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책머리에 = 9
일러두기 = 19
서(序): 한국과 일본의 역사인식 = 21
제1부 독도 문제
독도 문제의 쟁점, 그 기원과 현황 / 현대송 = 33
1. 머리말 = 33
2. 독도 영유권 문제의 쟁점과 연구의 개략 = 35
3. 역사적 근거를 둘러싼 쟁점 = 42
4. 국제법적 견해를 둘러싼 쟁점 = 66
5. 태평양전쟁에서 한일...
목차 전체
목차
책머리에 = 9
일러두기 = 19
서(序): 한국과 일본의 역사인식 = 21
제1부 독도 문제
독도 문제의 쟁점, 그 기원과 현황 / 현대송 = 33
1. 머리말 = 33
2. 독도 영유권 문제의 쟁점과 연구의 개략 = 35
3. 역사적 근거를 둘러싼 쟁점 = 42
4. 국제법적 견해를 둘러싼 쟁점 = 66
5. 태평양전쟁에서 한일기본조약에 이르는 일련의 조치의 해석을 둘러싼 대립 = 74
6. 맺음말 = 83
1905년 일본의 다케시마(竹島) 영토편입 / 호리 카즈오 = 87
1. 머리말 = 87
2. 다케시마의 인지와 영유의식 = 89
3. 조선의 변경에 있는 도서(島嶼)에 대한 일본의 침입 = 102
4. 일본의 다케시마 영토편입 = 115
5. 맺음말 = 127
일본의 다케시마 고유영토론에 대한 의문 / 나이토 세이츄 = 129
1. 머리말 = 129
2. 울릉도는 조선 영토가 아니었던가? = 133
3. 다케시마 도해면허장을 둘러싼 문제 = 137
4. '다케시마 일건'과 도해금지를 둘러싼 문제 = 143
5. 안용복의 공술(供述)을 둘러싼 문제 = 149
동아시아의 영토 문제에 관한 일본의 정책 / 와다 하루키 = 159
1. 머리말 = 159
2. 문제의 발생: 패전, 점령, 영토처리 = 160
3.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 165
4. 두 나라 사이에서의 처리 = 168
5. 상황의 변화, 실패한 노력 = 175
6. 맺음말 = 177
제2부 야스쿠니ㆍ위안부ㆍ교과서 문제
한일 간 역사 문제로서의 야스쿠니 문제 / 다카하시 테쓰야 = 187
1. 머리말 = 187
2. 야스쿠니 신사란 무엇인가? = 188
3. A급 전범 문제란 무엇인가? = 194
4. 한국인 합사 문제란 무엇인가? = 200
5. 한국인 합사 취소 문제란 무엇인가? = 203
6. 맺음말에 갈음하여: 한국인 합사 취소 문제의 전망 = 204
일본군 위안소제도 및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둘러싼 주요 쟁점 / 윤명숙 = 207
1. 머리말 = 207
2. 일본군 위안부 문제 개괄 = 211
3.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두 가지 쟁점: '강제연행'과 '공창' 여부 = 213
4. 일본군 위안소제도에 대한 일본 정부의 법적 책임 = 217
5. 맺는말 = 222
한일의 역사갈등과 역사대화 / 정재정 = 225
1. 머리말 = 225
2. 역사인식과 역사갈등 = 227
3. 역사교과서 문제와 역사대화 = 237
4. 맺음말 = 250
제3부 과거를 넘어서: 해방 후 한일 갈등의 기원과 변천
한일 역사마찰의 배경 / 강덕상 = 257
1. 머리말 = 257
2. 제멋대로인 '정한론' = 261
3. 민권 운동에 있어서의 '조선 문제' = 265
4. 흥국(興國) 일본을 위한 발판이 되어 = 272
5. 한국 병합의 의미 = 275
6. 철저한 적시(敵視) 박해정책 = 277
7. 3ㆍ1 운동의 탄압 = 279
8. 대내적 민주주의, 대외적 배외 침략주의 = 282
9. 치안유지법과 조선인 = 285
10. 전시하의 '황국신민' = 285
11. 전시(戰時) 강제동원의 실패 = 288
12. 일본인에게 식민지 지배에 대한 반성은 있는가? = 290
13. 맺음말 = 293
「한일기본조약」과 「청구권협정」 / 김창록 = 295
1. 머리말 = 295
2. 「기본조약」제2조 = 297
3. 「협정」 = 299
4. 한일 간 과거청산의 현상(現狀) = 307
5. 무엇이 요구되고 있는가? = 310
냉전체제와 한일관계 / 기미야 타다시 = 313
1. 머리말 = 313
2. 냉전 초기의 한일관계: 한일관계의 초기 조건 = 316
3. 한일 국교정상화 교섭의 정치과정: 청구권 문제를 중심으로 = 323
4. 한일 국교정상화 교섭의 귀결 = 330
5. 그 후의 '냉전체제와 한일관계' = 332
일제 강점하 강제동원 한국인 피해자들의 권리구제 현황과 쟁점 / 최봉태 = 337
1. 머리말 = 337
2. 한일수교회담 문서의 공개와 한국 정부의 움직임 = 338
3. 문서 공개 후 피해자들의 움직임 = 344
4. 일본의 주목할 만한 최근 동향 = 347
5. 향후 쟁점에 대하여 = 350
6. 맺음말 = 353
총체적인 한일관계의 경영을 위하여 / 공로명 = 359
1. 당위와 현실의 괴리 속에서 = 359
2. 역사적 사실 인식의 결여 = 360
3. '다케시마 일건'(1696년)과 태정관 지령(1877년) = 361
4. 에도막부의 도항금지 조치 = 363
5. '다케시마' 명칭 혼용 문제 = 364
6. 《은주시청합기》문제 = 364
7. 독도 문제의 해결방안은 무엇인가? = 366
8. 장기적 과제로 관리되어야 한다 = 367
9. 일본은 우리에게 어떤 나라인가? = 368
10. 요구되는 정치 지도력 = 370
부록: 한국과 일본의 역사인식 연표 = 372
찾아보기 = 419
약력 = 433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