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검색

상세정보

눈먼 자의 초상 : 복도훈 평론집

복도훈 지음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서명/저자사항눈먼 자의 초상 : 복도훈 평론집 / 복도훈 지음
개인저자복도훈
발행사항파주 : 문학동네, 2010
형태사항644 p. ; 23 cm
총서사항문학동네 평론집
ISBN9788954610865
분류기호811.09
언어한국어
  • 보존서고자료신청보존서고자료신청
  • 서가에없는도서 이미지서가에없는도서신청
  • 도서 PICK UP 서비스도서 PICK UP 서비스
  • 인쇄인쇄
  • SMS발송SMS발송

전체

전체 메세지가 없습니다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1077130 811.09 복도훈 눈 3층 자료실 서가번호 328 대출가능
2 1077131 811.09 복도훈 눈 c2 보존서고B3 B352-6-5 대출가능

목차

목차 일부

목차
책머리에 = 4
제1부 부정성에 머무르는 힘
 축생, 시체, 자동인형 - 2000년대 젊은 작가들의 소설에 등장한 캐릭터와 신(新)인류학 = 21
 포스트모던 문명의 불만, 괴물들의 이상한 가역반응 - 백민석의『목화밭 엽기전』『러셔』『죽은 올빼미 농장』을 중심으로 = 47
 죽음에 이르는 병 - 최수철의『페스트』를 중심으로 = 76
 문학 없는 문학을...

목차 전체

목차
책머리에 = 4
제1부 부정성에 머무르는 힘
 축생, 시체, 자동인형 - 2000년대 젊은 작가들의 소설에 등장한 캐릭터와 신(新)인류학 = 21
 포스트모던 문명의 불만, 괴물들의 이상한 가역반응 - 백민석의『목화밭 엽기전』『러셔』『죽은 올빼미 농장』을 중심으로 = 47
 죽음에 이르는 병 - 최수철의『페스트』를 중심으로 = 76
 문학 없는 문학을 위하여 = 97
 언데드(undead) = 116
제2부 더 나은 삶에 대한 꿈
 유머와 기적 - 박민규와 윤성희의 소설에 나타난 (탈)주체성의 징표들 = 127
 좀처럼 깨어나지 않는 모래들의 꿈 - 안성호 소설집『때론 아내의 방에 나와 닮은 도둑이 든다』에 대하여 = 146
 생존이 꿈인 자들의 삶, 생존이 삶인 자들의 꿈 - 박민규의 네 편의 소설에 대하여 = 166
 우정을 상상하는 세 가지 방법 = 176
 정신분석과 환상에 대한 13개의 시퀀스 = 188
제3부 문학의 국경, 국경의 문학
 연대의 환상, 적대의 현실 - 최근 한국소설의 연대적 상상력과 재현에 대한 비판적 주석 = 217
 공포와 동정 - 최근 한국소설에 재현된 타자성과 정념의 정치경제학 = 249
 노르망디의 실종자 - 조정래 장편소설『오 하느님』에 대하여 = 269
 거인과 북소리 - 강영숙 장편소설『리나』읽기 = 286
 문턱에 대하여 - 신경숙, 강영숙, 백가흠의 단편소설에서 읽은 윤리의 아포리아 = 298
제4부 소설의 성좌 1
 고통의 몸, 고통의 기록 - 백가흠과 윤대녕의 단편 읽기 = 315
 위무하는 소설 - 윤대녕 소설집『제비를 기르다』, 윤성희 소설집『감기』에 대하여 = 325
 잔혹 동화, 자정의 소설, 캐비닛 산해경 - 김숨, 박형서, 김언수의 소설에 대하여 = 335
 멜랑콜리, 히스테리, 그로테스크 - 김인숙, 권여선, 김지현의 소설에 대하여 = 348
 뉴웨이브 역사소설의 세 경향 - 김훈, 신경숙, 김경욱의 새로운 역사소설에 대하여 = 362
 소설, 정념이 배치되는 성좌 = 377
제5부 소설의 성좌 2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 윤대녕의『옛날 영화를 보러 갔다』를 다시 읽다 = 399
 추방된 젊음, 디오게네스의 윤리 - 김영하 장편소설『퀴즈쇼』에 대하여 = 420
 심연에서 비극으로 - 최인석 소설집『목숨의 기억』에 대하여 = 438
 소금과 불멸 - 명지현의 첫 소설집『이로니, 이디시』에 대하여 = 452
 가면의 허구에서 비의 진실로 - 김연수론 = 470
제6부 하나이면서 여럿인 문학
 화염과 재: 김연수 소설이 말하면서 말하지 않은 것 - 김연수 장편소설『네가 누구든 얼마나 외롭든』『밤은 노래한다』를 중심으로 = 483
 아담의 말 - 최수철 소설집『몽타주』에 대하여 = 531
 허구를 해체하는 허구 - 박인홍 소설집『벽 앞의 어둠』에 대하여 = 554
 목소리가 사라지는 곳으로 문학이 가야 한다 = 575
 하나이면서 여럿인: (포스트)문학의 윤리와 정치 - 소포클레스의『오이디푸스 왕』『콜로노스의 오이디푸스』를 경유하여 = 610
맺음말 두 좀비의 종말론적 문학여담 - 지구멸망을 몇 시간 앞둔 어느 날, 햇빛 찬란한 늦은 오후에 = 635
발표 지면 = 645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별0점
  • 별5점
  • 별4.5점
  • 별4점
  • 별3.5점
  • 별3점
  • 별2.5점
  • 별2점
  • 별1.5점
  • 별1점
  • 별0.5점
  •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 Tag List

    Tag List 메세지가 없습니다

  • Tag Cloud

    Tag Cloud 메세지가 없습니다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입력
태그보기

처음 오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