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서문 = 3
1부 고대시가에서 고려가요까지
〈황조가〉연구 현황 검토 = 13
황조가 신고찰 = 25
1. 서 = 25
2. 역사문맥과 설화문맥 = 27
3. 화희치희설화와 계절제의 = 36
4. 황조가의 의의 = 44
5. 결 = 51
혜성가ㆍ도솔가의 일원론적 세계관과 민심의 조화 = 53
1. 서 = 53
2. 혜성의 ...
목차 전체
목차
서문 = 3
1부 고대시가에서 고려가요까지
〈황조가〉연구 현황 검토 = 13
황조가 신고찰 = 25
1. 서 = 25
2. 역사문맥과 설화문맥 = 27
3. 화희치희설화와 계절제의 = 36
4. 황조가의 의의 = 44
5. 결 = 51
혜성가ㆍ도솔가의 일원론적 세계관과 민심의 조화 = 53
1. 서 = 53
2. 혜성의 변괴를 해결한 노래 = 55
3. 두 해의 변괴를 해결한 사연 = 60
4. 노래와 민심의 조화 = 67
5. 결 = 69
고려 처용가와 무가의 주술성 비교 = 73
1. 서 = 73
2. 신라 처용가와 고려 처용가 = 74
3. 고려처용가와 무가의 주술성 비교 = 82
4. 고려 처용가의 주술성과 문학성 = 97
5. 결 = 99
정석가의 표현미와 시간의식 = 101
1. 서 = 101
2. 사룡과의 관계 = 102
3. 중국 악부와의 관계 = 106
4. 표상성의 변모 = 110
5. 시간의식 = 116
6. 결 = 121
〈청산별곡〉연구 현황 검토 = 125
청산별곡의 당대성과 현재성 = 137
1. 시 = 137
2. 청산별곡의 새로운 해석 = 139
3. 청산의 변용, 시조와 현대시 = 154
4. 결 = 163
한림별곡과 조선조 경기체가의 향방 = 165
1. 시 = 165
2. 경기체가에 드러나는〈한림별곡〉의 빛과 그늘 = 167
3. 조선 전기의 주도적 장르로서의 경기체가 = 176
4. 도락적ㆍ유락적 미의식의 지속과 변이 = 186
5. 결 = 194
2부 조선조 시가
고전시가 교육의 방향과 과제 = 199
1. 고전문학사 개관 = 199
2. 고대시가론 = 208
3. 향가론 = 218
4. 속요론 = 228
5. 시조ㆍ가사론 = 237
6. 결 = 245
송강 시조의 미의식 = 247
1. 송강의 품성 = 247
2. 송강과 술 - 호방(豪放)과 처완(悽ce) = 251
3. 청고(淸高)와 결백(潔白) = 261
4. 결 = 266
가사를 통해 본 중국과 일본 = 269
1. 서 = 269
2. 조선의 대외관 = 275
3. 도시와 문물 = 281
4. 풍속과 풍경 = 289
5. 사행의 음식 = 292
6. 결 = 298
3부 시가와 예악
고전시가와 예악사상 = 307
1. 서 = 307
2. 예(禮)와 악(樂) = 310
3. 고려말의 속악과 조선초의 속악 = 316
4. 속요 비판의 이유와 지속의 의의 = 325
5. 결 = 331
조선조 예악과 근대 수용 = 333
1. 서 = 333
2. 예악사상 = 335
3. 악과 도량형 = 339
4. 악과 자연관 = 344
5. 조선조의 악 = 349
6. 예악의 근대 수용 = 355
참고문헌 = 366
찾아보기 = 380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