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책머리에 = 5
제1장 언론인에서 소설가로 = 17
1. 갑신정변과 서재필 = 21
2. 의사 서재필에서 언론인 서재필로 = 28
3. 서재필의 문서 홍보 활동 = 40
4. 한국계 미국 소설의 효시『한수의 여행』 = 45
5.『한수의 여행』의 집필과 출간 = 47
6.《코리아 리뷰》텍스트와 단행본 텍스트 = 55
제2...
목차 전체
목차
책머리에 = 5
제1장 언론인에서 소설가로 = 17
1. 갑신정변과 서재필 = 21
2. 의사 서재필에서 언론인 서재필로 = 28
3. 서재필의 문서 홍보 활동 = 40
4. 한국계 미국 소설의 효시『한수의 여행』 = 45
5.『한수의 여행』의 집필과 출간 = 47
6.《코리아 리뷰》텍스트와 단행본 텍스트 = 55
제2장 식민지 성장소설로서의『한수의 여행』 = 71
1.『한수의 여행』과 '자서전적 소설' = 75
2. 역사소설인가, 정치소설인가 = 95
3. 선전 홍보 활동과『한수의 여행』 = 103
4.『한수의 여행』과 성장소설 = 110
5. '식민지 성장소설'로서의『한수의 여행』 = 119
제3장『한수의 여행』의 소설적 기교 = 125
1. 스토리와 플롯의 불균형 = 129
2. 작중인물과 성격 형성 = 141
3.『한수의 여행』에 나타난 이미지와 상징 = 155
4. 서재필의 영어 구사력 = 172
제4장 『한수의 여행』의 주제와 문체 = 177
1.『한수의 여행』과 항일 독립운동 = 181
2. 자아인식 과정으로서의 여정 = 189
3. 불가지론과 회의론을 넘어서 = 197
4.『한수의 여행』과 자연 = 206
5.『한수의 여행』과 페미니즘 = 216
제5장『한수의 여행』과 한국 현대사 = 223
1. 근대 계몽기 미국 선교사들의 활동 = 227
2. 서양 문명의 가교로서의 선교사 = 241
3. 기미독립운동과 일본 제국주의 = 246
4. 파고다공원 연설과 서재필의 독립사상 = 255
5. 선천 사건과 제암리 학살 사건 = 263
6. '길 목사'와 길선주 = 267
7. 서재필과 이승만 = 271
8. 독립운동의 세 방략 = 275
9. 제1차 세계대전의 빛과 그림자 = 282
부록: Hansu's Journey = 289
참고문헌 = 358
찾아보기 = 362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