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머리에 ... 5
제1부 한중록과 혜경궁 홍씨
1장 한중록은 어떤 작품인가
1.한중록은 10년 동안 네 번 쓴 작품을 모은 것이다 ... 18
1) 61세에 친정 조카에게 보이기 위해 처음 붓을 들다 ... 19
2) 67세에 아들(정조)의 죽음으로 다시 붓을 들다 ... 20
3) 68세에 손자(순조)에게 친정의 억울함을 알리기 위하여 또 ...
목차 전체
책머리에 ... 5
제1부 한중록과 혜경궁 홍씨
1장 한중록은 어떤 작품인가
1.한중록은 10년 동안 네 번 쓴 작품을 모은 것이다 ... 18
1) 61세에 친정 조카에게 보이기 위해 처음 붓을 들다 ... 19
2) 67세에 아들(정조)의 죽음으로 다시 붓을 들다 ... 20
3) 68세에 손자(순조)에게 친정의 억울함을 알리기 위하여 또 다시 붓을 들다 ... 22
4) 임오화변의 원인과 사건의 진실을 순조에게 알리기 위하여 붓을 들다 ... 23
2.한중록의 제목은 작자가 붙인 것이 아니다 ... 25
3.한중록은 수필 양식으로 서술한 궁중실기문학宮中實記文學이다 ... 27
4. 한국문학사에서 한중록의 위상 ... 29
1) 여성의 삶과 문학을 조명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다 ... 29
2) 중요한 역사적 사건에서 이면의 진실을 알 수 있게 한다 ... 30
3) 조선조 궁중문화 연구의 귀중한 자료가 된다 ... 31
4) 우아하고 다양한 계층의 궁중어를 알 수 있다 ... 31
5) 궁중과 관련? 문화사업의 콘텐츠를 제공한다 ... 31
2장 한중록의 작자 혜경궁 홍씨
1. 혜경궁 홍씨의 출생담 ... 33
2. 정명공주 후손으로서의 자긍심 ... 34
3. 세자빈으로 간택되다 ... 50
1) 간택단자를 하다 ... 50
2) 초간택 ... 54
3) 재간택 ... 56
4) 삼간택 ... 60
5) 별궁에서 왕세자빈 수업을 받다 ... 63
4. 세자와 가례嘉禮를 행하다 ... 65
5. 궁궐 생활이 시작되다 ... 73
6. 기사년(영조 25년, 1749)에 관례와 합례를 하고 세자의 대리정사가 시작되다 ... 75
1) 1월 22일에 관례를 하다 ... 76
2) 세자의 대리청정이 시작되다 ... 76
3) 1월 27일에 합례를 하다 ... 78
7. 2남 2녀를 생산하다 ... 78
1) 첫아들 의소의 출산과 죽음 ... 78
2) 둘째 아들 정조 탄생 ... 83
3) 청연과 청선 두 딸을 낳다 ... 85
8. 혜경궁 홍씨의 한限 ... 86
1) 임오화변의 한 ... 86
2) 갑신처분의 한 ... 91
3) 친정집안의 몰락 ... 93
제2부 혜경궁 홍씨의 직계가족直系家族
3장 소천所天 사도세자
1. 탄생 시에 예견된 비극 ... 125
1) 석복의 아쉬움 ... 130
2) 교육의 중요성 ... 132
3) 당론의 폐습 ... 138
4) 여인들의 불협화음 ... 141
2. 갈등의 원인과 그 증세 ... 144
1) 기사년의 대리정사 ... 144
2) 사랑하는 여인을 때려서 죽인 의대증 ... 149
3) 임오화변의 비극 ... 155
4장 정신적 지주인 아들 정조正祖
1. 원손元孫 탄생의 기쁨 ... 165
2. 관례와 가례 ... 168
3. 을미년乙未年에 대리정사代理政事를 하다 ... 173
4. 조선조 22대 왕이 되다 ... 179
5. 아버지의 묘를 수원으로 옮기다 ... 181
6. 갑작스러운 죽음 ... 188
5장 두 딸 청연군주淸衍郡主와 청선군주淸璿郡主
1. 청연군주 ... 200
2. 청선군주 ... 205
제3부 혜경궁 홍씨의 시가媤家
6장 남편을 뒤주에 가두어 죽인 시부媤父 영조
1. 어머니는 무수리였었나 ... 215
2. 극단에 치우친 이상성격 ... 227
7장 세 분의 시어머니姆母
1. 정성왕후貞聖王后 ... 237
2. 정순왕후貞順王后 ... 241
1) 정순왕후의 가계 ... 241
2) 66세 신랑과 15세 신부 ... 244
3) 소녀 시어머니와의 갈등 ... 248
4) 수렴청정과 신유사옥 ... 250
3. 사도세자 생모 영빈 이씨暎嬪李氏 ... 253
1) 어머니의 신분이 부자 갈등의 한 요소가 되다 ... 257
2) 아들을 '죽이라'고 말해야 했던 어머니 ... 261
3) '내 묘에는 풀도 나지 않으리라' ... 268
8장 시누이 화평옹주와 화완옹주
1. 화평옹주和平翁主 ... 273
2. 화완옹주和緩翁主 정처鄭妻 ... 281
1) 남편과 딸을 잃다 ... 283
2) 권세욕과 시샘이 많은 옹주 ... 284
3) 기축년 외입사건 ... 291
4) 작위가 박탈되어 정처로 불리다 ... 294
참고문헌 ... 298
찾아보기 ... 300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