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머리말 = 5
1. 서론 = 11
1.1. 문제 제기 = 11
1.2. 연구사 검토 = 15
1.3. 연구 대상과 방법 = 18
2. 작품별로 살펴본 판본 변이 양상과 선후 관계 = 23
2.1. 구운몽 = 25
2.2. 금방울전(금령전) = 38
2.3. 금향정기 = 47
2.4. 남정팔난기 = 50
2.5. 당태종전 = 63
2.6...
목차 전체
목차
머리말 = 5
1. 서론 = 11
1.1. 문제 제기 = 11
1.2. 연구사 검토 = 15
1.3. 연구 대상과 방법 = 18
2. 작품별로 살펴본 판본 변이 양상과 선후 관계 = 23
2.1. 구운몽 = 25
2.2. 금방울전(금령전) = 38
2.3. 금향정기 = 47
2.4. 남정팔난기 = 50
2.5. 당태종전 = 63
2.6. 백학선전 = 69
2.7. 사씨남정기 = 79
2.8. 삼국지 = 87
2.9. 삼설기·금수전·토생전 = 107
2.10. 설인귀전 = 120
2.11. 소대성전 = 123
2.12. 숙영낭자전 = 149
2.13. 숙향전 = 155
2.14. 심청전 = 162
2.15. 쌍주기연 = 175
2.17. 양풍전 = 193
2.17. 용문전 = 206
2.18. 월봉기 = 221
2.19. 임장군전 = 228
2.20. 임진록 = 258
2.21. 장경전 = 266
2.22. 장풍운전 = 275
2.23. 장화홍년전 = 288
2.24. 전운치전 = 298
2.25. 정수정전 = 304
2.26. 제마무전 = 310
2.27. 조웅전 = 323
2.28. 진대방전 = 337
2.29. 춘향전 = 351
2.30. 홍길동전 = 373
2.31. 황운전 = 401
2.32. 흥부전 = 412
2.33. 남은 판본들 = 416
3. 간기(刊記)를 통해 본 방각소의 활동 시기 = 443
3.1. 출판법 시행 이전의 방각소 = 445
3.2. 출판법 시행 이후의 판권지 = 463
4. 판식을 통해 본 판본의 변이 양상 = 475
4.1. 작품별 판식의 변모 = 477
4.2. 판식 변모의 일반적 양상과 의미 = 506
5. 경판방각소설의 출현과 변모의 의미 = 523
5.1. 경판방각소설 출현의 의미 = 523
5.2. 경판방각소설 변모의 의미 = 536
6. 경판방각소설의 편년 = 549
6.1. 편년 설정의 가능성 = 549
6.2. 편년 설정의 실제 = 551
7. 결론 = 569
참고문헌 = 575
찾아보기 = 593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