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장 정치와 정치학
제1절 인간의 정치생활과 정치개념 = 17
1. 정치화시대 = 17
2. 인간 본성의 다면성 = 17
3. 정치사회의 담론 = 20
4. 정치개념의 다의성과 분류 = 22
5. 정치의 개념정의 = 27
제2절 정치학의 연구방법과 이론 = 30
1. 정치현상의 ...
목차 전체
제1장 정치와 정치학
제1절 인간의 정치생활과 정치개념 = 17
1. 정치화시대 = 17
2. 인간 본성의 다면성 = 17
3. 정치사회의 담론 = 20
4. 정치개념의 다의성과 분류 = 22
5. 정치의 개념정의 = 27
제2절 정치학의 연구방법과 이론 = 30
1. 정치현상의 연구와 정치학 = 30
2. 정치학의 연구방법 = 32
3. 정치학의 이론 = 45
4. 현대 정치학연구의 새로운 방향 = 52
제2장 정치사상의 흐름과 현대 한국정치사
제1절 도시국가와 정치사상 = 59
1. 도시국가의 상황과 정치제도 = 59
2. 정치사상 = 61
제2절 헬레니즘과 로마의 정치사상 = 65
1. 헬레지늠 문화와 로마의 정치제도 = 65
2. 에피쿠로스학파와 스토아학파 = 67
제3절 중세의 정치제도와 사상 = 69
1. 봉건제도와 가톨릭 = 69
2. 교부철학과 스콜라철학 = 72
제4절 절대주의와 군주국가론 = 75
1. 정치적 상황 = 75
2. 마키아벨리의 군주론 = 77
제5절 근대 자유주의의 제 이론 = 79
1. 홉스ㆍ로크ㆍ루소의 사회계약론 = 79
2. 영국의 자유주의 이론 = 85
제6절 민주주의 = 90
1. 민주주의 개념 = 90
2. 민주주의 기본이념 = 94
제7절 사회주의 = 101
1. 근대 사회주의의 대두 = 102
2. 초기 사회주의자들의 이론 = 104
3. 마르크스의 이론 = 111
4. 사회민주주의 이론 = 116
제8절 마르크스와 베버의 비교 = 118
1. 마르크스와 베버 = 118
2. 베버의 자본주의와 국가 = 120
제9절 한국의 현대정치사 = 123
1. 분단과 반공이데올로기 = 124
2. 군부 권위주의 정권 = 125
3. 민주화의 좌절 = 127
4. 과도기와 민주주의 = 129
제3장 정치권력과 정치적 리더십
제1절 권력과 정치 = 135
제2절 정치권력의 본질 = 137
1. 정치권력의 다양성 = 137
2. 권력의 실체개념과 관계개념 = 139
3. 권력, 영향력, 권위 = 142
4. 정치권력의 특징 = 145
5. 정치권력의 조직화와 공공성 = 148
제3절 정치권력의 발동 = 150
1. 지배-복종의 관계 = 150
2. 지배의 제 수단 = 152
3. 권력의 미란다와 크레덴다 = 157
제4절 정치권력의 정통성 = 161
1. 정통성의 개념 = 161
3. 정통성의 유형 = 163
3. 정치권력의 정통성에 관한 몇 가지 문제점 = 166
제5절 정치권력에 관한 제 이론 = 167
1. 엘리트이론의 선구자들 = 168
2. 최근의 엘리트이론 = 173
3. 엘리트론과 다원론의 논쟁 = 175
4. 다원주의 논의 = 178
제6절 국가에 관한 제 이론 = 180
1. 국가의 본질 = 180
2. 다원주의 국가론 = 182
3. 계급주의 국가이론 = 183
4. 조합주의 이론 = 187
5. 관료적 권위주의 국가론 = 189
제7절 정치적 리더십 = 190
1. 정치적 리더십의 개념 = 190
2. 정치적 리더의 자질 = 192
3. 리더십의 유형 = 195
4. 현대에 있어서의 리더십의 문제 = 201
제4장 정치의식, 정치문화, 정치사회화
제1절 정치의식 = 205
1. 정치의식의 개념 = 205
2. 정치의식의 유형 = 207
3. 한국인의 정치의식 = 222
4. 정치적 무관심 = 228
제2절 정치문화 = 236
1. 문화와 정치생활 = 236
2. 정치문화의 개념 = 238
3. 정치문화의 기본요소 = 240
4. 정치문화의 유형 = 244
5. 정치문화와 정치발전 = 247
제3절 정치사회화 = 250
1. 정치생활과 정치사회화 = 250
2. 정치사회화의 개념 = 251
3. 정치사회화의 연구경향 = 254
4. 정치사회화의 매체 = 255
제5장 정당과 이익집단 - NGO
제1절 정치과정으로 보는 정치 = 269
1. 정치과정론의 필요성 = 269
2. 정치과정의 개념 = 271
제2절 정당 = 272
1. 정당의 필요성 = 272
2. 정당의 개념 = 273
3. 정당의 기능 = 274
4. 정당의 역기능 = 277
5. 정당의 종류 = 278
6. 정당제도의 유형 = 280
7. 정당의 정치자금 = 284
8. 정당발전과 탈정치화 현상 = 285
제3절 이익집단과 NGO = 287
1. 이익집단 = 288
2. 한국의 이익집단 = 300
3. NGO = 300
제6장 정치제도와 의회ㆍ선거ㆍ지방정치
제1절 정치제도 = 309
1. 국가권력 행사의 민주적 정당성 = 309
2. 국가권력 행사의 절차적 정당성 = 310
3. 정치적인 권력통제의 매커니즘 = 311
4. 국가권력기관의 구성원리 = 311
5. 정부형태 = 314
제2절 의회 = 317
1. 의회정치의 본질 = 317
2. 우리나라 의회정치의 현실 = 318
3. 의회정치의 한계와 대응책 = 320
제3절 선거 = 325
1. 선거의 의의 = 325
2. 선거방법 = 326
3. 선거구 제도 = 331
4. 투표행태론 = 334
제4절 지방정치 = 337
1. 지방자치와 지방정치 = 337
2. 지방정치의 촉진과 계약 = 340
3. 지방정치와 정당관계 = 345
4. 지방정치의 역량강화를 위한 협의체 활용 = 351
5. 중앙과 지방의 정치를 살리는 지방정치 활성화 = 353
제7장 정보화와 전자민주주의
제1절 정보화와 전자민주주의 발전 = 359
1. 정보화와 정치지평의 재편성 = 359
2. 전자민주주의 개념과 성격 = 362
제2절 전자민주주의의 이상 = 366
1. 대의민주주의 보완을 위한 전자민주주의 = 366
2. 정치참여 확대와 제도개선 = 369
3. 전자정부의 추진과 과제 = 371
제3절 전자민주주의와 사이버 정치 = 374
1. 사이버공간과 인터넷의 기본성격 = 374
2. 전자민주주의의 정치적 순기능과 역기능 = 378
제4절 인터넷의 정치적 영향 = 380
1. 인터넷과 권력관계의 변화 = 381
2. 인터넷의 정치적 활용 = 383
3. 지방자치 발전의 견인차 역할 = 385
제5절 전자민주주의의 한계와 과제 = 387
1. 인터넷의 한계 = 387
2. 전자민주주의의 과제 = 389
제8장 사회변동과 정치발전
제1절 혁명과 정치변동 = 393
1. 혁명과 쿠데타 = 393
2. 혁명의 종류와 발생원인 = 395
3. 혁명의 결과와 평가 = 397
제2절 정치발전 연구의 배경 = 398
제3절 근대화와 정치발전 = 400
1. 근대화론 = 400
2. 정치발전이론 = 405
3. 근대화론과 기능주의 정치발전론 평가 = 406
제4절 변증법적 정치발전이론: 발전과 쇠퇴 = 408
1. 헌팅턴의 정치발전이론 = 409
2. 파이의 정치발전이론 = 412
3. 정치발전의 위기 = 417
4. 변증법적 정치발전이론의 적용과 평가 = 421
제5절 정치발전의 새로운 문제: 제3세계적 시각 = 422
1. 발전이론의 쇠퇴 = 422
2. 제3세계 발전연구에 있어서 종속이론 = 423
3. 종속의 새로운 유형: 종속적 발전론 = 428
4. 제3세계 발전의 분석과 방향 = 430
제9장 환경정치와 환경정책
제1절 인간에 의한 환경위기 = 435
1. 인구의 증가 = 436
2. 산업화와 에너지 문제 = 438
3. 도시의 집중화 = 441
제2절 환경과 사회가치의 변화 = 443
1. 환경문제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 = 443
2. 환경주의에서 생태중심주의로 = 444
3. 가능한 대안의 논리 = 446
제3절 환경정치 = 448
1. 정치사회화 내용으로서의 환경문제 = 449
2. 환경정치에서 환경정책으로 = 451
3. 환경운동과 녹색정치 = 453
4. 국제환경정치 = 454
제4절 환경정책 = 456
1. 환경문제와 정부 = 456
2. 환경정책의 유형 = 458
3. 환경규제의 비용 - 편익분석 = 460
4. 환경문제의 분권화 = 462
제5절 환경정치의 행위자 = 464
1. 국내 환경문제의 행위자 = 464
2. 국제 환경정치의 행위자 = 470
제10장 국제정치론
제1절 국내정치와 국제정치 = 479
1. 국내정치와 국제정치의 상이점 = 481
2. 국내정치와 국제정치의 유사성 = 481
제2절 국제정치에 관한 제 이론 = 483
1. 국제정치의 단위 = 483
2. 국제정치 연구의 주요 요소 = 484
3. 국제정치학의 이론과 주요 접근방법 = 485
4. 현대 국제정치학의 주요 이론 = 487
제3절 국제정치에서 국력과 권력이론 = 502
1. 국력 = 503
2. 국제정치의 권력이론 = 511
제4절 국제기구 = 525
1. 국제기구의 의의 = 525
2. 국제연맹 = 526
3. 국제연합 = 528
제5절 국제정치의 흐름과 21세기 국제정치 = 533
1. 냉전에서 탈냉전으로 = 533
2. 21세기의 국제정치 = 537
찾아보기(인명) = 541
찾아보기(사항) = 547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