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인사 말씀 = 4
제1장 서론 = 13
제2장 무단(巫團)과 무경(巫經) 그리고 질병[S꿩? = 23
1. 무단(巫團)의 두 축(軸) = 24
1) '경사(經師)'와 '무당(巫堂)' = 24
2) '무가(巫歌)'의 일방적 연구 = 30
2. 무경 문화의 역사 = 35
1) '정(經) 읽기' = 35
2) 질병(S꿩?)과 무경의 역사 ...
목차 전체
목차
인사 말씀 = 4
제1장 서론 = 13
제2장 무단(巫團)과 무경(巫經) 그리고 질병[S꿩? = 23
1. 무단(巫團)의 두 축(軸) = 24
1) '경사(經師)'와 '무당(巫堂)' = 24
2) '무가(巫歌)'의 일방적 연구 = 30
2. 무경 문화의 역사 = 35
1) '정(經) 읽기' = 35
2) 질병(S꿩?)과 무경의 역사 = 47
제3장 역대의 무경업 종사자들 = 65
1. 삼국과 남북조 신라시대 = 66
1) 신주승(神呪僧)의 '최사(dg邪)' = 66
2. 고려시대 - 주금업[전시의]과 도사ㆍ여관[소격전] = 69
1) 주금박사와 주금사 = 69
2) 도사(道士)ㆍ여관(女冠)의 소격전과 사관(寺觀) = 72
3. 조선시대 = 80
1) 도류와 소격서 = 80
2) 경사와 경객, 그리고 공맹격(公盲覡)[판수] = 84
3) '선사(禪師)', 국맹격(國盲覡)과 사맹격(私盲覡) = 90
제4장 경문(經文) = 95
1. 개념 = 96
1) 개념 = 98
2) 현황과 종류 = 98
2. 중요 경책과 경문 = 101
1) 박해관(朴海寬)(1800년 후기)『종리경책(宗理經冊)』 = 101
2) 아카마쓰 지조(赤松智城)ㆍ아키바 다카시(秋葉隆)『조선무속(朝鮮巫俗)의 연구(硏究)』(1937) = 105
3) 김혁제(金赫濟),『소재길상 불경보감(消災吉祥 佛經寶鑑)』(1965) = 108
4) 김영진(金榮振),『충청도무가(忠淸道巫歌)』(1976) = 110
5) 이규창(李圭昌),『전라민속론고(全羅民俗論攷)』(1994) = 112
3. 전승과 생성 과정 = 116
1) 전체적인 전승 - '불설조왕경'을 중심으로 = 116
2) 부분적인 전승과 생성 과정 - '부정경'을 중심으로 = 126
제5장 부적ㆍ제응[대수대명]ㆍ신주 = 139
1. 부적(符籍) = 140
1) 개설적인 총론 = 140
2) 고려시대의 '도부(道符)'와 '부적(符籍)' = 145
3) '부신(符信)' 제도 = 149
4) 대장경(1251) '부적'의 등장과 현대 부적 = 154
5) 부적의 실제 = 154
2. 제웅(芻靈, Rhu) = 157
1) 개설적인 총설 = 157
2) 닭[다섯 마리] 대신 황토우(黃土牛) = 159
3) 인일(人日)의 인승(人勝) 풍속 = 160
3. 신주(神呪, Mantra 또는 Dharani) = 161
1) 개설적인 총론 = 161
2) 고려시대 - 팔만대장경(1251)을 중심으로 = 167
3) 조선시대 = 171
제6장 '정[經] 읽기'의 역사 = 177
1. '정[經] 읽기' = 178
1) 기간과 규모 = 179
2) 장소 = 181
3) 주관자 = 183
4) 진설(陳設) 내지는 설위(設位) = 185
5) '안택(安宅)' = 187
6) '설경(說經)'과 '매귀(埋鬼)' = 188
2. 몇 가지 경소(經素) 에 대한 기록 = 195
1) 황토(黃土) 펴기 - 고려 팔관회의 풍속 = 195
2) 금줄과 다북쑥 = 195
3) 부정(不淨)과 제의 = 197
4) 신장대(World Tree) = 200
5) 문두루법(文豆婁法, Mudra) = 201
3. 무경의 역사적 현장 = 203
1) 계음(y??)과 수로왕(首露王) = 203
2) 헌강왕(憲康王)의 제의[RP] = 205
3) 고려시대의 무경 음악 -『시용향악보』를 중심으로 = 207
4. 조선시대의 무경 관련 잡가 = 210
제7장 '가신(家神)'과 '사중팔신(舍中八神)'의 자기 모순적 세계관 = 215
1. '가신(家神)'과 '사중팔신(舍中八神)' = 217
1) '가신'의 초가삼간적 배경 = 217
2) '가신' 이전의 '사중팔신(舍中八神)' 문화 = 221
3) '가신'의 성립 과정 = 227
2. 경책[巫經]에 나타난 신통(神統) = 237
1) 불교의 연경적(軟經的) 신통(神統) - '환희(歡喜)'를 중심으로 = 237
2) 도교의 강경적(强經的) 신통(神統) - '천라지망(天羅地網)'을 중심으로 = 242
3) 유교의 주역적(周易的) 신통(神統) - '변화(變化)'를 중심으로 = 243
3. '가신'의 세계와 과제 = 248
제8장 옥추경, '정[經] 읽기'의 전범 경책 = 251
1. 옥추경의 개관 = 252
2. '송경'의 실제 = 258
1) 설위(設位) 단계 = 258
2) 설경(設經) 단계 = 260
3) 지경(地經)[15가지에서 1가지 선택] 단계 = 267
3. 부적[15장중 1장 선택]의 종류와 제작 = 275
제9장 성조 정[經], 몽골ㆍ인도ㆍ중국과의 통합 문화 = 279
1. 상량문화에서 '성조신'의 성립까지 = 282
1) 원나라에서 유입된 상량 문화 = 282
2) 조선시대까지 '성조'는 '집 짓는다'는 개념 = 289
3) '성조' 즉 대주운(垈主運)과 맞춘 택일(擇日) = 293
2. 소위 '성조신'의 양상 = 295
1) '성조받이'와 '성조풀이'의 분화 = 295
2) 성조신의 본향론 = 299
3. 성조와 결합된 '안택경'의 출현 = 306
1) '집(宅)'에 대한 불안감 = 306
2) 조선 전기 '안택(安宅)'은 '무덤' = 308
3) '안택경'의 등장 = 313
제10장 조왕 정[經], '왕실'에서 '부엌'으로의 추락 = 317
1. 나라의 수호신(七祀) 조(z?)(여름) = 318
1) 고려시대 = 318
2) 조선시대 = 325
2. 액막이의 상징, 조왕(z흖?) = 330
1) 조선시대에 출현한 조왕신 = 330
2) '교년'의 조왕과 '세관교승' = 334
3. 불교 작법의 '조왕청'과 권선서(勸善書)의 '조군(z훰?) = 337
1) 불교 작법의 '조왕청' = 337
2) 권선서(勸善書)『죠군령?9지』 = 342
제11장 불설천지팔양신주정[經], 조선후기 사회의 자화상 = 349
1. 판본의 정립 - '불설팔양신주경'과 '불설천지팔양신주경'은 전혀 다른 경문 = 350
1) 인도의 '팔양경(八陽經)'과 '길상경(吉祥經)' = 350
2) 조선의 '천지팔양경(天地八陽經)' 과 주해본 = 356
2. 번역자와 주석자 = 360
1) 팔양경과 길상경 = 360
2) 천지팔양경 = 362
3. 천지팔양경의 내용 = 364
1) 팔양경과 길상경 = 364
2) 천지팔양경 = 366
4. 주석본 간행의 과정과 왕실 = 370
1) 왕실에의 축원 = 370
2) 시주들의 공덕 = 374
제12장 결론 = 377
참고문헌 = 385
찾아보기 = 395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