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서남동양학술총서 간행사|21세기에 다시 쓴 간행사 = 4
책머리에|베트남문학 연구의 중간 결산 = 6
제1장 베트남문학의 전반적 특징 = 15
1. 베트남문학의 범위와 영역 = 17
2. 베트남문학의 역사적 전개 = 22
3. 한문학 = 40
1) 민족문학적 성격 = 40
2) 창작과 비평의 관계 = 41
3) 중국문학과...
목차 전체
목차
서남동양학술총서 간행사|21세기에 다시 쓴 간행사 = 4
책머리에|베트남문학 연구의 중간 결산 = 6
제1장 베트남문학의 전반적 특징 = 15
1. 베트남문학의 범위와 영역 = 17
2. 베트남문학의 역사적 전개 = 22
3. 한문학 = 40
1) 민족문학적 성격 = 40
2) 창작과 비평의 관계 = 41
3) 중국문학과의 연동성 = 43
4. 쯔놈문학 = 47
1) 문자의 어려움 = 47
2) 운문의 우세 = 51
3) 번역의 양상 = 55
5. 문학 갈래 = 58
6. 표현과 미의식 = 60
제2장 구비문학 = 65
1. 구비문학의 분류 = 67
2. 이야기 = 71
1) 신화 = 71
(1) 창세신화 = 71
(2) 건국신화 = 76
2) 전설 = 80
3) 고전적 = 84
3. 노래 = 92
4. 연행 = 97
1) 째오 = 97
(1) 기원과 발전 = 98
(2) 공연방식 = 101
(3) 관객 = 105
(4) 작품 내용 = 107
(5) 연극미학적 특징 = 115
2) 인형극 = 121
(1) 역사 = 121
(2) 수상인형극 = 123
(3) 육상인형극 = 130
(4) 베트남 인형극의 특징 = 133
제3장 한문학 = 135
1. 한시 = 137
1) 불가(佛家) 한시 = 137
2) 정통한시의 정착과 발전 = 150
(1) 자주적 기상의 한시 = 150
(2) 사대부 한시의 방향설정 = 155
(3) 완채(阮^?)의 시대 = 166
(4) 관각문학과 그 주변 = 174
3) 사대부의 분화와 한시의 다변화 = 183
(1) 시대적 배경 = 183
(2) 영사시(詠史詩)와 사행시(使行詩)의 흥기 = 186
(3) 완병겸(阮秉謙)과 그의 문하(門下) = 191
(4) 은거자의 목소리 = 198
(5) 남쪽 변방의 이취(異趣) = 200
4) 한시의 혁신과 방향전환 = 203
(1) 민중의 고난과 고통 = 203
(2) 사대부 남성이 그린 여성의 삶 = 214
(3) 완유(阮攸)의 고음(苦吟) = 217
(4)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 225
(5) 고향의 시인 완권 = 239
5) 투쟁과 계몽의 외침 = 244
2. 한문산문 = 258
1) 형성기의 한문산문 = 258
2) 자주적 기상의 한문산문 = 265
3) 철학 글쓰기 = 278
(1) 불가(佛家)의 철학 글쓰기 = 279
(2) 유가(儒家)의 철학 글쓰기 = 288
(3) 유불일치론자의 철학 글쓰기 = 293
4) 역사서술 = 298
5) 한문산문의 비판정신 = 309
6) 문학론의 면모 = 316
7) 설화, 소설, 잡기(雜記)의 세계 = 329
(1) 설화 = 329
(2) 소설 = 336
(3) 잡기 = 351
제4장 쯔놈문학 = 357
1. 베트남어의 특징과 표기 = 359
1) 베트남어의 특징 = 359
2) 베트남어의 표기 = 361
2. 쯔놈시가의 형식과 운율 = 365
1) 당률쯔놈시 = 366
2) 6ㆍ8체시 = 368
3) 7ㆍ7ㆍ6ㆍ8체시 = 373
4) 핫 노이(h?t n?i) = 375
3. 쯔놈시문의 양상 = 379
1) 쯔놈시문의 초기 모습 = 379
2) 당률쯔놈시의 작가와 작품 = 387
(1) 완채(阮^?) = 387
(2) 홍덕소단(洪德騷壇) = 397
(3) 완병겸(阮秉謙) = 405
(4) 호춘향(胡春香) = 411
(5) 완씨형(阮氏馨) = 425
(6) 완공저(阮公著) = 428
(7) 완권(阮勸) = 431
(8) 진제창(陳濟昌) = 434
3) 부(賦)ㆍ변문(騈文) = 440
(1) 부 = 440
(2) 변문 = 441
4) 음곡(吟曲) = 443
(1)『정부음곡』 = 444
(2)『궁원음곡』 = 446
5) 연가(演歌) = 449
6) 시전(詩傳): 소설 = 452
(1)『소경신장』 = 458
(2)『육운선』 = 461
(3)『범재옥화』『송진국화』『석생』『방화』 = 467
(4)『취교전(翠翹傳)』 = 470
ⅰ) 형성과정 = 471
ⅱ) 내용 = 473
ⅲ) 형식, 표현상의 특징 = 484
ⅳ) 주제 = 489
ⅴ) 작품의 다면적 성격과 수용양상 = 493
ⅵ) 비판적 논의 = 496
ⅶ) 비교연구의 과제 = 498
7) 핫 노이 = 500
8) 뚜옹 = 504
(1) 기원과 발전 = 504
(2) 공연방식 = 505
(3) 관객, 작가 = 506
(4) 작품 내용 = 507
(5) 연극미학적 특징 = 513
(6) 시대적 성격 = 516
(7) 째오와 뚜옹 = 518
제5장 국어문학 = 521
1. 근대문학의 형성 배경 = 523
1) 국어와 국어문학의 태동 = 523
2) 저널리즘과 근대적 글쓰기 = 526
2. 근대시 = 533
1) 구시(舊詩)의 지속과 변모 = 536
(1) 동경의숙(東京義塾)의 시 = 536
(2) 구시 계열의 시인들 = 539
(3) 딴 다의 공헌 = 541
2) 신시의 등장 = 548
(1)「옛사랑」이 불러일으킨 반향 = 548
(2) 프랑스 시의 영향 = 554
(3) 신시의 위상 = 560
3) 신시의 면모 = 561
(1) 낭만주의 계열의 시 = 562
(2) 현실비판 계열의 시 = 577
(3) 공산혁명 계열의 시 = 581
3. 근대소설 = 588
1)『또 떰』의 출현 = 588
2) 낭만주의 계열의 소설 = 598
3) 현실비판 계열의 소설 = 609
4. 근대연극 = 621
1) 개량극 = 622
2) 대화극 = 625
베트남사 연표 = 630
참고문헌 = 634
찾아보기ㆍ인명 = 652
찾아보기ㆍ책명 = 662
찾아보기ㆍ용어 = 679
베트남 지도 = 686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