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머리말 = 5
제1부 시대적 위기와 문학의 대응
제1장 반아 석진형의「몽조」연구 = 15
1. 머리말 = 15
2. 반아 석진형과『황성신문』= 18
1) 석진형은 어떤 인물인가? = 18
2) 개명유학자를 대변했던『황성신문』= 24
3. 개신유학자의 좌절과 그 가족의 불행 = 25
1) 좌절한 개신유학자 - 한대홍 = ...
목차 전체
목차
머리말 = 5
제1부 시대적 위기와 문학의 대응
제1장 반아 석진형의「몽조」연구 = 15
1. 머리말 = 15
2. 반아 석진형과『황성신문』= 18
1) 석진형은 어떤 인물인가? = 18
2) 개명유학자를 대변했던『황성신문』= 24
3. 개신유학자의 좌절과 그 가족의 불행 = 25
1) 좌절한 개신유학자 - 한대홍 = 26
2) 기독교에 귀의한 현모양처 - 정씨부인 = 29
3) 국가주의를 강조한 개신유학자의 전형 - 박주사 = 32
4) 전도부인의 기독교 전파와 그 의미 = 37
4. 맺음말 = 42
제2장 이무영의 친일소설과 일본어 사용 문제 = 45
1. 문제제기 = 45
2.『향가』텍스트의 실증적 검토 = 47
3. 해방공간에서의 텍스트 개작 = 53
1) 시국적 상황의 제거 = 53
2) 일본 국가관(황국사관)의 삭제 = 56
3) 일본어 강조의 삭제와 수정 = 59
4. 이무영의 일본어 인식 = 64
5. 맺음말 = 72
제3장 이무영의 친일문학과 그 내적 논리 = 75
1. 문제제기 = 75
2. 이무영 친일문학의 실체 = 77
1) 한글소설 - 절망에서 희망의 플롯으로 = 77
2) 14편의 국책 일문소설 = 82
3) 일문 비해독자를 위한『大東亞戰記』의 번역 = 93
3. 친일문학의 내적 논리 = 94
1) 강조된 농촌과 농민문학작가로서의 새로운 전기 = 94
2) 반근대주의로서의 신체제론 = 96
4. 창작 배경으로서의 恩師, 가토 다케오 = 100
5. 맺음말 = 106
제4장 이무영 관련 日文 번역 자료 = 109
1. 加藤武雄 先生へ = 109
2.『情熱の書』= 115
3. Z(사위) = 117
4. 果園物語 = 120
5.〈肖像〉= 122
6. ?小說集 驛前 = 123
7. 國語問題會談 = 124
8. 加藤武雄 國民文化の 方向 = 128
9. 加藤武雄, 朝鮮の文學について = 129
10. 朝鮮藝術賞の 李無影君 = 132
제5장 해방공간에서의 잔류 일본인 귀환 문제 = 137
1. 문제제기 = 137
2. 서지 사항 검토 = 140
3. 각 작품의 서사전략이 갖는 의미 = 143
4. 잔류 일본인과 만주ㆍ북한의 공간적 의미 = 151
1) 만주국과 신경 - 일본인이나 조선인 모두 피난민이었다 = 151
2) 함경북도(청진)의 공간적 의미 = 154
3) 38선 분단과 이북의 잔류 일본인 = 160
5. 맺음말 = 163
제2부 현실인식과 문학의 변주
제1장 황석영 소설의 텍스트 확정을 위한 고찰 = 169
1. 문제제기 = 169
2. 개제(改題)의 경우 = 170
3. 본문 개작의 경우 = 175
1) 개작의 원점 -「입석부근」= 175
2) 목적성의 강조 -「탑」,「낙타누깔」= 178
3) 문학성의 강조 -「삼포가는 길」= 186
4) 시대상황의 반영 -「객지」,「한씨연대기」= 187
4. 개작 배경 - 대중성과 목적성의 조화 = 190
5. 맺음말 = 195
제2장 황석영 초기 문학에 나타난 탈식민성 = 199
1. 문제제기 = 199
2. 본론 = 201
1) 이산(disapora)과 실향의식 = 201
2) 식민적 제도 교육에 대한 회의 = 203
3) 베트남전을 통한 탈식민 의식의 심화 = 205
4) 체험을 통한 하위주체(subaltern)의 전경화 = 209
5) 탈식민 실천으로서의 마당극 운동 = 213
6) 탈식민적 공간으로서의 북한의식 = 216
3. 맺음말 = 218
제3장 황석영의 청소년기 소설 연구 = 221
1. 여는 말 = 221
2. 실증적 자료 검토 = 224
3. 불행한 여성의 발견,「팔자령」= 229
4. 능동적 서사로의 전환,「입석부근」= 235
5. 맺음말 = 243
제4장 발굴소설, 황석영의「同行」연구 = 247
1. 머리말 = 247
2. 황석영 소설에서「동행」의 위치 = 249
3. 텍스트의 구조 = 253
4. 작품에 드러난 작가 의식 = 256
1) 부정적인 언론관 = 257
2) 부르주아에 대한 희화화 = 258
3) 근대(화)에 대한 회의 = 260
5. 인물과 주제의 상호텍스트성 = 263
1) 인물층위 = 263
2) 몸을 매개로 한 주제의식의 구현 = 267
6. 맺음말 = 273
제5장 황석영 희곡의 창작배경과 기원 = 277
1. 서론 = 277
2. 희곡의 창작 배경 = 279
1) 희곡과의 만남 = 279
2) 문화운동으로서의 연극장르 선택 = 281
3. 발표 희곡에 대한 실증적 검토 = 293
1) 작품현황과 공동창작의 문제 = 293
2) 무대극에서 마당극으로의 전환 = 296
4. 결론 = 302
제6장 황석영 희곡의 탈식민성 = 307
1. 문제제기 = 307
2. 희곡의 창작배경과 작품 현황 = 309
3. 탈식민적 성격 = 312
1) 역사소재의 희곡 = 312
2) 마당극의 탈식민성 = 314
3) 외세비판 = 316
4) 내부식민화 비판 = 322
4. 탈식민화 전략 = 328
1) 전통문화양식의 전유 - 굿의 차용 = 328
2) 반언술(counter-discourse)의 활용 = 332
3) 지역성 강조를 통한 심상지리(Imaginative Geography)의 전복 = 335
5. 탈식민성의 한계 = 338
6. 결론 = 340
제7장 황석영 소설과 희곡의 장르교섭 = 345
1. 문제제기 = 345
2. 소설과 희곡의 상호텍스트성 = 350
1) 희곡의 소설화 -「돛」,「산국」= 350
2) 소설의 희곡화 -「돼지꿈」,「장산곶매」,「한씨연대기」= 354
3. 소설에 나타난 劇性 = 360
1) 구술적 담론 활용을 통한 극성 확보 - 1인칭 소설 = 360
2) 서술자의 절제를 통한 극화양상 - 3인칭 소설 = 363
3) 시공간의 제한을 통한 극화 양상 = 368
4. 맺음말 = 371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