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저자서문 = 3
감사의 말씀 = 4
역자서문 = 5
PART 1 정서행동장애학생교육의 기초
CHAPTER 1 정서행동장애 개관 = 13
1. 정서행동장애의 정의 = 14
2. 정서행동장애학생의 분류 = 18
3. 정서행동장애의 출현율 = 20
4. 정서행동장애학생의 특성 = 20
5. 정서행동장애 분야의 발달과 역사 = 24
6...
목차 전체
목차
저자서문 = 3
감사의 말씀 = 4
역자서문 = 5
PART 1 정서행동장애학생교육의 기초
CHAPTER 1 정서행동장애 개관 = 13
1. 정서행동장애의 정의 = 14
2. 정서행동장애학생의 분류 = 18
3. 정서행동장애의 출현율 = 20
4. 정서행동장애학생의 특성 = 20
5. 정서행동장애 분야의 발달과 역사 = 24
6. 개념적 모델 = 26
7. 원인과 위험 요인 = 29
8. 중재 = 32
9. 정서행동장애학생의 배치 선택 = 43
10. 대안교육 프로그램 = 44
11. 청소년 법률 = 46
12. 정신건강 = 48
13. 요약 = 50
CHAPTER 2 정서행동장애학생교육의 법적 문제 = 53
1. IDEA = 54
2. 정서행동장애학생 훈육하기 = 71
3. 학생 기록 관리하기 = 85
4. FRRPA와 IDEA = 88
5. 의심되는 아동 학대와 방치 보고하기 = 89
6. 학생의 상해와 비행에 대한 교사의 책임 = 93
7. 요약 = 98
CHAPTER 3 정서행동장애학생의 사정 = 99
1. IDEA와 사정 = 100
2. 중재와 사정 = 111
3. 특수교육에서의 책무성 = 129
4. 요약 = 129
CHAPTER 4 응용행동분석 = 131
1. 역사 = 132
2. 응용행동분석의 특징 = 134
3. 행동의 원리 = 136
4. 행동의 원리 적용하기 = 156
5. 행동에 대한 정의와 기술 = 157
6. 행동평가 = 162
7. 기록 체계 = 163
8. 자료의 시각화와 교수적 결정 = 169
9. 행동변화를 위해 정적강화 사용하기 = 179
10. 일반화를 위한 프로그램 만들기 = 187
11. 요약 = 192
CHAPTER 5 기능적 행동사정과 행동중재계획 = 193
1. 기능적 행동사정과 행동중재계획의 기초 = 194
2. 기능적 행동사정 = 199
3. 기능적 행동사정의 실행 = 203
4. 기능적 행동사정을 수행하기 위한 일반적 방법 = 204
5. 실험적 방법 = 221
6. 긍정적 행동지원과 행동중재계획 = 227
7. 행동중재계획의 특성 = 228
8. 긍정적 행동중재계획 수립하기 = 229
9. 중재 충실성 = 238
10. 자료수집 = 242
11. 위기관리 = 243
12. 요약 = 244
CHAPTER 6 인지적 행동중재 = 245
1. 인지적 행동중재 = 247
2. 인지적 행동중재의 효과성 = 248
3. 인지적 행동중재의 절차 = 252
4. 인지적 행동중재의 실행 = 300
5. 요약 = 306
CHAPTER 7 사회성 기술 교수 = 307
1. 형식적 사회성 기술 지도 = 308
2. 비형식적 사회성 기술 교수 = 327
3. 요약 = 351
CHAPTER 8 협력 팀을 통해 정서행동장애학생의 요구 다루기 = 353
1. 협력과 팀의 정의 = 354
2. 협력 팀의 유형 = 356
3. 협력 팀을 왜 구성하는가? = 358
4. 어떻게 효과적인 협력 팀을 만드는가? = 361
5. 협력 팀에 누가 포함되는가? = 368
6. 가족과 학교 협력 = 374
7. 요약 = 379
CHAPTER 9 교육적으로 의미있고 법적으로 타당한 IEP 개발 = 381
1. 법적 요구사항 = 383
2. IEP 개발의 문제점 = 387
3. IEP 계획 과정 = 390
4. IEP의 이행 = 413
5. IEP의 검토와 수정 = 413
6. 교육적으로 의미있고 법적으로 타당한 IEP의 개발 = 415
7. IEP의 완성 = 426
8. 요약 = 427
PART 2 학급관리와 행동관리
CHAPTER 10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 431
1.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필요성 = 433
2.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구성요소 = 435
3. 긍정적 행동지원과 전체 학교 체계 = 443
4. 학교차원 긍정적 행동지원 체계의 실행 = 452
5.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과 학업성취 = 456
6.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과 법률 = 458
7. 요약 = 460
CHAPTER 11 학급과 행동관리Ⅰ: 학급 내 문제행동 예방 = 461
1. 학급관리 문제 = 462
2. 예방과 학급관리 = 465
3. 예방 대 반응적 학급관리 = 468
4. 예방적 학급관리 체계의 핵심 요소들 = 469
5. 예방적 교수 체계의 개발과 실행 = 494
6. 요약 = 509
CHAPTER 12 학급과 행동관리 Ⅱ: 문제행동에 반응하기 = 511
1. 문제행동의 특징 = 512
2. 문제행동에 대한 비효과적인 반응 = 513
3. 문제행동에 반응하기 위해 따라야 할 원리들 = 519
4. 문제행동에 반응하기 = 529
5. 위기관리 계획의 개발 = 543
6. 행동문제에 반응하기 위한 알고리즘 = 546
7. 요약 = 549
CHAPTER 13 학급과 행동관리 Ⅲ: 문제행동에 관한 중재 = 551
1. 문제행동중재 시 고려할 점 = 552
2. 행동 강화중재 = 555
3. 중재 = 559
4. 행동 감소중재 = 591
5. 중재 유형 = 594
6. 행동 감소중재를 사용할 때의 실행 및 법적 지침 = 613
7. 요약 = 617
PART 3 정서행동장애학생을 위한 교수방법
CHAPTER 14 정서행동장애학생 가르치기 Ⅰ: 효과적인 수업 = 621
1. 교사는 정서행동장애학생들을 위하여 효과적인 수업 전략을 사용하는가? = 623
2. 효과적인 수업의 원리 = 625
3. 효과성 유지하기 = 657
4. 요약 = 663
CHAPTER 15 정서행동장애학생 가르치기 Ⅱ: 증거 기반 수업 과정 = 665
1. 읽기교수 = 667
2. 쓰기교수 = 681
3. 수학 교수 = 690
4. 학습기술 교수 = 715
5. 요약 = 729
CHAPTER 16 정서행동장애학생 가르치기 Ⅲ: 수업 계획과 학생 수행 점검하기 = 731
1. 수업계획의 특징 = 732
2. 교수내용 계획하기 = 733
3. 교수방법 계획하기 = 736
4. START를 이용하기 수업 수정하기 = 763
5. 요약 = 764
참고문헌 = 765
찾아보기 = 847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