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머리말 = 3
제1부 행정학의 기초이해
제1장 행정학은 무엇인가? = 17
제1절 행정과 행정학 = 17
1. 행정의 개념 = 17
2. 행정학의 개념 = 18
3. 행정과 경영 = 23
제2절 정부와 행정 = 26
1. 정부의 개념과 형태 = 26
2. 정부의 구조 = 27
3. 정부의 역할과 기능 = 32
...
목차 전체
목차
머리말 = 3
제1부 행정학의 기초이해
제1장 행정학은 무엇인가? = 17
제1절 행정과 행정학 = 17
1. 행정의 개념 = 17
2. 행정학의 개념 = 18
3. 행정과 경영 = 23
제2절 정부와 행정 = 26
1. 정부의 개념과 형태 = 26
2. 정부의 구조 = 27
3. 정부의 역할과 기능 = 32
제3절 행정의 담당자 = 35
1. 공무원의 분류 = 35
2. 공무원 정원의 증가 = 38
제2장 행정학의 발달과정 = 45
제1절 행정학의 기원과 발달과정 = 45
1. 건국이념인 평등의식 = 45
2. 엽관주의 발달 : 정치적 책임과 대표성을 증시 = 46
3. 행정학의 발달 계기 : 중립적 능력의 중시 = 47
4. 초기행정학 : 1890년대 이후∼1930년대 초반 = 48
5. 정치와 행정의 연계 = 49
6. 행태주의 : 행정학의 과학적 연구를 강조 = 50
7. 비교ㆍ발전행정 : 1950년대-1960년대 = 50
8. 신보수주의 : 1980년대 = 51
9. 서비스 질 개선을 위한 행정개혁 : 1990년대 = 51
10. 21세기를 향한 새로운 이념의 실험 = 54
제2절 행정학의 학문적 성격 = 55
1. 사회과학으로서의 행정학 = 55
2. 종합학문으로서의 행정학 = 56
3. 행정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 56
4. 행정학의 실천적이고 도구적인 성격 = 57
5. 행정학의 기술성과 과학성 = 57
제3절 행정학의 주요 접근방법 = 58
1. 역사적 접근방법 = 58
2. 법률적ㆍ제도론적 접근방법 = 58
3. 행태론적 접근방법 = 59
4. 생태론적 접근방법 = 59
5. 체제론적 접근방법 = 60
6. 공공선택론적 접근방법 = 60
7. 현상학적 접근방법 = 61
8. 신제도주의적 접근방법 = 61
제3장 행정의 이념 = 67
1. 본질적 행정가치 = 67
2. 수단적 행정가치 = 70
3. 행정이념간의 관계 = 72
제4장 현대행정의 이해 = 78
제1절 현대국가와 현대행정 = 78
1. 현대국가의 성격 = 78
2. 현대행정의 기능 = 80
3. 현대행정의 특징 = 81
제2절 현대행정의 최근 동향 = 83
1. 정부기능의 재조정 = 83
2. 행정목표의 재정립 = 85
3. 행정관리방식의 변화 = 86
4. 지식정보화와 행정 = 87
제5장 행정의 환류 = 93
제1절 행정책임 = 93
1. 행정책임 = 93
2. 민주통제 = 97
제2절 행정윤리 = 97
1. 행정윤리의 의의 = 100
2. 행정윤리의 확보 방안 = 101
3. 행정권의 오용과 공무원 부패 = 102
제3절 정부개혁 = 104
1. 정부개혁의 개념 = 104
2. 정부개혁의 단계 = 105
3. 정부개혁에 대한 저항 = 107
4. 정부개혁의 접근방법 = 110
제2부 행정의 분야별 이해
제1장 정책 = 119
제1절 정책의 의의 = 119
1. 정책의 개념 = 119
2. 정책의 유형 = 122
제2절 정책환경과 정책과정 = 125
1. 정책환경 = 125
2. 정책과정 및 참여자 = 128
제3절 정책의제 = 131
1. 정책의제설정의 의의 = 131
2. 정책의제설정의 과정 = 133
제4절 정책결정 = 135
1. 정책결정의 의의 = 135
2. 정책결정의 과정과 기준 = 137
3. 정책결정의 변수와 제약요인 = 139
4. 정책결정 모형 = 141
제5절 정책집행 = 145
1. 정책집행의 의의 = 145
2. 정책집행자 = 149
3. 정책집행의 제약요인 = 151
4. 정책집행 실패와 정책학습 = 152
제6절 정책분석평가 = 154
1. 정책분석의 의의 = 154
2. 정책분석기법 = 157
3. 정책평가의 의의 = 160
4. 정책평가의 방법 = 162
5. 정책평가의 한계 = 163
제7절 우리나라 정책평가제도 = 163
제8절 정책과 기획 = 165
1. 정책과 기획 = 165
2. 기획이론의 발달배경 = 166
3. 기획의 특성 및 기능 = 167
4. 정책기획과정 = 168
5. 기획의 유형 = 170
6. 우리나라 중앙정책기획기구 = 173
제2장 조직 = 180
제1절 조직이론의 발전 = 180
1. 조직과 조직화 = 180
2. 고전적 조직이론 = 182
3. 신고전적 조직이론 = 184
4. 현대 조직이론 = 185
제2절 현대사회와 조직 = 187
1. 현대 조직의 특징 = 187
2. 조직의 유형 = 189
3. 조직의 원리 = 191
4. 우리나라 정부조직 = 193
제3절 행정조직구조론 = 198
1. 행정조직구조의 의의 = 198
2. 행정조직의 원리 = 200
3. 행정조직의 모형 = 201
제4절 조직행태론 = 204
1. 조직구성원의 동기부여 = 204
2. 동기부여이론 = 207
제5적 조진관리론 = 211
1. 리더십 = 211
2. 권력 및 갈등관리 = 215
3. 의사결정 = 219
제6절 관료제 = 220
1. 관료제론 = 220
2. 탈관료제론 = 223
제3장 인사 = 232
제1절 정부와 인력 = 232
1. 인사행정 = 232
2. 인력계획 = 235
3. 공무원의 종류 = 236
제2절 공무원제도 = 239
1. 엽관제와 실적제 = 239
2. 직위분류제와 계급제 = 240
3. 개방제와 폐쇄제 = 245
4. 직업공무원제 = 246
5. 고위공무원단제 = 247
제3절 공무원의 임용 = 248
1. 공개경쟁채용 = 248
2. 공무원의 내부임용 = 249
제4절 공무원의 사기관리 = 253
2. 보수와 연금제도 = 253
제5절 공무원의 능력개발 = 258
1. 의의 = 258
2. 능력개발의 수단 = 258
제6절 공무원의 근무와 규율 = 260
1. 정치적 중립 = 260
2. 공무원단체 = 263
3. 공무원의 근무와 규율 = 263
제4장 예산 = 270
제1절 예산의 기초이론 = 270
1. 정부기능과 재무행정 = 270
2. 예산의 개념과 성격 = 271
3. 예산의 원칙 = 272
4. 예산의 종류 = 275
제2절 예산결정이론 = 281
1. 총체적 합리주의 = 281
2. 점증주의 = 282
3. 예산문화론 = 283
제3절 예산과정 = 284
1. 예산편성 = 284
2. 예산심의 = 285
3. 예산집행 = 285
4. 예산결산 = 286
제4절 예산제도 = 287
1. 품목별예산제도 = 287
2. 성과주의예산제도 = 287
3. 계획예산제도 = 288
4. 영기준 예산제도 = 289
5. 자본예산 = 289
6. 일몰법 = 290
제5절 예산의 개혁 = 290
1. 주민참여예산 = 290
2. 조세지출예산 = 293
3. 성인지예산 = 294
4. 예산총액배분자율편성(top-down)제도 = 295
제5장 행정학의 미래 = 302
제1절 거버넌스 = 302
1. 거버넌스의 개념 = 302
2. 거버넌스의 특징 = 304
3. 거버넌스의 유형 = 305
제2절 전자정부와 시민참여 = 308
1. 전자정부 = 308
2. 시민참여 = 312
3. 전자정부에서의 시민참여 = 314
제3절 공기업론 = 315
1. 공기업의의의 = 315
2. 공기업의 분류 = 317
3. 우리나라의 공기업 = 318
4. 공기업의 민영화 = 319
제4절 공공서비스 = 322
1. 공공서비스의 의의 = 322
2. 공공서비스의 전달체계 = 325
3. 고객관계관리(PCRM) = 325
참고문헌 = 331
찾아보기 = 339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