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 3
제1장 후발 공업화와 기능공의 하향적 형성 - 권위적 작업장과 실리적 조합주의 / 이종구 = 17
1. 시각과 자료 = 17
2. 수입 설비와 기술작 우위의 작업장 질서 = 25
3. 빈곤의 만연과 실리적 노동자 = 48
4. 새로운 노동자와 새로운 질서의 형성 = 70
제2장 1950년대 숙련노동의 형성 - 대한양회 문...
목차 전체
머리말 = 3
제1장 후발 공업화와 기능공의 하향적 형성 - 권위적 작업장과 실리적 조합주의 / 이종구 = 17
1. 시각과 자료 = 17
2. 수입 설비와 기술작 우위의 작업장 질서 = 25
3. 빈곤의 만연과 실리적 노동자 = 48
4. 새로운 노동자와 새로운 질서의 형성 = 70
제2장 1950년대 숙련노동의 형성 - 대한양회 문경시멘트 공장과 제일모직을 중심으로 / 박준엽 = 75
1. 머리말 = 75
2. 1950년대 산업구조의 형성과 노동 인력 육성 = 77
3. 두 회사의 설립 배경과 생산 공정 = 85
4. 노무관리와 숙련 형성 = 91
5. 맺음말 = 114
제3장 광산 공동체 노동자의 일상과 경험 - 1950년대 광산 노동자를 중심으로/ 김원 = 119
1. 연구 목적과 구성 = 119
2. 광산 노동자들의 의식구조 = 123
3. 광산 공동체의 문화 = 136
4. 광산 공동체의 특성: 사택을 중심으로 = 151
5. 남은 이야기들: 죽음과 소외의 공포 속에서 = 158
제4장 전시 노무동원과 그 유산 - 고용관계 중심으로 / 신원철 = 166
1. 머리말 = 166
2. 전시동원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 = 169
3. 식민지 시기의 전시동원과 노무관리 = 178
4. 한국전쟁기의 전시동원과 고용관계 = 185
5. 맺음말: 요약 및 논의 = 199
제5장 1950년대 철도노조의 조직과 활동 - 파벌 투쟁 및 정부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김준 = 207
1. 기존 연구 검토와 문제 제기 = 207
2. 철도노조의 조직과 조합 내부 민주주의 = 213
3. 철도노조의 활동 = 235
4. 1950년대 한국의 노동조합과 정부의 관계 = 241
제6장 1950년대 한국의 노동운동에서 대안적 전통 / 김경일 = 246
1. 문제 제기 = 246
2. 연구의 방법과 대상 = 252
3. 대구 대한방직 노동쟁의와 전국노동조합협의회 = 257
4. 제일모직 노동쟁의 = 263
5. 두 개의 길 = 281
6. 대구시노동조합연맹의 결성과 이후의 운동 = 288
7. 맺음말 = 293
제7장 1950년대 '직업여성'에 대한 사회 담론과 실제 - 전쟁미망인의 일과 생애를 중심으로 / 김현선 = 299
1. 머리말: 1950년대와 여성의 일 = 299
2. 여성의 직업과 사회적 인식 = 304
3. 전쟁미망인의 경제활동 유형과 실상 = 318
4. 여성의 일, 생애, 자기 인식: 담론과 현실 사이 = 336
5. 맺음말 = 340
제8장 1950년대 여성 노동자와 '공장 노동'의 사회적 의미 - 광주 전남방직 구술 사례를 중심으로 / 이희영 = 345
1. 문제 제기 = 345
2. 기존 연구 검토와 연구 방법론 = 347
3. 1950년대 제조업 분야의 여성 노동 현황과 전남방직 = 352
4. 연구 과정 및 사례의 재구성 = 359
5. 마무리 = 389
제9장 1950년대 한국에서 여성과 국가 - 전쟁사별여성에 대한 국가 관리를 중심으로 / 김순영 = 395
1. 머리말 = 395
2. 선행 연구 검토 = 398
3. 1950년대 한국 여성의 상황 = 403
4. 전쟁사별여성의 상황과 대응 전략 = 410
5. 전쟁사별여성에 대한 국가 관리 = 416
6. 맺음말 = 424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