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머리말 - 학병세대를 위한 변명
Ⅰ부
1. 상하이, 1945년, 조선인 학도병 = 13
2. 작가 이병주의 탄생 장면 = 57
Ⅱ부
1. 처녀작『내일 없는 그날』과 데뷔작『소설ㆍ알렉산드리아』사이의 거리재기 = 77
2. '노예의 사상'과 방편으로서의 소설 -『소설ㆍ알렉산드리아』에 부쳐 = 104
3. 역사와 소설 한 가운데 놓인 ...
목차 전체
목차
머리말 - 학병세대를 위한 변명
Ⅰ부
1. 상하이, 1945년, 조선인 학도병 = 13
2. 작가 이병주의 탄생 장면 = 57
Ⅱ부
1. 처녀작『내일 없는 그날』과 데뷔작『소설ㆍ알렉산드리아』사이의 거리재기 = 77
2. '노예의 사상'과 방편으로서의 소설 -『소설ㆍ알렉산드리아』에 부쳐 = 104
3. 역사와 소설 한 가운데 놓인 '변명' = 113
4.『탈출』과『불꽃』에 견주어본『관부연락선』 = 124
5. 교양주의와 학병세대 글쓰기의 관련 양상 = 154
Ⅲ부
1. 위신을 위한 투쟁에서 혁명적 열정에로 - 장편 삼부작론 = 195
2. 지리산의 사상과『지리산』의 사상 = 229
3. '허망한 정열'에 이른 과정 - 이병주의『지리산』론 = 239
4. 산천의 울림과 지리산의 울림 - 박경리의『토지』와 이병주의『지리산』 = 266
Ⅳ부
1. 노비 출신 박달세의 청춘과 야망 - 미완성 최후작『별이 차가운 밤에』론 = 283
2.『세우지 않은 비명』, 세워질 비명 - 성유정과 이병주 = 316
Ⅴ부
1. 내가 읽고 만난 이병주 = 347
2. '노예사상'의 현지를 찾아서 = 364
3. 이병주가 공부한 메이지대학에 가다 = 367
부록
1. 전지에서 만난 중국 소년 = 397
2.「겨울밤」 중 '중국 소년' = 405
3. 실격교사에서 작가까지 = 408
4. 일본인에게 보내는 편지 = 410
5. 8월의 사상 = 420
6. 작가 연보 = 445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