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서문 ... 005
Ⅰ서론
퇴계의 이와 한·중 유학사의 해석 ... 013
이 책의 구성과 자료선별의 문제에 대하여 ... 032
Ⅱ16세기 유학사의 과제와 퇴계의 문제의식
주자학의 이원론과 명초 주자학 비판 ... 043
조선 유학의 전개와 퇴계의 문제 의식 ... 071
보론│"주자학의 심학화" 가설에 대한 재검토 : 주륙이동의 문제와 주륙화회론...
목차 전체
서문 ... 005
Ⅰ서론
퇴계의 이와 한·중 유학사의 해석 ... 013
이 책의 구성과 자료선별의 문제에 대하여 ... 032
Ⅱ16세기 유학사의 과제와 퇴계의 문제의식
주자학의 이원론과 명초 주자학 비판 ... 043
조선 유학의 전개와 퇴계의 문제 의식 ... 071
보론│"주자학의 심학화" 가설에 대한 재검토 : 주륙이동의 문제와 주륙화회론의 허구성 ... 100
Ⅲ이 의 동정과 심통성정
태극의 동정과 체용 ... 167
이기호발과 사칠논변 ... 234
심합이기와 성정의 회통 ... 266
Ⅳ본원의 함양과 인극의 확립
경과 본원의 함양 ... 295
격물치지와 이도설 ... 335
인극의 확립과 존체응용 ... 368
보론│퇴계의 지행병진과 존체응용의 리더십 ... 398
Ⅴ퇴계의 이 철학과 이단변척
나흠순의 이기비이물론에 대한 비판 ... 439
왕양명의 지행합일설에 대한 비판 ... 472
율곡의 호발론 비판가 남은 과제 ... 514
Ⅵ결론
퇴계 철학의 사상사적 의의와 영향 ... 547
참고문헌 ... 561
찾아보기 ... 567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