法師 = 417
1. 무왕과 선화공주 = 417
2. 미륵사지 서탑 출토〈사리봉안기〉와 沙NG氏 왕후 = 426
3. 미륵사 창건 = 433
4. 재원 조달과 노동력 동원 = 442
5. 지명법사의 위상 = 450
제Ⅴ편 제의와 신앙
제1장 토착신앙과 공동체 祭儀 = 461
1. 국-국연맹단계의 제의 = 461
2. 부체제단계의 제의 = 468
제2장 국가제의 체계의 정비: 한성도읍기 = 480
1. 시조묘(동명묘) 제사 = 480
2. 郊祀祭 = 485
3. 종묘와 社稷祭 = 491
4. 산천제 = 498
제3장 국가제의 체계의 재정비: 사비도읍기 = 502
1. 웅진 천도와 제의환경의 변화 = 502
2. 사비도읍기 제의체계의 재정비 = 507
제4장 백제금동대향로와 유ㆍ불ㆍ선 三敎 사상 = 541
1. 백제금동대향로의 제작 = 541
2. 향로에 보이는 삼교 사상 = 550
참고문헌 = 561
찾아보기 = 575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