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역자 서문 = 3
저자 서문 = 7
01. 애착과 변화 = 13
변화를 가져오는 관계 = 15
알고 있지만 생각해 보지 않은 것 = 16
경험에 대한 태도: 표상과 성찰 및 마음챙김 = 17
제1부 Bowlby와 그 이후
02. 애착 이론의 기초 = 27
John Bowlby: 근접과 보호 및 분리 = 28
Mary Ainsworth: ...
목차 전체
목차
역자 서문 = 3
저자 서문 = 7
01. 애착과 변화 = 13
변화를 가져오는 관계 = 15
알고 있지만 생각해 보지 않은 것 = 16
경험에 대한 태도: 표상과 성찰 및 마음챙김 = 17
제1부 Bowlby와 그 이후
02. 애착 이론의 기초 = 27
John Bowlby: 근접과 보호 및 분리 = 28
Mary Ainsworth: 애착과 의사소통 및 '낯선 상황' = 33
03. Mary Main: 정신적 표상과 메타인지 및 성인 애착 면접 = 47
Bowlby와 내적 작동 모델 = 48
내적 작동 모델의 재개념화 = 50
애착 패턴의 세대 간 전이 = 64
메타인지: 생각하기에 대해 생각하기와 표상적 세계 표상하기 = 67
04. Fonagy와 그 이후 = 71
Peter Fonagy: 정신화와 경험의 방식 및 자기의 상호주관적 기원 = 71
경험의 양식 = 76
애착에서 상호주관성으로 = 83
제2부 애착 관계와 자기의 발달
05. 자기의 여러 차원 = 97
자기 경험의 영역 = 97
애착의 신경생리학 = 108
애착과 몸에 기반을 둔 마음과 마음이 깃든 몸 통합하기 = 122
06. 다양한 애착 경험 = 129
유아기와 그 이후의 애착 패턴 = 131
유의할 점과 용어 사용에 대한 부연 설명 = 147
07. 애착 관계가 어떻게 자기를 형성하는가 = 149
정서 조절과 애착 전략 = 151
관계에서 일어나는 과정과 발달과정에서 진정 바라는 것 = 157
공동의 창조와 통합 및 상호주관성 = 161
제3부 애착 이론에서 임상 실제로
08. 비언어적 경험과 '알고 있지만 생각해 보지 않은 것': 자기의 정서적 핵심에 접근하기 = 171
비언어적 경험에 초점을 둔 연구의 개요 = 172
비언어적인 언어 이해하기 = 177
알고 있지만 생각해 보지 않은 것이 실연되는 것에 대한 작업 = 183
알고 있지만 생각해 보지 않은 것이 불러일으켜 지는 상태에 대한 작업 = 189
알고 있지만 생각해 보지 않은 것이 치료 장면에서 구현되는 것에 대한 작업 = 194
09. 경험에 대한 자기의 태도: 매몰과 정신화 및 마음챙김 = 199
매몰 = 202
정신화 = 203
마음챙김 = 205
매몰에서 정신화로 = 207
심리치료에서 성찰적 자기의 강화와 통합의 촉진 = 215
성찰적 자기를 키우기: 치료과정의 예시 = 220
심리치료에서 마음챙김 = 237
10. 애착 이론의 임상적 차원 심화시키기: 상호주관성과 관계적 관점 = 249
한 사람 심리학을 넘어서 = 250
애착과 상호주관성: 수렴적이고 상호보완적인 이론 = 252
전통적 개념의 재고: 심리치료의 민주화와 치료자 역할의 인격화 = 258
치료적 개입방법에 대한 상호주관성 이론의 기여 = 267
상호주관적 관점이 애착 이론에 추가하는 것 = 278
제4부 심리치료에서의 애착 유형
11. 발달을 위한 도가니 만들기 = 285
심리치료에서 협력적 의사소통 촉진하기 = 285
환자가 심리치료에 잘 참여할 수 있도록 훈련시키기 = 297
분리와 중단 그리고 종결 = 300
애착에 관한 환자의 마음 상태 평가하기 = 304
12. 무시형 환자: 고립에서 친밀로 = 311
공감과 직면 = 313
치료적 상호작용과 무시형 환자 = 317
13. 집착형 환자: 자신의 마음을 위한 자리 만들기 = 329
무력함의 패턴 = 332
분노와 혼란의 패턴 = 344
14. 미해결형 환자: 정신적 외상과 상실의 상처 치유하기 = 355
안정에 대한 환자의 두려움 극복하기 = 358
해리와 투사적 동일시 및 역전이 = 362
안정에 대한 환자의 두려움 극복하기(계속) = 367
정신적 외상을 말로 표현하기 = 370
정신화와 마음챙김 = 373
제5부 임상적 초점 선명히 하기
15. 비언어적 영역 1: 불러일으켜 지고 실연된 측면 다루기 = 377
비언어적 의사소통 = 381
치료자 안에서 불러일으켜 진 반응에 대해 어떻게 해야 하는가 = 383
실연되는 것을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가 = 393
16. 비언어적 영역 2: 몸과 작업하기 = 423
몸에 주의 기울이기 = 425
탈신체화와 미해결형 환자 = 440
17. 정신화와 마음챙김: 심리적 해방의 이중 나선 = 445
'탈매몰' 과정으로서 정신화와 마음챙김 = 447
관계의 맥락에서 정신화와 마음챙김 발달시키기 = 450
이중 나선: 임상적 실례 = 452
마음챙김 길러 주기 = 476
정신화 촉진하기 = 481
정신화와 마음챙김 및 치료자의 기여 = 489
참고문헌 = 491
찾아보기 = 506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