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지은이 머리말 = ⅲ
감사의 말 = ⅳ
옮긴이 말 = ⅴ
옮긴이 약력 = ⅴ
1부 소개 = 1
1장 세포란 무엇인가? / Benjamin Lewin = 2
1.1 소개 = 3
1.2 자가복제 구조물로서 탄생된 생명 = 5
1.3 단일구획으로 이루어진 원핵세포 = 6
1.4 원핵생물의 다양한 서식환경 = 7
1.5 ...
목차 전체
지은이 머리말 = ⅲ
감사의 말 = ⅳ
옮긴이 말 = ⅴ
옮긴이 약력 = ⅴ
1부 소개 = 1
1장 세포란 무엇인가? / Benjamin Lewin = 2
1.1 소개 = 3
1.2 자가복제 구조물로서 탄생된 생명 = 5
1.3 단일구획으로 이루어진 원핵세포 = 6
1.4 원핵생물의 다양한 서식환경 = 7
1.5 많은 구획을 가진 진핵세포 = 8
1.6 독특한 환경을 가진 막으로 둘러싸인 구획 = 9
1.7 유전물질을 함유하고 막에 둘러싸인 핵 = 10
1.8 세포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원형질막 = 12
1.9 세포 내의 세포: 세포내공생에서 유래된 이중막 소기관 = 14
1.10 유전물질인 DNA와 다른 형태의 유전정보 = 15
1.11 DNA 회복 기작 = 16
1.12 에너지 공장인 미토콘드리아 = 16
1.13 식물세포의 엽록체 = 17
1.14 소기관 단백질의 특이적인 분포 = 18
1.15 막을 통한 단백질 수송 = 18
1.16 소포체와 골지체를 통한 단백질 수송 = 20
1.17 단백질 접힘 = 21
1.18 세포 모양을 결정하는 세포골격 = 22
1.19 세포 구조물 분포의 중요성 = 23
1.20 미리 정의된 반응을 실행하는 신호전환경로 = 24
1.21 세포의 성장과 분열 = 25
1.22 특수화된 세포를 만들어내는 분화 = 26
2부 막과 수송기작 = 28
2장 이온과 작은 분자의 막 수송 / Stephan E. Lehnart ; Andrew R. Marks = 29
2.1 소개 = 30
2.2 통로와 운반체 = 31
2.3 막 통과에 영향을 주는 이온의 수화 = 33
2.4 전기화학적 기울기와 막전위 = 33
2.5 <TEX>$$K^+$$</TEX> 통로의 구조와 특징 = 35
2.6 <TEX>$$K^+$$</TEX> 통로의 개폐 방식 = 39
2.7 전압의존성 <TEX>$$Na^+$$</TEX> 통로 = 41
2.8 상피성<TEX>$$Na^+$$</TEX> 통로 = 44
2.9 원형질막의<TEX>$$Ca^2+$$</TEX> 통로 = 46
2.10 <TEX>$$Cl^-$$</TEX> 통로 = 49
2.11 아쿠아포린 통로 = 52
2.12 활동전위 = 54
2.13 심장근과 골격근에서 흥분과 수축의 연계 = 56
2.14 단일수송체로서 일부 포도당 수송체 = 59
2.15 동방향수송체 및 역방향수송체 = 61
2.16 많은 수송체 기능에 필수적인 막 사이의 <TEX>$$Na^+$$</TEX> 기울기 = 63
2.17 <TEX>$$Na^+$$</TEX> 수송체의pH 조절 = 65
2.18 세포 내 저장구획으로 <TEX>$$Ca^2+$$</TEX>을 펌프하는<TEX>$$Ca^2+$$</TEX>ATP가수분해효소 = 68
2.19 원형질막의 <TEX>$$Na^+$$</TEX>과<TEX>$$K^+$$</TEX>기울기를 유지하는 <TEX>$$Na^+$$</TEX>/<TEX>$$K^+$$</TEX>ATP 가수분해효소 = 71
2.20 <TEX>$$F_1$$</TEX><TEX>$$F_0$$</TEX>ATP 합성효소 = 73
2.21 세포기질 밖으로 양성자를 수송하는<TEX>$$H^+$$</TEX>ATP 가수분해효 = 74
2.22 전망 = 77
2.23 요약 = 77
2.24 보충: 네른스트 방정식 = 78
2.25 보충: <TEX>$$K^+$$</TEX> 통로의 정류 = 79
2.26 보충: 낭포성 섬유증 = 80
3장 단백질의 막 표적화 / D. Thomas Rutkowski ; Vishwanath R. Lingappa = 87
3.1 소개 = 88
3.2 전좌를 통한 단백질의 분비경로 진입(개관) = 90
3.3 소포체를 표적으로 하는 신호서열 = 91
3.4 신호인지입자(SRP)의 신호서열 인식 = 93
3.5 단백질을 소포체막에 가져가는 SRP와 SRP 수용체와의 상호작용 = 93
3.6 전좌체: 단백질을 통과시키는 수용성 통로 = 95
3.7 대부분 진핵세포의 분비와 막관통 단백질에서 전좌와 번역의 연계 = 98
3.8 번역후 전좌되는 단백질 = 100
3.9 전좌를 구동하는 ATP 가수분해 = 101
3.10 전좌통로를 빠져나와 지질이중층으로 이동하는 막관통단백질 = 103
3.11 막관통단백질의 방향 = 104
3.12 신호펩디다제의 신호서열 절단 = 106
3.13 지질 GPI의 첨가 = 107
3.14 당의 첨가 = 108
3.15 전좌된 단백질의 접힘을 돕는 차페론 = 109
3.16 이황화결합의 형성 = 110
3.17 탄수화물 변형을 인식하는 칼넥신/칼레티귤린 체계 = 112
3.18 복합체로 조립되는 단백질 = 113
3.19 최종적으로 잘못 조립된 단백질의 분해 = 113
3.20 내강에 미접힘 단백질의 쌓임을 방지하는 핵과 소포체의 통신 = 115
3.21 소포체의 주요 인지질 합성 = 118
3.22 소포체에서 소기관의 막으로 지질의 이동 = 120
3.23 지질 조성이 다른 막의 두 소엽 = 121
3.24 소포체의 형태적 및 기능적인 세분화 = 121
3.25 동적 소기관인 소포체 = 124
3.26 다른 소기관에 표적되는 단백질의 신호서열 = 126
3.27 미토콘드리아 외막의 신호서열 인식 = 127
3.28 단백질 유입에 협력하는 미토콘드리아 내외막 복합체 = 128
3.29 2개의 막을 가로지르는 엽록체의 단백질 유입 = 130
3.30 퍼옥시좀의 단백질 유입 = 131
3.31 전망 = 132
3.32 요약 = 133
4장 막 사이의 단백질 수송 / Graham Warren ; Ira Mellman = 138
4.1 소개 = 139
4.2 세포외방출 경로의 개관 = 141
4.3 세포내도입 경로의 개관 = 144
4.4 소낭매개 단백질 수송의 개 = 147
4.5 신호매개 및 대량흐름 단백질 수송의 개념 = 149
4.6 소포체에서 골지체로 COPⅡ 피복소낭의 수송 = 151
4.7 소포체에서 빠져나온 잔류 단백질의 회수 = 153
4.8 골지체에서 소포체로 역행수송을 매개하는 COPⅠ피복소낭 = 154
4.9 골지체 전방수송의 두 모델 = 156
4.10 단백질의 골지체 잔류 = 157
4.11 소낭 표적화를 조절하는 Rab GTP 가수분해효소와 밧줄 단백질 = 158
4.12 표적막에서 소낭의 융합을 매개하는 SNARE 단백질 = 160
4.13 클라트린 피복소낭이 매개하는 세포내도입 = 163
4.14 클라트린과 막관통 화물단백질을 연결하는 어댑터 복합체 = 166
4.15 초기 엔도솜에서 수용체의 재활용과 분해 = 168
4.16 후기 엔도솜으로 초기 엔도솜의 성숙 = 170
4.17 후골지망에서 일어나는 리소솜 단백질의 분류 = 172
4.18 정단막과 기저측면막으로 극성 상피세포의 단백질 수송 = 175
4.19 분비과립의 형성과 분비 = 176
4.20 전망 = 178
4.21 요약 = 179
3부 핵 = 184
5장 핵의 구조와 수송 / Charles N. Cole ; Pamela A. Silver = 185
5.1 소개 = 186
5.2 생명체와 세포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핵의 모습 = 187
5.3 염색체 영역 = 189
5.4 핵의 비막성 소구획 = 190
5.5 일부 공정이 일어나는 핵의 독특한 장소와 구조 = 192
5.6 핵을 감싸고 있는 핵막 = 192
5.7 핵막을 지지하는 핵막판 = 194
5.8 핵과 세포질 사이에 거대분자의 활발한 수송 = 196
5.9 핵공복합체 = 197
5.10 뉴클레오포린으로 만들어지는 핵공복합체 = 200
5.11 핵공을 통한 단백질의 선택적 수송 = 202
5.12 핵으로 단백질을 표적시키는 핵위치신호 = 203
5.13 핵 유입을 매개하는 세포질 핵위치신호 수용체 = 204
5.14 수용체 매개 방식인 핵에서 단백질의 유출 = 206
5.15 핵 수송의 방향을 조절하는 Ran GTP 가수분해효소 = 207
5.16 핵 수송기작의 여러 가지 모델 = 210
5.17 핵 수송의 조절 = 212
5.18 핵에서 다양한 종류의 RNA 유출 = 213
5.19 핵에서 리보솜 소단위의 조립과 유출 = 215
5.20 전용 엑스포틴에 의한 tRNA의 유출 = 216
5.21 RNA-단백질 복합체로서 핵에서 유출되는 전령 RNA = 217
5.22 가공장소에서 NPC로 hnRNP의 이동 = 219
5.23 mRNA 유출에 필요한 인자들 = 219
5.24 유출 후 변형되어 복합체로 조립된 다음에 다시 유입되는 U snRNA = 221
5.25 핵에서 유출되어 세포질에서 가공되는 miRNA 의 전구체 = 222
5.26 전망 = 223
5.27 요약 = 224
6장 염색질과 염색체 / Benjamin Lewin = 229
6.1 소개 = 230
6.2 진정염색질과 이질염색질로 구분되는 염색질 = 231
6.3 염색체의 띠형성 형태 = 232
6.4 지지대에 부착되어 있는 진핵세포 DNA의 고리와 영역 = 234
6.5 간기 기질에 DNA를 부착시키는 특이 서열 = 235
6.6 염색체의 분리에 필수적인 중심절 = 236
6.7 짧은 DNA 서열을 가진 효모 중심절 = 237
6.8 중심절에 결합된 단백질 복합체 = 238
6.9 중심절의 반복성 DNA = 239
6.10 특수 기작으로 복제되는 말단소체 = 239
6.11 말단소체의 염색체 끝 봉합 = 241
6.12 솔염색체 = 242
6.13 다사염색체의 띠 = 243
6.14 다사염색체에서 유전자 발현장소의 확장 = 243
6.15 염색체의 소단위인 뉴클레오솜 = 245
6.16 뉴클레오솜 배열에서 꼬여 있는 DNA = 247
6.17 뉴클레오솜의 공통구조 = 248
6.18 뉴클레오솜 표면에서 달라지는 DNA 구조 = 249
6.19 히스톤 팔량체의 조직화 = 252
6.20 염색질 섬유에서 뉴클레오솜의 경로 = 254
6.21 염색질의 복원과 뉴클레오솜의 조립 = 255
6.22 뉴클레오솜의 배치 = 258
6.23 활성 유전자 부위를 정하는 영역 = 261
6.24 전사중인 유전자의 조직화 = 262
6.25 전사 시 히스톤 팔량체의 위치변경 = 263
6.26 뉴클레오솜의 위치변경과 재조립 = 265
6.27 DNA 분해효소 과민장소의 염색질 구조 변화 = 266
6.28 염색질의 재구성 = 268
6.29 유전적 활성화와 연계된 히스톤 아세틸화 = 271
6.30 핵형성을 통한 이질염색질의 전파 = 274
6.31 히스톤과의 상호작용에 의존하는 이질염색질 = 275
6.32 X-염색체의 전체적인 변화 = 278
6.33 콘덴신의 염색체 응축 = 280
6.34 전망 = 282
6.35 요약 = 283
4부 세포골격 = 288
7장 미세소관 / Lynne Cassimeris = 289
7.1 소개 = 290
7.2 미세소관의 일반적 기능 = 292
7.3 α와 β튜불린의 극성 중합체 = 295
7.4 튜불린 소단위의 조립 = 297
7.5 미세소관의 동적 불안정성 = 298
7.6 GTP튜불린 소단위의 모자 = 300
7.7 미세소관 형성중심(MTOC) = 302
7.8 세포 내 미세소관의 역동성 = 304
7.9 동적 미세소관의 존재 이유 = 307
7.10 미세소관의 안정성 조절단백질 = 310
7.11 모터단백질 = 313
7.12 모터단백질의 작동 방식 = 316
7.13 모터에 화물 적재 = 320
7.14 세포의 비대칭적 조직화 = 321
7.15 미세소관과 액틴 미세섬유 사이의 상호작용 = 325
7.16 섬모와 편모 = 327
7.17 전망 = 331
7.18 요약 = 332
7.19 보충: 튜불린의 GTP 가수분해 = 333
7.20 보충: 광표백 후 형광회복 = 334
7.21 보충: 튜불린 합성과 변형 = 334
7.22 보충: 미세소관 모터단백질의 운동성 검사 = 336
8장 액틴 / Enrique M. De La Cruz ; E. Michael Ostap = 340
8.1 소개 = 341
8.2 액틴 단백질의 일반적인 특성 = 342
8.3 액틴 단량체의 구조 = 342
8.4 극성 중합체인 액틴 미세섬유 = 343
8.5 액틴의 중합과정 = 344
8.6 액틴 소단위의 ATP 가수분해 = 346
8.7 액틴결합 단백질의 개요 = 348
8.8 액틴 단량체결합 단백질의 중합 조절 = 349
8.9 핵형성 단백질 = 350
8.10 모자단백질 = 351
8.11 절단과 탈중합을 조절하는 단백질 = 352
8.12 액틴 교차결합 단백질 = 352
8.13 세포 이동에 관여하는 액틴결합 단백질 = 354
8.14 작은 G단백질의 액틴중합 조절 = 356
8.15 미오신: 액틴의 분자모터 = 357
8.16 미오신의 구조영역 = 359
8.17 미오신의 ATP 가수분해 = 362
8.18 미오신 모터의 반응 특성 = 363
8.19 미오신의 나노미터 걸음걸이와 피코뉴톤 크기의 힘 생성 = 364
8.20 미오신 기능 조절의 다단계 기작 = 364
8.21 근육수축에서 미오신Ⅱ의 기능 = 366
8.22 전망 = 369
8.23 요약 = 370
8.24 보충: 중합체 조립이 힘을 생성하는 방식에 대한 두 가지 모델 = 371
9장 중간미세섬유 / E. Brigitte Lane = 375
9.1 소개 = 376
9.2 중간미세섬유의 구분 = 377
9.3 제Ⅰ형 및 제 Ⅱ 형 케라틴 = 378
9.4 케라틴 돌연변이 = 382
9.5 신경, 근육 및 결합조직의 중간미세섬유 = 383
9.6 라민 중간미세섬유 = 386
9.7 수정체 미세섬유 단백질 = 387
9.8 중간미세섬유 소단위의 단단한 조립 = 388
9.9 중간미세섬유 단백질의 번역후 변형 = 390
9.10 중간미세섬유와 결합하는 단백질 = 391
9.11 중간미세섬유 유전자 = 392
9.12 전망 = 394
9.13 요약 = 395
5부 세포분열, 세포자살 그리고 암 = 398
10장 유사분열 / Conly Rieder = 399
10.1 소개 = 400
10.2 유사분열의 단계 = 403
10.3 방추사의 형성: 일반적인 특징 = 404
10.4 방추사의 형성: 미세소관의 동적 행동과 모터단백질 = 407
10.5 중심체: 미세소관 형성중심 = 409
10.6 중심체의 복제 = 410
10.7 성상체 상호작용과 방추사 형성의 시작 = 412
10.8 방추사의 안정화와 자가조직화 = 414
10.9 중심절 = 416
10.10 동원체의 형성: 전중기의 시작 = 416
10.11 동원체의 미세소관 포착과 안정화 = 418
10.12 동원체 부착 실수의 교정 = 421
10.13 동원체섬유의 수축과 신장: 염색체의 이동 = 422
10.14 염색체를 움직이는 힘 = 424
10.15 회합에 관여하는 견인력 = 425
10.16 회합을 조절하는 힘 = 426
10.17 동원체의 중기/후기 이행의 조절 = 428
10.18 두 단계로 된 후기 = 429
10.19 말기: 유사분열에서 벗어나기 = 431
10.20 세포질분열 = 433
10.21 수축환 형성의 조절 = 435
10.22 수축환의 세포 분할 = 437
10.23 비핵성 소기관의 분리 = 438
10.24 전망 = 439
10.25 요약 = 439
11장 세포주기의 조절 / Srinivas Venkatram ; Kathleen L. Gould ; Susan L. Forsburg = 442
11.1 소개 = 443
11.2 세포주기의 분석방법 = 444
11.3 세포주기의 일치성 = 448
11.4 CDK의 활성주기 = 449
11.5 CDK 사이클린 복합체의 조절 = 451
11.6 세포주기의 탈출과 재진입 = 454
11.7 세포주기 진입의 엄격한 조절 = 455
11.8 DNA 복제와 세포주기 = 457
11.9 유사분열: 여러 키나제의 협동작업 = 460
11.10 유사분열 과정에서 형태적 변화 = 463
11.11 유사분열 염색체의 응축과 분리 = 464
11.12 유사분열에서 벗어나기 = 466
11.13 확인점의 통제 = 468
11.14 DNA 복제와 DNA 손상 확인점 = 470
11.15 방추사 조립 확인점 = 473
11.16 세포주기의 조절 실수와 암 = 476
11.17 전망 = 476
11.18 요약 = 477
12장 세포자살 / Douglas R, Green = 482
12.1 소개 = 483
12.2 카스파제의 세포자살 연출 = 485
12.3 집행자 카스파제와 개시자 카스파제 = 486
12.4 세포자살 단백질의 억제인자(IAP) = 487
12.5 염증반응에 작용하는 카스파제 = 488
12.6 세포자살의 죽음수용체 경로 = 489
12.7 TNFR1의 세포자살 신호전달 = 490
12.8 세포자살의 미토콘드리아 경로 = 492
12.9 Bcl2 집단 단백질의 MOMP와 세포자살 매개 및 조절 = 493
12.10 Bax와 Bak의 MOMP 유도 = 494
12.11 Bax와 Bak의 활성화 조절 = 495
12.12 시토크롬 c의 카스파제 활성화 유도 = 495
12.13 IAP를 억제하는 단백질 = 497
12.14 죽음수용체 경로의 MOMP 촉발 = 497
12.15 MOMP의 카스파제 비의존성 세포죽음 유발 = 498
12.16 미토콘드리아 투과성 전이의 MOMP 유발 = 499
12.17 선충류의 세포자살 = 500
12.18 곤충의 세포자살 = 501
12.19 세포자살 세포의 청소 = 502
12.20 질병에서 세포자살의 역할 = 503
12.21 세포자살 세포의 흔적 = 504
12.22 전망 = 505
12.23 요약 = 505
13장 암 - 원리와 개요 / Robert A. Weinberg = 507
13.1 종양: 1개의 세포에서 유래된 세포 덩어리 = 508
13.2 종양세포의 형태적 특징 = 509
13.3 DNA 손상과 암세포 생성 = 512
13.4 일부 유전자의 돌연변이와 암세포의 생성 = 513
13.5 원발암유전자 = 515
13.6 종양억제인자 = 516
13.7 종양의 복잡한 형성과정 = 518
13.8 세포의 성장과 증식 = 520
13.9 성장 억제와 세포주기에서의 이탈 = 523
13.10 세포주기로의 부적절한 진입 차단 = 525
13.11 DNA 회복 및 유지 유전자의 돌연변이 = 525
13.12 암세포의 불멸성 = 527
13.13 혈관신생의 생명력 공급 = 528
13.14 암세포의 전이 = 529
13.15 전망 = 529
13.15 요약 = 530
6부 세포 통신 = 532
14장 세포 신호전달의 원리 / Melanie H. Cobb ; Elliott M. Ross = 533
14.1 소개 = 534
14.2 주로 화학적인 세포의 신호전달 = 535
14.3 수용체: 자극의 감지와 신호의 생성 = 535
14.4 촉매제와 증폭기인 수용체 = 536
14.5 수용체와 리간드의 결합 = 537
14.6 신호의 분류와 통합 = 538
14.7 신호전달경로: 일종의 생화학적 논리회로 = 540
14.8 지지대: 신호전달의 효율 향상과 공간적인 조직화 = 542
14.9 독립적인 모듈영역: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의 구체화 = 543
14.10 신호전달의 적응성 = 544
14.11 신호전달 단백질: 다중 형태로 발현 = 546
14.12 활성화와 탈활성화 반응의 독립적인 조절 = 548
14.13 알로스테리와 공유변형 = 548
14.14 2차 전령: 정보전달의 확산경로 = 548
14.15 <TEX>$$Ca^2+$$</TEX> 신호전달 = 550
14.16 지질과 지질 유래 화합물 = 551
14.17 PI3키나제 = 553
14.18 이온통로 수용체: 매우 빠른 신호전달 = 554
14.19 핵수용체 = 556
14.20 G단백질 신호전달 모듈 = 556
14.21 G단백질의 다양한 효과기 = 559
14.22 G단백질의 GTP 가수분해효소 조절 주기 = 559
14.23 작은 단량체 GTP 결합 단백질 = 561
14.24 단백질의 인산화와 탈인산화 = 562
14.25 두 구성요소 단백질 인산화 체계 = 565
14.26 단백질 키나제의 약리적인 억제제 = 565
14.27 인산단백질 포스파타제 = 566
14.28 유비퀴틴과 유비퀴틴 유사단백질 = 567
14.29 Wnt 경로 = 568
14.30 단백질 티로신 키나제 = 569
14.31 Src 집단 단백질 키나제 = 570
14.32 MAPK 경로 = 571
14.33 사이클린 의존성 단백질 키나제 = 572
14.34 단백질 티로신 키나제 = 573
14.35 전망 = 577
14.36 요약 = 577
15장 세포외기질과 세포부착 / George Plopper = 581
15.1 소개 = 582
15.2 세포외기질의 연구 역사 = 583
15.3 콜라겐 = 585
15.4 피브로넥틴 = 588
15.5 탄력성 섬유 = 590
15.6 라미닌 = 592
15.7 비트로넥틴 = 594
15.8 프로테오글리칸 = 595
15.9 히알루로난 = 597
15.10 황산헤파린 프로테오글리칸 = 599
15.11 기저판 = 601
15.12 세포외기질 성분의 분해 = 602
15.13 인테그린의 구조 = 605
15.14 인테그린의 신호전달 = 607
15.15 발생과정에서 인테그린과 세포외기질의 역할 = 610
15.16 밀착결합 = 612
15.17 격막결합 = 615
15.18 부착결합 = 616
15.19 데스모솜 = 618
15.20 헤미데스모솜 = 620
15.21 간극결합 = 621
15.22 칼슘 의존성 카드히린 = 623
15.23 칼슘 비의존성 NCAM = 625
15.24 셀렉틴과 면역세포 = 627
15.25 전망 = 628
15.26 요약 = 629
7부 원핵세포와 식물세포 = 633
16장 원핵세포 / Jeff Errington ; Matthew Chapman ; Scott J. Hultgren ; Michael Caparon = 634
16.1 소개 = 635
16.2 분자 계통학 기법과 미생물의 진화 = 636
16.3 원핵생물의 생활방식 = 638
16.4 고세균과 진핵세포와의 유사성 = 640
16.5 다당류로 된 원핵생물의 피막 = 642
16.6 세균의 세포벽 = 643
16.7 그람양성세균의 세포외피 = 647
16.8 그람음성세균의 외막과 주변세포질 공간 = 650
16.9 세포질막 = 652
16.10 원핵생물의 분비경로 = 653
16.11 선모와 편모 = 656
16.12 원핵생물의 유전체 = 659
16.13 세균의 핵양체와 세포질 = 660
16.14 세균 염색체의 복제 = 663
16.15 원핵생물의 염색체 분리 = 664
16.16 원핵생물의 세포질분열 = 666
16.17 원핵생물의 복잡한 발달 변화 = 670
16.18 일부 원핵생물의 생활사 = 674
16.19 일부 원핵생물과 진핵세포의 세포내 공생 관계 = 675
16.20 원핵생물과 사람의 질병 = 677
16.21 생물막 = 679
16.22 전망 = 681
16.23 요약 = 681
17장 식물세포 / Clive Lloyd = 686
17.1 소개 = 687
17.2 식물의 성장 = 688
17.3 분열조직 = 689
17.4 세포분열면의 조직 조직화 = 691
17.5 세포질 구조물의 세포분열면 예측 = 693
17.6 중심체가 없는 식물세포의 유사분열 = 695
17.7 세포질분열 기구의 새로운 벽 구축 = 697
17.8 세포판의 형성 = 699
17.9 원형질연락사 = 700
17.10 세포팽창 = 702
17.11 팽압을 지탱하는 세포벽의 섬유소 극세사 = 703
17.12 성장을 위한 세포벽의 이완과 재편 = 705
17.13 원형질막에서 섬유소의 합성 = 706
17.14 피질 미세소관의 세포벽 조직화 = 707
17.15 동적인 피질 미세소관 = 709
17.16 세포 표면으로 골지체의 소낭 배달 = 711
17.17 액틴 미세섬유의 물질전달망 형성 = 713
17.18 물관세포의 분화 = 715
17.19 끝 성장과 돌기 확장 = 717
17.20 색소체 = 719
17.21 엽록체의 광합성 = 721
17.22 전망 = 722
17.23 요약 = 723
용어풀이 = 727
단백질 데이터베이스 목록 = 742
찾아보기 = 744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